• Title/Summary/Keyword: 실제코호트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comparison between the real and synthetic cohort of mortality for Korea (가상코호트와 실제코호트 사망력 비교)

  • Oh, Jinh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1 no.4
    • /
    • pp.427-446
    • /
    • 2018
  • Korea will have a super-aged society within only 30 years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definition of an aging society and the statistics on Korea's Population projections (2016), indicates that Korea has the fastest ageing speed in the world. There is a lack of data on long-term time-series data on death as related to pension and welfare policies compared to the rapid rate of aging. This paper estimates life expectancy over 245 years (from 1955 to 2200) through past and future forecasts as well as compares the expected life expectancy of the synthetic cohort and the real cohort. In addition, an international comparisons were made to understand the level of aging in Korea. Estimates of the back-projection period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LC model to improve accuracy and objectivity. In addition, the predictions after 2016 reflected the declined mortality rate effect of Korea using the LC-ER model.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of about 30 years over 60 years (1955-2015) with an expected life expectancy of the real cohort over the second century (1955-2155) higher than the synthetic cohort.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life expectancy of real cohorts was confirmed to be a common trend among comparative countries. In addition, Japan and Korea have a higher life expectancy and starting from 85 to 90 years old, all comparative countries show that the growth rate for the life expectancy of synthetic and real cohorts is less than previous years.

Population Projections for Busan Using a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을 이용한 부산광역시 장래 인구 추계)

  • Cho, Dae-Heon;Lee, Sang-I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6 no.2
    • /
    • pp.212-232
    • /
    • 2011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population projection method based on the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and to apply it to population projections for Busan. Some drawbacks of using the net migration cohort-component method in a regional or local level population projection are demonstrated. A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a variant of the inter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is established as an alternative where in-migration and out-migration are separately considered and then are combined to produce a projection for the migration component. Predicated on the established method, population projections for Busan are undertaken for the period of 2005~2030 under three different scenarios. Considerably different projection results are obtained between the net migration and biregional methods; among others, the trend of population decline is more severe in the former than in the latter. An investigation of the temporal trend of the projected popul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highly reasonable. In conclusion, the proposed method based on the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seems not only to be theoretically more robust than the net migration cohort-component method but also to be very effective in the real world application.

H-P 기법을 이용한 기초자치단체의 장래인구추계

  • Lee, Sang-Rim;Jo, Yeong-Ta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149-172
    • /
    • 2005
  • 장래인구추계(population projection)는 한 사회의 인구수 및 구조 변화를 추정하는 것으로 사회의 잠재적 자원 수요와 노동력 공급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한다. 정확한 장래인구를 추계하는 것은 국가 및 중앙정부 뿐 아니라 지방정부 혹은 그보다 규모가 작은 기초자치단체도 미래의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 특성에 알맞은 정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중요한 일임에 틀림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장래인구추계는 통계청에서 담당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국가 및 시도단위의 장래인구추계 결과를 발표하고 있으며 기초자치단체는 인구추계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이 글은 Hamilton과 Perry에 의해서 최초 개발되어 실제 미국의 소규모지역별 장래인구추계에 사용되어 온 추계기법을 사용하여 한국의 기초자치단체에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해 본 연구이다.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H-P기법은 도시와 농촌지역의 기초자치단체에 각각 적용해 본 결과 통계청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코호트 조성법을 이용한 추계기법보다 단순하고 추계를 위해 필요한 정보도 쉽게 얻을 수 있으면서도 비교적 정확한 추계결과를 제시하였다.

Modified Product-Limit Estimator via Period Analysis (기간분석에 따른 수정된 누적한계 추정량)

  • Kim, Jin-Heum;Ahn, Yoon-Ok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9 no.3
    • /
    • pp.395-406
    • /
    • 2006
  • Long-term survival rates are the most commonly used outcome measures for patients with cancer. However, traditional long-term survival statistics, which are derived by cohort analysis or complete analysis, essentially reflect the survival expectations of patients diagnosed many years ago. They are often outdated at the time they become available.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modified product-limit method to obtain up-to-date estimates of long-term survival rates via a period analysis. The proposed method is illustrated with cancer registry data collected from January 1993 to December 1997.

기혼여성의 자녀출산계획에 대한 공간효과 분석

  • Sin, In-Cheol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2
    • /
    • pp.59-85
    • /
    • 2009
  • 본 연구는 최근 인구학에서 공간적 접근을 시도하는 논의들이 활발해지는 경향과 함께 지역 적합적 저출산 대응정책의 필요성의 대두라는 정책적 수요에 부합하고자 자녀출산계획에 있어 지역의 공간적 효과가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혼여성의 연령, 출산한 자녀의 수가 자녀를 출산할 계획을 가질 확률에 대한 비선형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층모형과 같이 최근 지역연구에서 이용되고 있는 실증분석방법들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 Geo-Additive Model을 적용하였다. 동 방법론은 한 모형 내에서 공간의 구조적 효과와 비구조적 효과, 연속형 변인의 비선형효과 등을 동시에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분석자료로 통계청의 2005년도 인구주택총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 중 2% B형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혼여성이 자녀를 출산할 계획을 가질 확률에 기혼여성의 연령과 출산한 자녀의 수는 비선형적 효과를 주었으며, 특히 각 개인들은 현재의 출산 상태에서 자녀 한명을 추가로 출산하는 것이 동일한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혼여성들의 첫출산 시점이 결혼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고 결혼코호트에 따라 다르더라도 첫출산 자체가 여전히 보편적인 현상이라는 가정을 받아들인다면, 출산율 제고를 위한 정책의 대상은 첫째아를 이미 출산한 여성들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녀를 출산할 계획을 가질 확률에 지역의 구조적 공간효과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별 합계출산율의 공간 자기상관분석 결과와 비교해 본 결과 출산계획의 구조적 공간효과가 양의 효과를 미치는 지역에서는 실제 출산행위인 합계출산율도 높지만, 구조적 공간효과가 부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합계출산율도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자체들의 정책수요나 자원 및 재정의 부담능력 등 지역별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정책의 추진을 지양하고, 지역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에 적합한 출산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Recommandation for Study of Mortality Depending on Disease in Korean Insurance Market (국내 생명보험 질병별 사망율 연구를 위한 제언)

  • Bang, Eun-Joo;Kim, Yon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 /
    • v.22
    • /
    • pp.55-98
    • /
    • 2003
  • 본 연구는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의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고 일본 선진보험사의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의 경험을 고찰하고 국내 보험사들의 질병사망율연관데이터의 현황분석을 통해 향후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의 결과를 얻기 위해 현재 보험사들이 전사적으로 준비하여야 할 것에 대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사망률연구(mortality study)란 인구통계학적 개념을 기본으로 하여 역학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코호트방법과 생존분석방법을 결합하여 인구집단(또는 피보험자 집단)을 대상으로 대량의 자료를 장기적으로 관찰하여 그 사망의 빈도와 분포를 기술하고 사망연관지수들을 알아내어 생명보험사업에 있어서 위험선택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초과사망을 및 사망비 산출의 실제를 생명표 방법론과 급성심근 경색증 환자의 생존 분석을 통해 알아본다. 생명표 방법론을 이용한 생존 분석방법이란 의학저널에서 발표된 논문을 사망률표로 변경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에 대한 것이다 관찰된 생존 곡선을 생명표 작성법의 한 방법인 비교 경험 사망률로 바꾸는데 초점을 두었다. 일본생명(日本生命)의 경우, 일본 협영생명(協塋生命)의 경우, 일본사망율조사(MA)위원회 생명보험사망을 연구고서등을 통해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를 살펴 보았다. 일본은 질병별사망율(疾病別死亡率)을 구하기 위해서 1950년대 이후부터 체계적으로 자료를 모으고 축적, 분석하여 지속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일본MA위원회의 경우처럼 보험의학의사, 계리, 통계, 전산부서로 구성된 전담위원회의 통일된 협조가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의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일본보험의학계는 일본만의 독특한 질병분류로 분석하여 온 것이 특이하다.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에 대해서는 모두가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구체적인 대비책은 없는 것이 우리나라 보험업계의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의 직접적인 이유는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라는 것이 그 특성상 중장기적인 계획이며 많은 전문인력의 통합되고 집중된 노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우리도 "생명보험사사망율연구위원회(Life Insurance Mortality Committee" (가칭)를 설치하고 장기적인 계획안을 먼저 만드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부터 질병별사망율(疾病別死亡率) 데이터를 축적하고 매 5년 또는 매 10년마다 데이터를 분석한다면 질병별사망율(疾病別死亡率)에 대해 고유의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그리 먼 미래의 일만은 아닐 것이다.

  • PDF

Analysis and Application of Nursing Management Practicum Case Simulation for Developing Performance-Centered Education (성과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간호관리실습 사례시뮬레이션 적용 및 내용 분석)

  • Lim, Ji Young;Ko, Gug 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9
    • /
    • pp.235-25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rsing management case simulation (NMCS) framework based on the five components of nursing management process and to apply it to clinical nursing practi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MCS reports submitted by the 4th grade 105 nursing students of an university. The research tool is a simulation framework for nursing management practice. It reflects the brainstorming and debriefing process used in the previous simulation exercise based on the five elements of planning, organiz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directing and control of the nursing management proces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tudy, 32 nursing management cases were found to have 79.6% correct rate, 11.6% concept error rate, and 5.6% classification error rate in the first brainstorming and debriefing process for the five components of nursing management process.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brainstorming and debriefing process, 94.6% correct rate, 0.0% concept error rate, and 4.4% classification error rate. Based on these results, the NMCS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nursing management theory and practice cours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s well as simulation based job training and maintenance educations for clinical nurses. Therefore, we propose follow-up studies in various clinical nursing settings and a longitudinal cohort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rsing management job skill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fter grad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