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물확인욕구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A Study on Personalized Product Demand Manufactured by Smart Factory (스마트팩토리 환경의 개인맞춤형 제품 구매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Woo, Su-Han;Kwon, Sun-Dong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8 no.1
    • /
    • pp.23-41
    • /
    • 2019
  • Smart Factory is different from existing factory automation in that it aims to produce personalized products with minimum time and cost through ICT. However, previous researches, not from consumers but from product suppliers, have focused on technology trends and technology application methods. In order for Smart Factory to be successful, it must go beyond supplier-focu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personalized product manufactured by smart factory. Influencing factors of purchase intention were drawn as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innovativeness, need for touch, and privacy concern, based on previous research. As results of data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urchase personalized products, and that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innovativeness, and need for tou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of personalized products. Ou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beta}=0.168$) on purchase intention of personalized products. The desire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will be reflected in their personalized products. Therefore, consumers with a higher desire for uniqueness tend to be more willing to purchase personalized products. Second, consumer innovativeness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beta}=0.233$) on purchase intention of personalized products. Personalized shoes suggested in this study is a new type of personalized product that is manufactured by the late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multi-function robots and 3D printing. Therefore, consumers seeking innovative new experiences are more willing to purchase personalized products. Third, need for touch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beta}=0.299$) on purchase intention of personalized products. In a smart factory environment, prosuming participation is given to consumers. If consumers participate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reflect their requirements on the product, they are expected to increase their purchase intention by virtually satisfying the need for touch. Fourth, privacy concern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ly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of personalized products. This is interpreted as a willingness to tolerate the risk of exposing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home address, telephone number, body size, and preference for consumers who feel highly useful in personalized product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umer Behavior between Online and Offline Channels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경로에서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비교연구 -제품유형과 구매속성 중요도를 중심으로-)

  • Park,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b
    • /
    • pp.145-163
    • /
    • 2001
  • 최근 인터넷 상거래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기업의 경쟁이 실물세계와 가상세계에서 발생하는 현상이 전개되고 있다. 즉, 유통경로의 측면에서 볼 때 기존의 물리적 세계에 존재하는 전통적인(오프라인) 유통경로와 사이버공간에 존재하는 가상(온라인) 유통경로가 서로 경쟁하는 형국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유통경로간 경쟁의 중심부에는 고객이 자리잡고 있다. 어떤 경로든 소비자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들에게 최상의 유통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는 생존·번영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논의들과 현상들을 볼 때, 어느 한 유통경로가 다른 유통경로를 완전히 대체하는 제로섬 게임의 양상은 나타나고 있지 않다. 즉, 상당기간 두 유통경로는 상호 병존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 두 경로가 자신들만의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가지고 생존할 수 있는 마케팅전략을 구상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러한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들 두 경로상에서 소비자의 구매(쇼핑)행동은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유통경로와 오프라인 유통경로에서 소비자 구매행동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제품유형별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구매속성중요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확인. 검증해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캐주얼의류, 여행상품, 음악CD를 가지고 인터넷 사용자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한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구매속성 중요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매장이 어떻게 차별화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계육내 CLAisomer는 1, 2, 3% 급여구에서 각각 12.23, 18.74, 25.67 mg/g으로 처리구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CLA의 급여는 SBO와 CT에 비하여 증체량을 개선하고 혈중HDL을 높여주는 경향을 보였지만 ND항체가는 개선되지 못하였다.으며, 그 효과는 농도에 의존적이었다, 고콜레스테롤 투여군(HC)의 분변 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 농도는 정상대조군(C)에 비해 다소 높았고, 총 콜레스테롤의 경우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뽕잎첨가군(HC5M과 HC10M)의 총 지질,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는 콜레스테롤 투여군(HC)에 비해 분변으로 배설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뽕잎 분말은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하는 경우 혈청과 간장의 지질수준은 떨어뜨리고, 분변중 지질배설량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보인다.둘째. 1990년대 한국과 미국 패션시장의 가격과 품질간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제품군별. 산업범주별 로 상이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패션제품군별로 보 면, 한국의 경우는 가장 높은 '여행용가방(r = 0.707)' 에서 가장 낮은 '자외선 차단화장품(r = -0.58)'까지, 그리고 미국 패션제품군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팬티 스타킹'의 0.820에서 '남성용 런닝슈즈'의 -0.472까지의 분포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가격과 품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가 알 경우 얻을 수 있는 소비자의 구매이득 을 추산한 결과 패션제품시장에서 완전한 품질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 '현명한 사람'은, 최고가격의 제품만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