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습교육

검색결과 2,379건 처리시간 0.036초

카데바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죽음태도 및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ducation in Cadaver Practice on the Self-efficacy, Attitudes to death and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Nursing students)

  • 서영숙;정추영;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317-324
    • /
    • 2017
  • 본 연구는 카데바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죽음태도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1월 1일에서 11월 30일까지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의 1개 대학교 2학년 중 연구 참여를 희망하고 동의한 실험군 29명, 대조군 30명으로 총 59명이다. 카데바 실습교육은 회기 당 이론교육 3시간, 실습교육 4시간으로 구성하였고, 총 3회기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2$ 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카데바 실습교육 적용 전후의 두 집단 간의 자기효능감, 죽음태도 및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비교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카데바 실습교육 실시 전후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t=2.62, p=.028), 죽음태도(t=5.67, p=.000)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t=2.57, p=.013)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카데바 실습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고, 죽음태도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해부학 실습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광통신 시공인력 실습교과과정 및 종합 실습장 조성에 관한 연구 (An optical fiber construction training curriculum and an embodiment system)

  • 김명생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22-31
    • /
    • 2003
  • 광통신 실습교육이 대학 및 전문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습의 내용이 각부분별로 이루어지고 있어 광통신망 구축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광통신의 교육은 단순한 접속위주의 교육만이 이루어져 시공현장에서는 단순한 기능인력으로만 취급되어져 왔다. 따라서, 시공현장에서 광통신망에 전체적인 내용을 평가하고 설계, 감독 및 실제 융착 접속까지 전반전인 내용을 습득할 수 있는 종합 광통신 실습교육 과정 및 종합교육장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통신 시공인력을 위한 실습교과 과정의 필요내용과 이를 실습할 종합광통신 실습장 구현에 필요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 PDF

수학과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관한 교육실습생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role and teaching guidance of cooperating teachers in mathematics teaching practicum)

  • 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47-76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수학과 수업실습의 내실화를 위하여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실습을 마친 34명의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교육실습생들이 수업실습 기간 동안 작성한 교과지도 활동지 또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에 의하면, 예비교사들은 대체로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실태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담 및 교과지도 활동지 분석 결과에 의하면,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은 주로 수업의 반성 및 평가의 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지도 내용으로는 교수-학습 방법 및 교수-학습 내용적인 측면에 대한 지도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는 교사교육자, 수업 참관자, 수업 협력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실습지도교사의 교사교육자 또는 수업 협력자로서의 역할이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 PDF

가상현실을 이용한 실습 Cyber 강좌의 제작 (Development of Cyber Lectures for Experiment Course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 조세홍;김정화;이진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하)
    • /
    • pp.884-887
    • /
    • 2003
  • 컴퓨터 기술 발전에 발맞추어 교육 분야에서 전통적인 교육 방식을 대체하는 사이버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사이버 교육은 멀티미디어 등 컴퓨터 기술력을 바탕으로 off-line 교육이 가지는 교육의 질을 구현하고는 있지만, 실험, 실습이 필요한 교과목이나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정서적 교류가 요구되는 과목 등을 위하여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학생들이 직접 실험, 실습을 하고 있다는 현장감을 줄 수 있는 가상현실 기법을 사용하여 실험, 실습이 필요한 과목을 On-Line화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현장실습 전 현장적응교육이 치위생과 재학생의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daptation Education on Performance Confidence and Practical Skill of Dental Hygiene Students before Field Practice)

  • 김명은;김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20-62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첫 현장실습을 시작하는 치위생과 재학생들에게 현장적응교육을 수행한 후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치위생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15시간 동안 현장적응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전·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행자신감을 조사하였고 교육 후 간접 및 직접 실기 평가를 통해 실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한 현장실습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교육 전후비교는 paired t-test, 현장적응교육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현장실습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교육 수행 후 재학생의 수행자신감, 간접실무능력 및 직접실무능력은 교육 전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수행자신감, 간접/직접실무능력, 교육만족도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연관성 분석 결과, 교육만족도가 현장실습만족도 중 '교육내용', '현장실습에 도움' 영역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에 따라 현장적응교육은 첫 현장실습의 적응력을 높이고 현장실습 만족도를 높이므로 향후 다양한 적응 교육을 개발하여 운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선박소화훈련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a Ship Firefighting Drill Simulator)

  • 김원욱;김대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10-416
    • /
    • 2016
  • 우리나라는 세월호 사고 이후 해양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해양관련 종사자들에 국한하지 않고 대국민 해양안전의식 고취를 위해 학교 및 해양관련 단체에서 다양한 교육훈련 및 체험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선원의 안전교육은 SOLAS 규정에 의거 여객선은 10일, 상선은 매월 1회 소화 및 퇴선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세월호 사고 이후 교육훈련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교육 정원을 기존 40명에서 20명으로 줄여 모든 교육생이 실제 교육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의 교육훈련 형태는 교재에 의거한 이론교육 실시 후 실제 실습을 행하는 2단계 교육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인적, 물적 여건상 교육생들에게 많은 실습시간 부여 및 소수인원으로 구성된 실습교육이 곤란한 상황이나 시뮬레이션 기법이 도입될 경우 실습 전 숙달된 능력으로 실습교육의 빠른 진행으로 많은 실제 실습교육 수행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에서는 해상안전교육 중 소화훈련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총 3단계로 구분한 교육훈련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이론 교육 후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개인별 임무 숙지 및 장비 사용법에 대한 이미지트레이닝교육을 추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할 경우 이론교육으로 얻어진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훈련 전 가상으로 먼저 시행함으로서 실습교육에 빠른 적응이 가능하며 시뮬레이션 특성상 실제 훈련에서는 곤란한 긴급상황 대처훈련 및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한 반복훈련이 가능하다. 이렇게 실습 전 숙달된 능력을 바탕으로 실습교육의 진행 속도를 증가시켜 많은 실제 실습교육을 수행할 수 있어 교육훈련 효율성이 증대될 것이다. 실제 교육생 설문조사에 의하면 개인별 실습시간 부족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가상현실 기법을 이용한 시뮬레이터 개발이 필요하여 이 연구에서는 개발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교육을 위한 실습모델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e Model for Practical Education for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 최준영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83-9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양성을 위한 대학에서 EMR 교육시스템을 활용하여 교육할 수 있는 실습모델을 연구하였다. 현재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해 도입된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기준에 보건의료정보관리를 위한 실습과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서 보건의료 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편람에서 교육환경으로 제시한 실습프로그램을 EMR 교육시스템에서 실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였다. 또한 프로그램별로 보건의료정보관리 현장실습지침서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실습모델을 연구하였다. 보건의료정보관리 교육용 EMR시스템을 이용하여 마스터데이터관리, 환자 등록, 의사처방, 진료비 수납, 건강보험청구관리, 서식관리, 퇴원등록, 암등록, 미비기록관리, 보건의료데이터관리, 보건의료통계, 정보보호/보안관리에 대한 실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습모델을 연구하였다. 대학에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과정을 수행하여 보건의료정보관리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임으로써 보건의료정보관리 전문가로써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실습교육을 통하여 의료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의료서비스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보건의료 정보관리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SaaS 기반 가상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보호 교육의 장단점 (Merits and Demerits of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Using SaaS Based Virtual Training Systems)

  • 이해영;박현민;민경태;박영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211-212
    • /
    • 2019
  • 서로 다른 지역에서 서로 다른 과정의 실습 중심의 정보보호 단기 교육을 진행하기 위하여 SaaS 기반 가상훈련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aaS 기반 가상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보호 실습 교육의 장단점을 정리한다. 강사 및 수강생들은 교육 과정 중 데스크톱 가상화를 사용하여 실습 환경을 구축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한, 원격 실습 지원, 진행 상황 확인도 가능하였다. 관리자는 강사 및 장소와 무관하게 균등한 실습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었다. 향후에는 서버 가상화와 데스크톱 가상화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실습 환경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실습선 학생교육 기간에 따른 실습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I (A Study on Training Education Effect of Training Terms for Trainees in Training Ship- I)

  • 박영수;김종성;배병덕;이형기;이윤석;윤귀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3-27
    • /
    • 2006
  • 우리나라의 해양계열 대학교 실습선은 적절한 계획에 의하여 연안항해 및 원양항해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안항해 및 원양항해가 과연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의 교육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다. 이러한 교육효과에 대한 첫 번째 연구인 본 연구는 실습선 운항일정(운항기간)에 의하여 실습교육 효과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효율적인 실습교육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05학년도 1학기 한국해대 실습선 한바다호에 승선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습기간별 평가를 6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평가방법으로는 해기교육 평가와 관련한 3급 항해사 문제집에서 무작위로 선별하여 평가를 하였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학부의 학점이 우수한 학생들의 평가점수가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평가기간에 따라서는 원양항해실습이 종료된 직후의 평가점수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습기간의 증가에 따라 각 개인의 해기취득 능력차이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