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 위치확인시스템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Removing Identifying Ambiguity Using GPS in Image-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영상 기반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GPS 신호를 이용한 식별 모호성 제거)

  • Shim, Wonil;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11a
    • /
    • pp.241-243
    • /
    • 2013
  • 영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실내에서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영상 기반의 측위 또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우리는 시스템 구축 비용이 많이 들지 않으면서도 많은 서비스에 활용 할 수 있는 영상 기반의 실용적 측위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 시스템은 실내에 미리 설치 된 간판이나 광고 등을 식별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 기반의 시스템이기 때문에 같은 영상이 서로 다른 참조 대상으로 등록 될 경우, 이것을 서로 구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실내에서는 GPS 와 같은 위성 항법 신호 수신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GPS 를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할 수는 없다. 그러나, 특정 지점에서 수신되는 GPS 신호가 유사한 점을 이용하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 된 동일한 이미지의 참조 대상을 구별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추가적인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영상 기반의 실용적 측위 시스템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 하면서 측위 성능을 더 높 힐 수 있는 방법이다.

  • PDF

Direction detection and autonomous mobile robot using LED lighting-based indoor location recognition system (LED 조명 기반 실내위치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로봇의 방향 검출 및 자율주행)

  • Bang, Jae Hyeok;Park, Su Man;Yi, Keon 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298-1299
    • /
    • 2015
  • 이동 로봇의 자기 위치 인식 방법으로 GPS를 많이 이용하지만 건물 내부공간에서는 위성신호 수신 장애가 있기 때문에 GPS 사용이 어렵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양한 형태의 실내 측위 기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최근에는 WiFi를 이용한 방법이 일부 상용화 되고 있으나 정밀도가 3~5m라는 한계가 있으며, LED 조명을 이용한 방법은 실용화 단계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당 연구실에서도 LED조명을 기반으로 한 실내위치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지난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자율주행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연구에 덧붙여 두개의 수신부를 이용하여 로봇의 방향인식오류 개선 및 이동 로봇의 자율주행을 보여주고자 한다. 제시된 시스템은 이동로봇, 조명제어장치 그리고 컴퓨터로 구성된다. 이동로봇은 상용화된 마이크로 마우스에 탑재된 조명신호 수신장치를 통하여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며, 컴퓨터와의 Wi-Fi 통신으로 자신의 위치를 컴퓨터에 전송하거나 위치 명령을 수신한다. 컴퓨터에서는 수신 받은 이동로봇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며, 이동로봇에 전달할 위치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이동경로를 설정한 후 이동로봇으로 명령을 보내면 로봇은 자신의 위치와 목적지를 비교하며 자율주행을 하게 된다.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지난연구의 방향인식의 문제점이 해결되어 제시된 시스템으로 실내공간에서도 이동로봇의 자율주행이 원만히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f indoor localization system for ubiquitous home (유비쿼터스 홈을 위한 실내위치인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Yun, Jung-Mee;Chung, Jin-Wook;Kim, Dae-Hwan;Lee, Sang-Hak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5.11a
    • /
    • pp.1117-1120
    • /
    • 2005
  • 위치응용 서비스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구현의 기반이 되는 중요 기술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스마트 홈, 지능형 단말기, 스마트 스페이스의 구현을 위해서는 광역범위보다는 실내환경에서의 사용자, 오브젝트의 위치인식에 대한 연구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센서 플랫폼 및 통신기술을 이용한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해 기술하고자 한다. 사용자 위치인식을 위한 기반기술로 RF 무선신호와 초음파신호간의 속도차를 이용한 DTOF 기반 거리측정과 삼각측량 기법을 이용하였다. $3{\sim}10cm$ 의 위치오차를 가지는 정밀 위치계측 기술로, 개발된 시스템은 무선센서 플랫폼과 임베디드 게이트웨이 시스템, 위치계측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시스템의 개발 및 실제환경에서의 테스트를 통하여 실생활 응용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차보정 및 멀티 센서를 통한 위치보정기법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PDF

실시간 측위 시스템(RTLS) 및 스포츠 트래킹 기술

  • Sin, Pil-Sun;Gwon, Jong-Man;Sin, Hyeon-Sil;Kim, Gi-I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2
    • /
    • pp.13-23
    • /
    • 2015
  • Real Time Location System(RTLS)는 실시간으로 사물의 위치 정보 측위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RTLS 시스템은 물류, 헬스케어, 생산 시설 등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경마, 미식축구 및 발레 등 여러 스포츠 종목에 도입하고자 하는 시도가 늘고 있어 동계올림픽의 각 종목을 위한 훈련, 분석, 서비스 등에의 적용을 위한 개발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RTLS)은 근거리 및 실내와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의 위치 확인 및 위치 추적 시스템을 통칭하고,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LBS) 처럼 사람 또는 사물의 위치를 확인하지만 주로 제한된 공간에 활용되므로 '실내위치 추적 서비스(IPS: Indoor Positioning System)'라고 불리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RTLS의 기술과 이를 스포츠에 접목하기 위한 사례를 중심으로 그 동향을 분석한다.

A Study on Multi-hop Positioning Error in Indoor Positioning System (실내 위치 추정 시스템에서의 멀티 홉 위치 오차에 관한 연구)

  • Oh, Jongtae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6 no.2
    • /
    • pp.123-129
    • /
    • 2016
  • Recently indoor positioning technologies have been studied using the acoustic signal from a smart phone. Also multi-hop indoor positioning system in which the equipments measure their relative position successively has been proposed. As the total positioning error is prone to increase due to the successively accumulated positioning error for the multi-hop system, the error analysis is required for the system design. In this paper, the absolute positioning error for the multi-hop indoor positioning equipments successively installed is analyzed, and it is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ccumulated positioning error is linearly increased as the number of the multi-hop increases.

Wireless LAN based indoor position monitoring system (무선랜기반의 실내 위치모니터링 시스템)

  • Kim Myung-Gwan;Kim Jin-Woo;Park Hyu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81-1384
    • /
    • 2006
  • 실내 위치인식 기술은 유비쿼터스 구현의 기반이 되는 중요기술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병원의 환자 관리, 실버타운의 노인관리, 스마트 홈의 구현을 위해서는 실외의 광역범위보다는 실내에서의 사용자 위치인식에 대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랜기기 및 통신기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해 기술하고자한다. 사용자 위치인식을 위한 기반기술로 무선랜의 전파신호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이용한 삼변측량 기법을 이용하였다. 구현될 시스템은 무선랜기기와 지형 맵핑서버, Access Point(AP)로 구성되며, 시스템의 개발 및 실제 환경에 서의 테스트를 통하여 실생활 응용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Development of Indoor Determination System using Smart Phone by User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실내 측위 시스템 개발)

  • Kim, Young-Ho;Lee, Dong-Geon;Seo, Won-Il;Kim, Yun-Joo;L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526-528
    • /
    • 2013
  • 최근 실내 측위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많은 위치 인식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기존의 실내 위치 인식 기법은 사전에 획득한 맵 정보나 미리 구축한 기반 시설이 필요하거나, 추가 장비를 착용 및 부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내부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여부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평균적인 이동속도와 방향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이동방향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구현하여 실험한 결과 약 ${\pm}75cm$ 이내의 오차에서 위치 인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Robust Outlier Extended Kalman Filter (이상 잡음에 강인한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실내 위치 추정 시스템)

  • Kim, Dong-Seon;Yeom, Hak-Sun;Kim, Sun-W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0 no.9
    • /
    • pp.954-960
    • /
    • 2009
  • In this paper, Indoor Positioning System based on Wi-Fi system which is one of the key technology in LBS(Location Based Service) i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estimates distance between MS(Mobile Station) and AP(Access Point) using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is affected by outlier that originate from indoor environment complexity and obstacl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Robust outlier Extended Kalman Filter that can ignore, real-time outlier in the observations. To demonstrate performance of propo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we used a PDA as the MS.

A Study on Combination of GPS and RFID in Continuous Indoor/Outdoor Positioning (실/내외 연속 위치결정을 위한 GPS와 RFID 신호의 결합에 관한 연구)

  • Chang, An-Jin;Yang, Sung-Chul;Joo, Hyun-Seung;Yu, Ki-Yun;Kim, Yong-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77-282
    • /
    • 2007
  •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실외에서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대상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실외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광범위한 지역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건물 인근 지역에서는 위치결정에 필요한 수의 위성이 확보되지 않고, 다중경로 오차의 영향 등으로 위치결정이 불가능하고 실내에서 활용 가능한 수준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실내 위치 결정을 위한 다양한 방법 중에 RFID를 이용한 방법은 GPS 에 비해 위치 정확도는 낮지만 실내에서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위치 결정이 가능하므로 GPS로 위치 결정이 불가능한 지역에 시스템을 구축하면 설내/외에서 연속적인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연속적 위치 결정을 위해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한 실외 지역에서 RFID 시스템을 설치한 건물 안으로 이동하면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내외에서의 연속적인 위치결정을 수행하였다. 특히,데이터 에포크 간의 거리를 통해 이상점을 탐지하고, 이상점(Outlier)이 발생할 경우 다른 센서로 위치결정을 대체하는 기법을 제안하였고 그 결과 실내외에서 연속적인 위치결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Wifi-based Position Data Analysis System designed to increase indoor space utilization (실내 공간 활용 증대를 위한 Wifi기반 위치 데이터 분석 시스템 설계)

  • Kim, Jin-Ah;Cho, JaeHyeon;Moon, Namm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390-392
    • /
    • 2016
  • 최근 위치 기반 서비스의 활용이 높아졌으며 특히 Wifi를 사용한 위치 측위 기술의 발달로 실내위치 인식 서비스가 증가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내 공간 활용 증대를 위하여 실내 공간에서의 위치 측정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위치 측정을 위해 Wifi기반 Fingerprinting 기술을 통해 라디오 맵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제 교내 도서관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도서관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과 장소를 기준으로 이루어졌으며 시간과 장소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