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 행태 공간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time Behavior Space Design - Focused on the Works of onl and NOX - (물리구축환경의 지능적 부활로서의 실시간 행태 공간의 특성 분석 - onl과 NOX의 작품을 중심으로 -)

  • Lee Hanna;Park Hyun-Ok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4 no.4 s.51
    • /
    • pp.19-26
    • /
    • 2005
  • Digital technology continually makes a space evolves. The real-time behavior design communicates the data with the situation of circumference of the space(visitors moving, interior and exterior situations). The space form was changed because it interfaces in real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real-time behavior space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space formative languages, sensorium, S-R and material. This study will be the one of basic references for the digital space design. The boundary of this study set limits to the works of digital space designer who applies the real-time exchanging data to their design among the digital space design works from 1996 to 2004. But it excepted from the real-time behavior space in virtual realty. Therefore,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works of onl and NOX(paraSITE, Trans-port 2001, Muscle, MotormeCCa, Handdrawspace, Saltwater Pavilion, Son-O-House, H2O Expo). The method was the contents analysis of space formative languages(Greg Lynn's ten space formative languages; bleb, blob, branch, flower, fold, lattice, teeth, shred, skins and strand), sensorium, S-R and materia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organizational elements; Space formative languages(bleb, blob, fold, shred, skins, strand), stimulation(Human Participation, Human Moving, Weather Conditions), and response(Spatial Moving, Sound Pattern, Lighting Pattern, color Pattern, Activating Particles, Moving Picture, Virtual Friend) 2) The material Use; Sound, lights, and network have been used in the space. Immaterial matter will be used the main material of space design in 21"'century, 3)The spatial types; formal changing of space, projecting immaterial elements, and changing the sound.

The Research about Person Environment Behavior near Boundaries for Context Aware Location Based Service (상황 인식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경계 부근의 인간 환경 행태에 관한 연구)

  • Lee, B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271-27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 인식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정성적인 개인 공간 행동을 포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단순한 추적이내 사람의 위치 변화에 대해 색인 생성을 넘어서서, 사람과 환경 사이의 관계 변화가 본 연구의 공식 모텔에 대한 기본 소스로 간주된다. 특히 이 연구는 특정 지역의 경계 근처에서의 사람의 움직이는 행위에 중점을 둔다. 그 행위를 포착하기 위해 그 개체의 영향력 범위를 적용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이 제안된다. 이러한 개체 시공간적으로 확장된 점는 그 영향력 범위를 그 개체의 위치와 함께 잠재적 사건이내 상호작용 구역으로 간주한다. 이렇게 포착된 정성적 공간 행위는 알려진 지역 근처의 개체 관계의 더 정제된 설명을 제공하여 단순한 공간정보 제공을 넘어선 실시간 공간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

An Indoor Pedestrian Simulation Model Incorporating the Visibility (가시성을 고려한 3차원 실내 보행자 시뮬레이션 모델)

  • Kwak, Su-Yeong;Nam, Hyun-Woo;Jun, Chul-Mi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8 no.5
    • /
    • pp.133-142
    • /
    • 2010
  • Many pedestrian or fire evacuation models have been studied last decades for modeling evacuation behaviors or analysing building structures under emergency situations. However, currently developed models do not consider the differences of visibility of pedestrians by obstacles such as furniture, wall, etc. The visibility of pedestrians is considered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evacuation behavior, leading to making simulation results more realistic. In order to incorporate pedestrian's visibility into evacuation simulation, we should be able to give different walking speeds according to differences of visibility. We improved the existing floor field model based on cellular automata in order to implement the visibility. Using the space syntax theory, we showed how we split the indoor spaces depending on the different visibilities created by different levels of structural depths. Then, we improved the algorithm such that pedestrians have different speeds instead of simultaneous movement to other cells. Also, in order for developing a real time simulation system integrated w ith indoor sensors later, we present a process to build a 3D simulator using a spatial DBMS. The proposed algorithm is tested using a campus building.

Development of a Real-Time Mobile GIS using the HBR-Tree (HBR-Tree를 이용한 실시간 모바일 GIS의 개발)

  • Lee, Ki-Yamg;Yun, Jae-Kwan;Han, Ki-Joo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6 no.1 s.11
    • /
    • pp.73-85
    • /
    • 2004
  • Recently, as the growth of the wireless Internet, PDA and HPC, the focu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with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as been changed to the Real-Time Mobile GIS to service LBS. To offer LBS efficiently, there must be the Real-Time GIS platform that can deal with dynamic status of moving objects and a location index which can deal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data. Location data can use the same data type(e.g., point) of GIS, but the management of location data is very differ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Real-Time Mobile GIS using the HBR-tree to manage mass of location data efficiently. The Real-Time Mobile GIS which is developed in this paper consists of the HBR-tree and the Real-Time GIS Platform HBR-tree. we proposed in this paper, is a combined index type of the R-tree and the spatial hash Although location data are updated frequently, update operations are done within the same hash table in the HBR-tree, so it costs less than other tree-based indexes Since the HBR-tree uses the same search mechanism of the R-tree, it is possible to search location data quickly. The Real-Time GIS platform consists of a Real-Time GIS engine that is extended from a main memory database system. a middleware which can transfer spatial, aspatial data to clients and receive location data from clients, and a mobile client which operates on the mobile devices. Especially, this paper describ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conducted with practical tests if the HBR-tree and the Real-Time GIS engine respectively.

  • PDF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the Use of a Refrigerator -with Emphasis on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USA User Experience of a Refrigerator- (문화적 차이가 냉장고 사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의 냉장고 사용 행태 비교 관찰을 중심으로 -)

  • Cho, Yun-Jin;Kim, Jung-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795-802
    • /
    • 2006
  • 현대의 소비자는 더 이상 단순히 감성적 소구에 의해서나 기술적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 제품의 결정은 사용자와 제품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정서, 인지, 행위 등에 의한 총체적인 경험에 의한 것이며, 그러한 소비자들의 경험은 지리적, 역사적 전통으로 고착된 문화적 특성이 제품을 통한 사용자 경험의 기저에서 작용함으로써 문화권 별, 국가 별로 각기 다르게 구성된다. 특별히 음식 문화는 어느 나라이든 자연 조건의 영향과 함께 오랜 역사 속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독특하고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차이는 냉장고 사용에 있어서 다양한 사용행태를 구분 짓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식품 종류에 의한 영향뿐 아니라 내부 공간 활용의 패턴, 냉장고 환경 설정에 대한 능동적인 태도, 냉장고에서 제공하는 파티션이나 옵션에 대한 수용 정도, 식품의 정리 원칙에 대한 준수 정도 등에 따른 사용행태 간의 차이점을 발견하고, 차별적 사용행태의 기저에 존재하는 문화적 요인을 분석하여 문화적 차이가 사용자의 경험에 영향을 끼치게 됨으로 인하여 냉장고 디자인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는지 그 연관성을 밝혀내고자 한다. 보다 실제적인 용도로 활용 가능하도록 냉장고 제작의 상업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냉장고 내상의 레이아웃에 중점을 두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과 현장 관찰을 통해 정량적 관찰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두 국가의 문화 비교를 위한 설문은 이미 여러 연구자료에 의해 검증된 Trompenaars의 문화 변수를 바탕으로 제작 하였다. 또한 정량적 연구에서 발견될 수 없는 문화권 별 여러 특징들에 대한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수집하기 위하여 정성적인 연구 방식의 일환으로 실제 관찰 및 사용자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현상의 원인 및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Media Use by Digital Natives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Koh, Heungseok;Shin, Joo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3
    • /
    • pp.1-10
    • /
    • 2018
  • The study aimed to explore media use by digital natives in Korea. To date, Korea is a country that has both the highest level of digital natives and fastest Internet access in the world. The study also intended to deeply understand the simultaneous activity use of different media and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igital natives. Based on Korea Media Panel Data for 2015, analyses of the digital natives' traits of time-space, media use, and simultaneous use of media were made through a statistic multi-correspondent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spatial attribute and media use of digital natives are homogeneous in pattern and the degree of simultaneous use of media seems to be limited in type. Moreover, the study suggested the new concept of digital natives' media use and the need for various studie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and the Internet generation.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Very Short Range Forecast of Precipitation System (초단시간 강수예보시스템 구축 및 활용)

  • Choi, Ji-Hye;Nam, Kyung-Yeub;Suk, Mi-Kyung;Choi, B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15-151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초단시간 강수예보(VSRF, Very Short-Range Forecast of precipitation) 시스템 구축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VSRF 모델은 레이더 반사도 자료와 지상 AWS 자료를 이용하여 레이더-AWS 강우강도를 산출하는 강수분석과정과 분석된 강수량 자료와 중규모 수치예보장을 사용하여 외삽법에 의한 초단시간 강수예보를 수행하는 예보과정, 실시간으로 산출된 강수예보 자료를 검증하고 홈페이지에 제공하는 자료지원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의 예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모델을 개선하였다. 첫째는 모델의 입력자료인 레이더-AWS 강우강도 자료를 기상연구소 원격탐사연구실에서 운영하던 WPMM (Window Probability Matching Method)과 기상청 기상레이더과에서 운영하던 RQPE(Radar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의 알고리즘을 통합하여 정확한 강우강도 자료인 레이더-AWS 강우강도(RAR, Radar-AWS Rain rate) 시스템을 구축하여 개선하였으며, 둘째는 외삽과정을 통한 예보가 3시간이 지나면 예측능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업 중규모 모델(RDAPS,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의 예측강수와 병합하여 모델을 개선하였다. 또한 이를 시계열 검증 및 공간 검증하는 실시간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모델의 정확성을 평가하고 있다. 그 결과 입력자료 개선을 통한 모델의 정확도는 크게 향상된 결과는 볼 수 없었지만 미약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모델의 병합을 통한 모델의 개선은 예측 3시간 이후부터는 50% 정도 향상되었다.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X>${\mu}_{max,A}$는 최대암모니아 섭취률을 이용하여 구한 결과 $0.65d^{-1}$로 나타났다.EX>$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 PDF

Users and Librarian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on the University Library Space (대학도서관 공간에 대한 이용자와 사서의 인식 및 수요 분석)

  • Jung, Youngm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4 no.1
    • /
    • pp.223-242
    • /
    • 2020
  • Innovation in university library spaces is challenging to effectively support the education of the university's future learning and innovation capabilities, including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need of library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and librarian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pace innovation through this. For this study, we designed each questionnaire for users and librarians, and collected responses from 363 users and 186 librarians in the university library to analyze their needs and perceptions about their library space. The librarian's need for the space was analyzed by the size of the library and the demographic factors of the librarian. The user's need was analyzed by the user's attribute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for the need for space and space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paper may be useful for reference when planning a new library or building a space based on user.

3D GIS의 기술 동향

  • Lee, J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85-185
    • /
    • 2010
  • 문명 발전에 의해 생활공간이 더욱더 복잡해짐에 따라 현실 세계의 3차원 공간으로서의 이해가 필요해졌고, 3차원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GIS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현재까지의 3차원 GIS는 1990년대에 들어서 3차원 가상도시의 등장으로 도시 모델의 3차원 가시화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3차원 가상도시는 도시 관리 차원에서 도시공간의 표현, 분석, 모델링, 시뮬레이션 등을 통하여 도시정보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3D GIS 기술의 활용 사례로는 3차원 도시 경관 분석 및 도시 계획, 3차원 시뮬레이션, 3차원 위치기반 서비스, 도시 행정 관리 등이 있다. 3차원 도시 경관 분석 및 도시 계획 활용 분야에서는 3차원 GIS를 활용하여 새롭게 건설되는 건물들이나 토지 이용 변경에 따른 경관 분석을 가상공간에서 시뮬레이션 분석함으로써 경관 변화 예측 및 적합한 경관 설계에 대한 분석을 한다. 3차원 시뮬레이션의 경우 환경오염도 분석, 최적의 입지선정, 개발 전후의 경관 차이, 각종 재난에 따른 위험도 분석, 경관과 일조량 분석 등을 미리 가상도시에 시뮬레이션 함으로서 불필요한 업무를 줄일 수 있고 발생할 수 있는 결과 값을 예상할 수 있다. 3차원 위치기반 서비스의 경우 자신의 위치를 비교적 정확히 측정함으로서 생소한 도시를 방문하거나 위치를 찾아갈 경우 최단 경로 및 최적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앞으로의 3차원 GIS 기술 동향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시공간분석(Temporal GIS)과 3차원 실내공간인지 기술 개발 등으로 볼수있다. 시공간분석은 시공간 질의를 통한 공간정보의 시간에 다른 변화 계산 또는 예측된 결과를 분석할 수 있고, 시공간 분석에 사용되는 공간적, 시간적 정보의 조합은 적어도 3차원 이상의 정보를 나타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산출 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시공간분석은 GIS의 분석 범위를 넓혀 주며 실시간 GIS 응용시스템 개발을 위한 주요 과업이다. 3차원 실내공간정보 표현기법과 공간분석 및 공간인지 기법을 이용한 통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3차원 실내공간인지 기술 개발을 통해 최근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위치기반서비스내 u-서비스 즉, 인간 행태의 분석, 관리 및 응용을 지원하도록 한다 이는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의 주변상황에 대한 인지능력을 향상시켜주고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U-City의 성공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개발이 수행되어야 할것이다. 첫째로, 공간인지 기술을 위한 3차원 실내공간표현 방법 개발, 둘째로, 3차원 실내공간정보를 이용한 공간분석 및 공간인지 기법 개발, 마지막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3차원 실내공간인지를 위한 미들웨어 개발을 통해서 공간정보의 활용을 macro-scale 공간에서 micro-scale로 확산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세미나를 통해서, 3차원 GIS의 활용의 보편화와 대중화를 위해서는 3차원 데이터 획득 및 처리 방법, 3차원 공간데이타베이스, 공간 분석 및 가시화에 대한 기술적 이슈들을 논하고자 한다.

  • PDF

Exploration on Secondary Education Undergraduates' SNS Communication Patterns and Perception : Focused on KAKAOTALK (사범계 대학생의 SNS 소통 행태 및 인식 탐색 :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 Park, Sun-Hee;Kim, Sung-M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0
    • /
    • pp.27-3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gure out secondary education undergraduates' communication patterns and perceptions of use in KAKAOTALK,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Social Network Service(SNS). The mixed method research was conducted of survey about 86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 10 of them. The chief implication of research showed that it has been firstly functioning them to sustain public and private network and to be an universal tool of expression their opinion, idea, themselves, however, they still regard face-to-face communication important. Secondly, they think that KAKAOTALK is a part of their everyday lives and regarded a communication space to freely express themselves and to adjust and manage their image. Thirdly, they psychologically solved their loneliness and were encouraged, moreover,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usd of public or private team chat room. It needs a follow-up study comparatively to analyze other generation's cognitive psychological values in SNS and to suggest digital culture literacy guide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