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재론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echno-scientific Way of Thinking' on Women's Technoscientific Practices : From Barad's Agential Realistic Perspectives (여성들의 기술과학 실행에 대한 '기술-과학적 방식의 생각하기': 캐런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 Leem, So-Yeon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1 no.2
    • /
    • pp.97-119
    • /
    • 2011
  • This paper, as an initiative to fertilize analyses on women's technoscientific practices, reviews theoretical discussions and empirical studies in-between feminism and STS, mainly owing its thinking technologies to Karen Barad's Agential Realism.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shows that women's technoscientific practices as research sites are not only fertile grounds between STS and feminism but also conflict areas between constructivist theories and feminist politics. The second part proposes Agential Realism as an way of thinking to deal with 'conflicts' between STS and feminism in analytical levels. Agential Realism provides useful conceptual tools for 'techno-scientific ways of thinking' through the reconceptualization of agency, the displacement of agency by accountability, and the configuration of STS analysis as 'apparatus.' The third part finds three examples of 'techno-scientific ways of thinking' on women's technscientific practices from previous feminist STS works, which suggests how to analyze not only women's technoscientific practices but also diverse practices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as follows: follow 'the invisible', account for 'ontological choreography', and 'care' for what is analyzed.

  • PDF

20세기 수학의 패러다임 - 20세기 전.후반의 수리철학을 중심으로

  • 박창균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9 no.2
    • /
    • pp.22-29
    • /
    • 1996
  • 20세기 수리철학은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수학의 기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던 시기인 20세기 초로부터 G$\ddot{o}$del의 불완전성 정리가 발표된 30여년간을 전기로 하고, 후기를 실재론과 반실재론읜 대립과 새로운 수리철학이 대두된 최근 30여년간의 기간이라 한다면, 본고는 이미 잘 알려진 전기의 수학기초론 보다는 후기의 달라진 수리철학을 수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으로 규정하고 그 내용과 성격을 살펴본다.

  • PDF

비트겐슈타인과 유아론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9 no.2
    • /
    • pp.59-98
    • /
    • 2006
  • 유아론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투쟁을 조명하는 것은 그의 전체 철학의 핵심을 조명하는 것에 상당한다. 요컨대 유아론의 문제는 언어놀이, 놀이와 언어의 유사성, 가족 유사성, 규칙 따르기, 규칙 따르기의 역설, 사적 언어 논변, 뜻함, 봄과 -로서 봄, 모순, 논리적 필연성, 함 또는 실천과 같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핵심 개념이나 주제와 얽혀 있다. 이를 보이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유아론의 개념, 유아론에 대한 청년 비트겐슈타인의 생각,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진단을 논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이 유아론(넓게는 데카르트주의, 영국경험론, 현상학)에서 실천으로 나아가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면 우리는 유아론에 대한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비판과 '사적 언어'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자연스럽게 문제 삼게 된다. 많은 학자들이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비트겐슈타인은 사적 언어가 불가능하다고 간주했다. 그러나 나는 이러한 주장은 비트겐슈타인이 처한 패러다임의 전환 상황을 간과하는 처사로서 설득력 없는 것임을 보이고자 한다.

  • PDF

수돗물 바이러스 논쟁 : 바이러스의 실재와 위험 인식의 구성

  • Seong, Ha-Yeong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7 no.2
    • /
    • pp.125-154
    • /
    • 2007
  •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수돗물의 바이러스 오염 여부에 관한 논쟁이 있었다. 서울대의 K 교수는 학회에서 수돗물을 분석한 결과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고 보고했고, 이 내용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수돗물의 안정성에 대한 논쟁이 일어났다. 이 논쟁은 바이러스 검출방법론의 신뢰성을 둘러싼 과학적 논쟁과 검출된 바이러스가 위험한지에 대한 위험논쟁이 함께 공존하며 진행되었다. 필자는 정책의 변화를 요구하는 과학적 사실을 둘러싼 논쟁을 분석하기 위해 과학전문가와 정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아래의 세 가지를 주장하고 있다. 첫째, 논쟁을 제기한 과학자(K 교수)와 정부(환경부, 서울시)가 바이러스의 확인부터, 승인, 정책 결정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검출방법론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의 차이는 민감성과 정확성을 추구하는 과학계와 법적기준을 위한 정량적 가치를 중시하는 정부의 특징이 반영된 것임을 주장한다. 둘째, 과학논쟁에서 K 교수팀이 PCR 방법을 통해 바이러스의 실재(reality)를 확인하면서 과학적 정당성을 확보했음을 보인다. 셋째 바이러스의 검출 방법에서 PCR 방법이 과학적 실재를 결정했지만, 위험의 실재를 규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음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논쟁분석을 통해 정책입안을 둘러싼 과학 위험논쟁에서 과학전문가의 역할을 고찰하고 있다.

  • PDF

Critics on Ludwig Boltzmann's Methodology of Science (루드빅 볼츠만의 과학 방법론에 대한 역사-비판적 검토)

  • Moun, Jean-sou;Lee, Woo-buong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17
    • /
    • pp.57-84
    • /
    • 2011
  • As for the methodology of physical science, on the one side, Ludwig Boltzmann was declined to Scientific Realist and at the same time Epistemological Idealist. But on the other. He was neither fully nor consistently either one of them, because of rejecting the causal realism of the former and the belief in absolute certainty of the latter. Is there nevertheless any evidence that he had a coherent world view of his own? Yes. In short, he seems to identify his own position with what is called a mind-matter identity theory. In 1897, he supported that psychological processes are identical with certain processes in the brain(realism). And in 1903, he said : "Physics is not separated from psychology. They are only different sides." But Boltzmann did not explain concretely the possibility of this identity. So I tried to construct one theory of identity which is suitable for understanding problems n the physical world, though whether it would work for a full-scale world view which includes both physical and mental phenomena remains problematic. If light phenomena, for example, tend to be measured in terms of some contexts as if light were a wave and in others as if light were a particle, then one may be able to reasonably suppose that light has whatever characteristics in itself which it must have in order to seem like a wave under some conditions of measurement and like a particle in others. If this theory is provisionally to mental phenomena as well, it would mean that reality has those characteristics in itself which it must have to appear as it does to the various faculties of the mind and as it is measured in different physical situations. This is probably not what Boltzmann meant by his theory of identity, since it is very ontological and metaphysical. But in my opinion it is by far the most reasonable identity theor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nd Philosophy of Science (과학기술정책과 과학철학)

  • Kim Yoo-Shin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2 no.1 s.3
    • /
    • pp.157-189
    • /
    • 2002
  •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 lot of implicit usjustified assumptions. These assumption without being reflected may cause various social problems. In this paper, lit is shown that philosophy of science could make contribution to resolving these problems. In epistemological viewpoints, the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has been analyzed. I argue that social kinds, social entities appeared in social science should be interpreted realisticaly. Realizing this realistic interpretation of social kinds, as one field of social sciences, the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can deal with the causal relation among social entities and the causal i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more objectively- scientific knowledge has two components. One belongs to coded knowledge and the other belong to tacit knowledge which cannot be coded. I analyze the content and characters of tacit knowledge appeling to Michael Polany.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s to make tacit knowledge more fruitful. I argue that philosophy of science fit well this function. Finally I claim that philosophy of science can help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o reduce the ethical problems caused by science and technology.

  • PDF

Yagisawa on Peacocke and van Inwagen

  • Kim, Seahwa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6 no.1
    • /
    • pp.45-59
    • /
    • 2013
  • In his book Worlds and Individuals: Possible and Otherwise, Takashi Yagisawa Yagisawa argues that his own theory is better than Lewis's theory by showing that his own theory can deal with important objections to modal realism more successfully than Lewis's. In particular, Yagisawa claims that by adopting modal tenses, he can respond to many important objections to modal realism in a uniform way. In this paper, I argue that Lewis can also successfully respond to Peacocke's objection in an exactly parallel way to Yagisawa's by distinguishing existence at the actual world from existence at other possible worlds and that Yagisawa's response to van Inwagen's objection does not succeed. I conclude that Yagisawa fails to show that his own theory is better than Lewis's.

  • PDF

Eliminativism and the Cognitive Suicide Argument (제거주의와 인지적 자살 논변)

  • Back, Do-Hyou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4 no.4
    • /
    • pp.65-70
    • /
    • 2003
  • In this article, I show that the cognitive suicide argument does not succeed in refuting eliminativism. The argument misses an important aspect of eliminativism. In Sec. 3, the last section, I will suggest the aspect of eliminativism and, on the basis of it, will develop my criticism against eliminativism.

  • PDF

Blindsight and Phenomenal Consciousness (맹시와 현상적 의식)

  • 김효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89-193
    • /
    • 2002
  • 의식에 관한 가장 흥미 있는 최근의 과학적 작업들 중 철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다수는 시각으로부터 나왔으며 그 중 특히 맹시 현상은 심리철학에 있어서 의식, 지각, 그리고 지향성의 개념에 문제를 제기한다. 맹시 환자들은 후두엽 피질의 두뇌 손상으로 인하여 생긴 암점(Scotoma) 때문에 현상적으로 의식적인 과정을 경험할 수 없으면서도 그들의 보이지 않는시야 영역에 대하여 보통 시각을 가진 사람들과 상당히 비슷하게 기능을 발휘한다. 이러한현상은 의식이 행동을 제어하는 데에 과연 인과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문제들, 심리철학에서 뿌리깊게 논의되어왔던 의식의 기능과 부현상론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즉, 맹시 현상은 현상적 의식이 실재하지 않는 것이거나, 존재하더라도 어떤 인과적 효력을 가지지 않는 부수현상적인 것이라는 견해를 강하게 지지하는 것 같다. 이와 함께 인간과 동일한 물리적 구성과 행동을 가지지만 의식적 경험을 결여하는 피조물인 좀비(zombie)의 이론적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를 지지하기 위해서 초맹시(super-blindsight)의 개념과 사례가 제안된다. 이 논문은 맹시 현상을 통해서 현상적 의식의 실재성을 부정하려는 논변들을 반박하고, 의식은 행위의 수행에 관련될 뿐만 아니라 인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논한다. 따라서, 역설적으로 맹시 사례가 오히려 현상적 의식이 인과적 역할을 가진다는 감각질 실재론의 견해를 지지할 수 있다고 논증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