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데이터처리

Search Result 2,426,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Timing Constrained Spatial Query Processing for Real-time Spatial Database System (실시간 공간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의 시간제약조건을 갖는 공간질의 처리)

  • 임정옥;조숙경;김경배;이순조;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78-280
    • /
    • 1999
  • 실시간 GIS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기존의 GIS 시스템과는 달리 동적인 공간데이터가 신뢰성을 위해 일정한 시간 내에 갱신되어야 유효성을 유지하며, 사용자가 요청하는 질의는 일정 시간 내에 처리되어야 하는 시간제약조건을 갖는다. 이러한 GIS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실시간 공간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고려되지 않은 동적 실시간 공간데이터와 실시간 공간질의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며 질의 처리 시 실시간 데이터와 실시간트랜잭션의 시간제약조건의 만족을 초대화하기 위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공간질의 처리 시 예측성을 최대화 하기 위해 질의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데이터를 주기억상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고, 실시간 공간데이터의 관리를 위하여 공간질의어를 확장하였다. 또한 실시간 공간질의 처리 시에 실시간 데이터와 실시간트랜잭션의 시간제약조건을 최대한 만족시키기 위해 공간질의 분석과 연산 순서의 재배치 기법을 사용하였다.

  • PDF

Data Processing Method for Real-time Safety Supervision System in Railway (실시간 철도안전 관제를 위한 데이터 처리 방안 연구)

  • Shin, Kwang-Ho;Jung, Hye-Ran;Ahn, 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9 no.4
    • /
    • pp.445-455
    • /
    • 2016
  • A goal of the Real-time railway safety supervision system is to improve the safety oversight efficiency and to prevent accidents by integrating existing distributed monitoring systems, train, signal, power and facilities. So, the system require better performance regarding real-time processing based on big data. The disk-based database that is used in existing railway control systems has a problem with real-time processing; memory-based databases haves a limitation in terms of big-data processing; and time series databases haves a limitation in terms of real-time processing. So, we need a new database architecture for simultaneous real-time processing based on big data. In this study, we review the existing railway monitoring systems and propose a new database architecture for a real-time railway safety supervision system.

An Inference System for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Real-time Big Data (실시간 빅데이터 기반 딥러닝 모델 추론 시스템)

  • Park, Kyongseok;Yu, Chan Hee;Kim, Yuseon;Um, J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736-737
    • /
    • 2021
  • 최근의 빅데이터 처리 환경은 실시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실시간 빅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기존의 배치처리 방식의 빅데이터 기술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요구를 포함하여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다양한 문제들을 고려해야 한다. 기계학습 모형을 활용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경우 모형 개발을 위한 배치처리 기술과 함께 모형의 배포와 최적화 등도 고려되어야 하며 발전 설비나 제조, 공정, 배송 등의 분야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론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 데이터를 활용한 예측 모형 개발과 실시간 데이터 처리 그리고 추론을 위한 모델 배포와 최적화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환경을 제공하여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을 수행하였다.

Message Latency-based Load Shedding Mechanism in Apache Kafka (아파치 카프카의 메시지 지연시간 기반 로드 쉐딩 메커니즘)

  • Kim, Hajin;Bang, Jiwon;Son, Siwoon;Choi, Mi-Jung;Moon, Yang-S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573-576
    • /
    • 2018
  • 아파치 카프카(Apache Kafka)는 데이터 스트림을 실시간 전달하는 분산 메시지 큐잉 플랫폼이다. 카프카는 대다수의 실시간 처리 응용에 사용되는데, 흔히 데이터 스트림의 발생지와 실시간 처리 시스템 사이(입력) 또는 실시간 처리 시스템과 처리 결과의 목적지 사이(출력)에 배치된다. 분산 기술을 도입한 카프카는 다른 메시지 큐잉 기술에 비해 대용량 데이터 스트림을 더욱 빠르게 전달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카프카에 적재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양과 실시간 처리 응용의 수가 증가할수록 메시지 지연시간은 매우 높아질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카프카의 메시지 지연 문제를 해결하고자 카프카의 로드 쉐딩 엔진을 제안한다. 로드 쉐딩의 세 가지 필수적인 결정에 따라, 제안하는 로드 쉐딩 엔진은 카프카의 프로뷰서에서 지연시간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일부 메시지 전송을 제한하여 지연시간을 줄인다. 실제 실시간 처리 응용으로 실험한 결과, 단일/다중 데이터 스트리 모두 로드 쉐딩이 바르게 작동하여 지연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오르내림이 반복되는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는 데이터 스트림의 입출력을 카프카로 관리하는 실시간 처리 응용에 로드 쉐딩 기법을 적용한 첫 번째 시도로서, 앞으로 데이터 스트림 처리에 사용될 의미 있는 연구라 사료된다.

Squall: A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Framework based on TMO Model for Real-time Events and Micro-batch Processing (Squall: 실시간 이벤트와 마이크로-배치의 동시 처리 지원을 위한 TMO 모델 기반의 실시간 빅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

  • Son, Jae Gi;Kim, Jung Guk
    • Journal of KIISE
    • /
    • v.44 no.1
    • /
    • pp.84-94
    • /
    • 2017
  • Recently, the importance of velocit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big data (5V: Volume, Variety, Velocity, Veracity, and Value), has been emphasized in the data processing, which has led to several studies on the real-time stream processing, a technology for quick and accurate processing and analyses of big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 a Squall framework using Time-triggered Message-triggered Object (TMO) technology, a model that is widely used for processing real-time big data. Moreover, we provide a description of Squall framework and its operations under a single node. TMO is an object model that supports the non-regular real-time processing method for certain conditions as well as regular periodic processing for certain amount of time. A Squall framework can support the real-time event stream of big data and micro-batch processing with outstanding performances, as compared to Apache storm and Spark Streaming. However, additional development for processing real-time stream under multiple nodes that is common under most frameworks is needed. In conclusion, the advantages of a TMO model can overcome the drawbacks of Apache storm or Spark Streaming in the processing of real-time big data. The TMO model has potential as a useful model in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Real-time Abnormal Behavior Detection by Online Data Collection (온라인 데이터 수집 기반 실시간 비정상 행위 탐지)

  • Lee, Myungcheol;Kim, ChangSoo;Kim, Ik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208-209
    • /
    • 2016
  • APT (Advanced Persistent Threat) 공격 사례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APT 공격을 해결하고자 이상 행위 탐지 기술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APT 공격의 탐지율을 높이기 위해서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소스로부터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시간 분석하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시스템들의 실시간 처리 및 분석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시간 비정상 행위 탐지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에 수집된 오프라인 데이터 기반이 아닌 온라인 수집 데이터 기반으로 실시간 비정상 행위를 탐지하여 실시간성을 제고하고 입출력 병목 문제로 인한 처리 성능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서 제안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 -Time Analytics System for Network Packet Trend Analysis (네트워크 패킷 트랜드 분석을 위한 실시간 스트림 데이터 분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Park, Seo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72-75
    • /
    • 2016
  • 스마트폰, 센서, 소셜미디어, 웹 서비스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의 폭증으로 인하여 빅데이터의 분석 및 활용에 대한 요구가 커져가고 있다. 특히 스마트 기기의 발달과 사용자 이용 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스트림 데이터는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지만, 기존의 하둡을 이용한 분석 시스템은 응답시간이 지연되어 빠르게 결과를 조회할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증가하면서 람다 아키텍쳐가 등장하였다. 람다 아키텍쳐는 데이터 처리 과정을 배치 레이어와 스피트 레이어로 나누고, 스피드 레이어에서는 배치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스트림으로 유입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가장 최근의 데이터를 빠르게 조회 할 수 있도록 결과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람다 아키텍쳐를 활용하여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대용량의 스트림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실시간 분석과 동시에 배치 분석을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Monitoring Tools for Efficient Overload Measurements in Apache Kafka (Apache Kafka에서 효율적인 과부하 측정을 위한 모니터링 도구)

  • Bang, Jiwon;Son, Siwoon;Moon, Yang-Sae;Choi, M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52-54
    • /
    • 2017
  • 실시간으로 빠르게 발생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Apache Storm, Apache Spark 등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 처리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대부분의 실시간 처리 기술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데이터 스트림의 입출력을 위해 메시징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pache Kafka는 대표적인 분산 메시징 시스템으로써,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대용량의 로그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특화된 시스템이다. 현재 Kafka를 위한 다양한 성능 모니터링 도구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도구들은 Kafka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양 이외에도 유입 데이터의 크기, 수집 속도, 처리 속도 등 다양한 데이터들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논문은 Kafka에서 제공하는 도구와 오픈 소스로 제공되는 여러 개의 도구들을 비교하여, 향후 Kafka의 로드 쉐딩에 대한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모니터링 도구를 선별하고자 한다.

An Multi-Channel Media Data Processor for Mobile Devices (모바일 단말을 위한 다채널 미디어 데이터 처리기)

  • Kang Mi-Yeon;Kim Do-Wan;Kim Yoon-Soo;Chung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352-354
    • /
    • 2005
  • 인터넷을 통하여 비디오, 오디오 등 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승 받아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은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클라이언트 측의 필수적인 기능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PC 등의 데스크탑 뿐만 아니라 PDA, 핸드폰, 유무선 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에서도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단말에 적합한 MPEG-4 기반의 다채널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4개의 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재생하는 Pocket PC 기반의 PDA용 MPEG-4 미디어 데이터 처리기를 구현한다. 본 처리기는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모바일 단말의 자원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한다.

  • PDF

Real-time stream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IoT node cluster (IoT 노드 클러스터 기반의 실시간 스트림 데이터 처리 방안)

  • Lim, Hwan-Hee;Kim, Dong-Hyun;Lee, Byung-Jun;Kim, Kyung-Tae;Youn, 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1-4
    • /
    • 2019
  • Edge Computing 환경에서는 데이터 처리와 시스템 제어를 위한 별도의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다. 서버를 통한 중앙통제 방식이 아닌 Edge computing에 사용된 IoT기기들이 연동되어 데이터 분산 처리와 연산을 통해 전체 시스템이 동작된다. 이러한 Edge computing 시스템 구조 특성상 전체 시스템이 과부하를 피하기 위해 각 IoT 기기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감지되는 실시간 상황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 하여야한다. 이에 따라 실시간 상황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거나, 다양한 데이터 분석처리 알고리즘들이 연구 개발되어 데이터 처리에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데이터의 정보 흐름과 타입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예상분석 및 획일화된 알고리즘을 통해서 분석되기 때문에 해당 플랫폼이 주로 지향하는 데이터 형식에 맞지 않으면 성능저하를 수반하며 사용에 제약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 실시간 반응성 향상을 목표로 오픈소스 기반 스트림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비교 분석과 Fast-reaction을 위한 데이터 처리 도구 비교 분석을 연구를 진행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