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 배출

Search Result 20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Logistics Equipment Carbon Emission Monitoring System for a Green Port (Green Port 구현을 위한 물류장비 탄소배출 모니터링 시스템)

  • Choi, Hyung-Rim;Park, Byoung-Kwon;Lee, Byung-Ha;Park, Yong-Sung;Lee, Chang-Sup;Kwon, Tae-W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5a
    • /
    • pp.80-84
    • /
    • 2010
  • 미국 환경단체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항만이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알려진 자동차나 발전소보다 더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으며, 특히 컨테이너트럭과 하역장비에서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계 5위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하는 부산항을 비롯하여 많은 항만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적극적으로 항만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IP-RFID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항만 터미널내의 물류장비(컨테이너 트럭, 하역장비 등)들의 탄소배출량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하는 모니터링시스템은 개별 물류장비의 탄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IP통신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에게 직접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IP-Tag를 부착하여, 개별 물류장비별 탄소배출량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물류장비별로 탄소배출량 관리가 가능해지고 운전자도 실시간으로 장비의 탄소배출량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항만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폐수 배출사업장에 TMS 도입된다.

  • 환경보전협회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7 s.359
    • /
    • pp.32-35
    • /
    • 2005
  • 오염물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해 배출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원격측정시스템(TMS : Tele-metering System)이 폐수 배출사업장에도 도입된다. 환경부는 오는 2007년까지 1~3종 배출업소와 하$\cdot$폐수종말처리시설 등 2,443개 폐수배출사업장에 오염물질 측정기기를 부착해 환경관리공단에 설치될 관제센터에 연결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한해 동안 배출되는 폐수의 86.2%가 실시간으로 관리될 전망이다. 배출사업장은 폐수의 특성에 따라 유량계, 자동시료채취기,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cdot$화학적산소요구량(COD),$\cdot$총질소(T-N)$\cdot$총인(T-P)$\cdot$부유물질(SS)측정기기 등을 최소 1종부터 최대 7종까지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자동측정이 어려운 총대장균군수$\cdot$색도$\cdot$노르말헥산 등은 수동측정법을 유지키로 했다. 업체별로 최대 1억7천~2억원까지 예상되는 설치비는 사업자의 부담을 덜기 위해 융자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본지에서는 그 내용을 간략히 파악해 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Real-time Air-quality Forecasting System (실시간 대기질 예측시스템 개발)

  • 구윤서;문윤섭;윤희영;김성태;최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5-136
    • /
    • 2003
  • 효과적인 대기오염 관리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와 배출량을 이해하여야 하며 또한 이로부터 야기되는 대기오염도 및 위해성을 과학적인 근거에 의해서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감시하기 위해 구축중인 굴뚝 TMS망을 실용적인 대기환경 관리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TMS 측정되고 있는 오염물질이 주변 대기환경에 미치는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예측하여 수용체 중심으로 사업장 및 도시ㆍ산단지역의 대기환경을 투명하게 관리하는 선진화된 차세대 대기환경관리 기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중략)

  • PDF

A Study of Waste Sludge Auto Discharge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Recycled Aggregate (순환골재 생산을 위한 폐슬러지 자동배출장치에 관한 연구)

  • Kim, Ho-Seok;Oh, Seong-Hun;So, Byung-Mo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507-509
    • /
    • 2011
  • 본 논문은 순환골재 생산 공정 중 수조에 응집된 슬러지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장치의 개발에 관한 내용이다. 수조바닥에 응집해 있는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하여 모든 공정을 중지한 후 기계장비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작업환경을 대신하여 자동으로 실시간 배출할 수 있는 폐슬러지 자동배출장치를 개발하여 생산성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임펠러의 형상 및 회전수와 수조의 경사각을 최적의 수준으로 도출하여 설계 후 장치를 완성하였다. 생산공정 중 실시간으로 슬러지를 배출하여 생산성 향상은 물론이고, 독립적인 장비이므로 판매함으로서 이윤창출에도 큰 역할을 한다.

  • PDF

The Application of CO2 and Hydrometer Sensor for Development of Real Time Measuring Method on CO2 Emiss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건설장비의 CO2배출량 실시간 측정방법 개발을 위한 CO2 및 유속센서의 활용)

  • Jang, Won-Suk;Kim, Byung-S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2
    • /
    • pp.78-86
    • /
    • 2013
  • The researches for reduce $CO_2$ are going along animatedly in hole industry area. In construction area, the researches to minimize $CO_2$ emission are progressing variously. The researches to minimize $CO_2$ emission based on $CO_2$ emission. The method measuring $CO_2$ emission are using $CO_2$ emission coefficient on fuel consumption, LCA and an inter-industry relation table. Especially, the methods using the carbon emission coefficient based on fuel consumption are 3 types(Tier1~Tier3) of IPCC. Present, the most using method(Tier1) is using the fuel consumption and the carbon emission coefficient. But because this method do not effect each vehicle distance and driving environment, we can't calculate right $CO_2$ emission. Especially construction project's $CO_2$ emission could be different by project's characteristic. However, we can't apply these difference with present methods. So we need methodology calculating $CO_2$ emission by applying personal project's characteristic and these methodology's most important things is directly measuring $CO_2$ emiss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which use energ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_2$ emission calculation methodology which occur in construction process, is to suggest ways to measure in real time $CO_2$ emission from construction equip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s for Malodor Compounds Sources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s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악취유발물질 배출원의 모니터링 시스템)

  • Lee, Hyung-Don;Lim, Hae-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2
    • /
    • pp.856-865
    • /
    • 2012
  • Maintenance systems are demanded to manage malodor-information and deal effectively with the odor-related civil complaints by constructing the database for sources of malodor compounds in real time. In this paper, to carry out these tasks, a real-time monitering system for malodor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s(USN) is presented. The constructed monitering system stores the malodor data collected periodically from industrial complex into the database and shows in real time the circumstances of the odor sources being emitted around the industrial complex by indicating on the map where it is taking place. Besides, by clicking an icon indicating the sensor node on the map, we can figure out what firms are located near the malodor source and possible material related with those firms. The proposed system is consider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of malodor-emitting firms based on the malodor-related information.

Development of Real-time Simultaneous Discharge Algorithm for Randomly Feeding Object (무작위 이송 개체용 실시간 동시 배출 알고리즘 개발)

  • Kim, S. C.;Hwang, H.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4 no.2
    • /
    • pp.145-152
    • /
    • 1999
  • Methods of discharging each graded agricultural product are divided into two according to the type of feeding. One is based on feeding objects using a series of specially designed holders mounted with an equal interval. The other is randomly feeding objects while being isolated without a specific interval. In this paper, a real time simultaneous discharge algorithm, which is good for objects randomly fed individually and for multi-objects located along a series of discharge buckets, was developed. And the developed algorithm was implemen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performance was verified using the system developed for dried mushrooms. The discharge system used for the experiment was composed of a variable speed conveyor, a series of double channel bucket mounted along both sides of the conveyor, and a series of air nozzles and optic sensors. Developed algorithm worked perfectly and could be directly used for automatic discharge system for randomly feeding agricultural products.

  • PDF

Development of USN based on Realtime CO2 Emission Collection Information System (Green IT를 위한 USN기반의 실시간 탄소배출 수집정보 시스템 개발)

  • Kim, yun-hyuk;Lee, sang-joon;Lee, jong-heon;Kang, bong-soo;Yeon,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27-629
    • /
    • 2010
  • 본 연구는 대기오염의 가장 주범인 이동형 차량이 배출하는 배기가스를 USN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이 정보를 지속적으로 축적함으로써 차량의 오염물질배출상태, 차량의 노후상태 뿐만 아니라 차량의 효율적인 노선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측정하고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여 일부를 현장 적용함으로써 향후 이동형 차량에 대한 대기오염 방지의 감소를 위한 정책 마련과 그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Methodology of Motor Vehicle Emission Calculation by Using Real-Time Traffic Volume in the Kangnam-Gu (자동차 대기오염물질 산정 방법론 설정에 관한 비교 연구 (강남구의 실시간 교통량 자료를 이용하여))

  • 박성규;김신도;이영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4
    • /
    • pp.35-47
    • /
    • 2001
  • Traffic represents one of the largest sources of primary air pollutants in urban area. As a consequence. numerous abatement strategies are being pursued to decrease the ambient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 characteristic of most of the these strategies is a requirement for accurate data on both the quantit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emissions to air in the form of an atmospheric emission inventory database. In the case of traffic pollution, such an inventory must be compiled using activity statistics and emission factors for vehicle types. The majority of inventories are compiled using passive data from either surveys or transportation models and by their very nature tend to be out-of-date by the time they are compiled. The study of current trends are towards integrating urban traffic control systems and assessments of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motor vehicles. In this study, a methodology of motor vehicle emission calculation by using real-time traffic data was studied.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emissions of CO at a test area in Seoul. Traffic data, which are required on a street-by-street basis, is obtained from induction loops of traffic control system. It was calculated speed-related mass of CO emission from traffic tail pipe of data from traffic system, and parameters are considered, volume, composition, average velocity, link length. An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at of a method of emission calculation by VKT(Vehicle Kilometer Travelled) of vehicles of category.

  • PDF

FOCUS 1 - 배출권거래제, 이상과 현실의 조화가 과제

  • 한국시멘트협회
    • Cement
    • /
    • s.196
    • /
    • pp.29-33
    • /
    • 2012
  • 배출권거래제의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담은 시행령이 최근 확정 공포되었다. 지난 2012년 5월 산업계 반대로 논란이 많았던 배출권거래제가 여야 합의로 전격적으로 국회를 통과한 후 약 7개월 만에 구체적인 시행방안까지 확정된 것이다. 2015년 제도 시행까지는 만 2년 정도 밖에 남지 않았다. 2014년에 정부와 기업간 구체적인 배출권 협상이 진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시간이 많지 않다. 특히 산업경쟁력과 환경보호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정부 입장에서 배출권거래제의 균형 있는 실행이 쉽지 않은 과제가 될 전망이다. 여기서는 LG경제연구원의 '배출권거래제, 이상과 현실의 조화가 과제' 보고서를 통해 배출권거래제 실시에 따른 산업계 영향과 합리적인 실행방안 등에 대해 살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