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 공간 요소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21초

근거리 사진계측을 이용한 매입말뚝 하부 터널 굴착 시 주변 지반의 거동 연구 (A study on soil behaviour due to tunnelling under embedded pile using close range photogrammetry)

  • 공석민;이용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65-376
    • /
    • 2016
  • 도심지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지상공간은 점차 부족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대책으로 지하공간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으며, 지하공간에 대한 연구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터널굴착과 같은 지하공간에 대한 연구는 터널 굴착방법, 터널 및 상부구조물의 형상, 주변지반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가져오며, 기존 지하공간에 대한 연구는 수치해석으로 터널굴착과 주변 구조물의 상관관계를 예측하거나 실내모형시험을 통해 구조물의 거동 및 지표침하를 관측하는 정도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된 것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반 주변 구조물뿐만 아니라 지반의 거동 및 구조물과의 상호관계를 실내모형시험을 통해 모사하였다. 또한 터널굴착에 따라 변화하는 지반의 거동을 근거리사진계측 및 이미지프로세싱 기법을 통해 관측하고,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이용한 역해석을 통해 다양한 지반의 상태를 예측해보았다.

한·중 커피전문점의 실내 공간 환경 디자인 비교 연구 - 스타벅스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of Korean-Chinese Coffee Shop - Focusing on the Starbucks)

  • 조링;조정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23-132
    • /
    • 2019
  • 현대사회의 속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도 빠르게 흘러가게 되었다. 즉 카페는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도시의 휴식처가 되었으며 스타벅스의 현지화가 더욱 확대됨에 따라 각양각색의 테마 카페들 사이에서 어떻게 두각을 드러내었는지, 카페 공간의 환경 디자인에서 어떤 뚜렷한 특징을 드러내었는지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 범위로는 중국의 상하이, 쑤저우, 선전, 베이징 네 곳과 한국의 부산, 서울, 경주, 제주 네 곳이며 이러한 지역의 스타벅스 실내 환경 디자인을 현지조사를 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카페 내부 환경의 디자인 특징과 스타일을 대조하였으며 공간 디자인의 각 요소를 분석하여 한국과 중국의 스타벅스 환경 디자인의 차이점을 종합하였다. 동시에 향후 카페 디자인 전략의 방향과 향후 발전될 디자인에 대해 제기하였으며 조사결과 스타벅스 브랜드의 실내 환경 디자인은 주로 지역 문화의 특징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경제 문화의 특징에 근거하여 유행하는 문화 요소를 표현하였고 특징 있는 카페 브랜드 문화를 만들어내며 카페 시장의 활발한 발전을 이끌었다.

사무실 조명에서의 Discomfort Glare 계산법 적용 및 평가 (Evaluation of Discomfort Glare Indices in Office Lighting)

  • 허남돈;김훈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3-21
    • /
    • 2002
  • 실내공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조명방식으로 TAL 및 전반조명방식 등을 언급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실내 조명환경에서는 전반조명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여기서, 가장 주요한 조명기술 요소가 바로 Glare이며, 특히 VDT를 사용하는 작업환경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실내 조명환경에서의 Glare에 대한 연구 및 평가법은 CIE 및 IESNA 등에서 꾸준히 연구되어 제시되고 있으며, 각종 실내 조명환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의 실내 조명상황에 대해 Glare평가를 위한 G 분류가 제시되고 있지만, 평가에 있어 그 한계성이 있으며, 이 외에는 좀더 상세한 Glare 규정이 없는 실정이며, 각종 실내 조명환경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게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요 Glare규정들을 가지고, 국내의 조명상황에 맞춰 실내 공간 및 조명기구 등을 각각 선정한 후, Glare 평가법들을 적용하였다. 또한 국내의 실내 조명환경에 적합한 Glare Index를 제시하고자, 평가법 상호간의 비교 및 적합성을 꾀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국내에 맞는 Glare Index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웹 및 건물정보모델기반 실내 환경 디지털 시각화 -온습도와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중심으로- (Web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based Visualization of Indoor Environment -Focusing on the Data of Temperature, Humidity and Dust Density-)

  • 황금화;이진국;전규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27-336
    • /
    • 2017
  • 최근 실외 및 실내 공기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관련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실내 환경의 여러 요소 중 특히 사람들의 쾌적감에 직접 영향을 주는 온열 환경과 눈에 보이지 않는 실내 공기 환경의 시각화는 그러한 이유로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거주자가 공기 질 등과 같은 실내 환경 상태를 기존의 숫자나 그래프 등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하여 기존의 실내 환경 시각화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개선방법을 모색하여 보다 효과적인 웹 및 건물정보모델기반 시각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해당 실내 환경 시각화 과정은 크게 네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는 건물 모델 데이터 생성, 실내 환경 데이터 생성, 시각화 표현 요소 생성, 데이터 매핑 및 시각화 결과 생성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생성된 시각화 결과는 다양한 실내 환경 요소의 동시 파악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대상 공간의 기하학적 모델과 측정된 실내 환경 데이터를 연계하여 시각화함으로써 실내 환경 상태의 파악이 직관적이며 즉각적이다. 본 논문은 IoT 등의 기술로 즉각적이고 자동화된 실내 환경 관리시스템의 개발방향과는 별개로, 실내 환경 데이터를 적절히 가공함으로써 사용자 및 관리자 등에게 관련 시각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접근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내공기분포의 수치해법에 대하여

  • 야촌호;패총정광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6권1호
    • /
    • pp.36-43
    • /
    • 1977
  • 온도분포, 농도분포를 가미한 비압축성 유체의 기초방정식을 토출$\cdot$흡입이 있는 2차원 폐공간에 적용하고 시간공간에 차분근사로써 얻은 수치해에 대하여 서술했다. 이와같은 방법에 대해서는 미해결의 요소가 많이 있으나, 여기서는 토출풍속$\cdot$온도차$\cdot$격자수를 변화시킬 때의 해가 변화하는 모양을 계산예에 따라서 보고한다.

  • PDF

한식당 세계화를 위한 성공모델로서의 일식당 실내공간과 음식관련요소의 특성 연구 - 홍콩 소재 일식당 대상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Indoor space and Food related of Japanese restaurant as successful model for globalizing Korean restaurants - Japanese restaurants in Hong Kong -)

  • 이지현;오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4-63
    • /
    • 2009
  • The present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promoting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iming to analyze Japanese restaurants in Hong Kong, an international city successful in globalization, focused on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and food related characteristics and to use the results as basic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spaces and food of Japanese restaurants in Hong Kong, first, the locations of Japanese restaurants were mostly easily accessible luxury hotels, office buildings or shopping malls. They displayed Japanese styles well and used conspicuous signs. Their trade names were given after traditional place names, food names, greetings, etc. Second, the spaces of Japanese restaurants expressed contemporary and, at the same time, traditional styles moderately and elegantly by applying emphatic articles such as traditional furniture, tools and folk paintings to contemporary spaces with traditional air, and by doing so, they showed various possibilities. Third, as to the characteristics of food culture, menus were diversified from traditional menus such as kaiseki to everyday menus such as vinegared rice, ramen, skewered roast meat and fusion dish, and at the same time, differentiated by concept. In addition, some restaurants succeeded in globalization and modernization with chains throughout the world. Furthermore, while table setting, food dishing and tableware image were harmonized with the concept of the restaurant space, if tradition needed to be displayed it was used at a minimum, showing the Japanese aesthetic sense through the restaurant space and food. In globalizing Korean restaur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need to link trade name, facade, sign, menu and space with served food, and to plan a consistent story so that Korean culture and images are expressed. In addition, if a manual is made by benchmarking the Japanes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and relevant businesses' efforts and ideas and provided to Korean restaurants, it will be helpful for Korean restaurants, which spread Korean food culture, to be more competitive and graceful.

실내공간의 이미지 평가에 나타난 주시시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실내공간 유형별 정보획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Observation Time Found in Image Evaluation of Interior Space - Focusing on Acquisition of Spatial Information by Interior Space Types -)

  • 최주영;김주현;김종하;이정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96-104
    • /
    • 2011
  • Assuming that different spatial types involves the change of observation time to acquire the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observation time by interior space types and derive the proper time for spatial evaluation. Coming to the study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bservation time in the image evaluation of interior space by types, it looked into the observation time chosen by the testees during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bservation time differed by genders and spatial types: men's average time was longest for modern (93.3 sec.) and natural (89.4 sec.) spaces; women's average time was longest for classic space (110.7 sec.), which was the shortest for men. Second, the intensity of observation time zone differed by spatial types: this finding can imply that different design types require different establishment of observation time for evaluation even if the spatial elements are the same. Third,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time zones chosen by most testees showed that men's observation time zones were more intensely distributed than those of women. Fourthly, the observation lime for general space could be derived from the gender-based comparison that excluded the difference by types, but considering that different design types lead to different observation time, it could be seen as proper for evaluation of interior space to establish the difference of observation time by spatial types. Finally, Analysi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to the time '(3)'. However, obtaining information presented is the most highly effective time is '(6). Thus, the preferred time zone is different and effectiv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미국 콜로니알 주택과 실내 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Style of American Colonial Housing)

  • 김정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261-268
    • /
    • 2004
  • 지금까지 미국의 주택은 주로 현대 양식에 대해서 알려져 있고 전통적 주택과 실내 양식에 대해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미국의 전통적 주택인 콜로니알 시대 주택의 표현 특징과 실내의 요소별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콜로니알 양식을 규명하고자 할 뿐 아니라 이를 통해 디자인과 제작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콜로니알 주택은 영국의 죠지안 주택 양식을 그대로 모방하기보다 미국적 기후와 지역 특성에 조화하는 방식으로 정립되었으며 주택과 실내의 많은 요소가 유사한 표현 특징을 나타내었으나 그 바탕에는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디자인이 배경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주택의 발전은 오랜 시간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상자형의 2층 목조의 측면 박공 지붕 형태에 비늘판벽 마감을 하였으며 전면의 가장 중요한 장식 요소로는 현관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은 일실에서 2실과 4실 구조로 발전하였고 실내는 초기에는 바닥, 벽, 천장이 모두 나무를 주재료로 하는 방식에서 점차 죠지안의 영향으로 패널, 벽지를 사용하였고 벽난로가 있는 면을 제외하고 플라스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가구는 영국 영향의 치펜데일, 퀸 앤의 의자가 대표적이었으나 지방 특색이나 종교적 영향에 의해 등장한 소박한 형태의 가구가 배치되었으며 영국 영향의 가구에도 융통성과 편리성이 고려된 디자인이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유문화의 장으로서의 도서관 공간의 설계요소 및 인프라 체계 연구 (A Study on Design Elements and Infrastructure System of Library Space as a Place of Shared Culture)

  • 황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86-97
    • /
    • 2018
  • In modern times, pluralistic social phenomena in which various values are pursed and recognized appear. The modern society called hyper-connected, intelligence information and zero marginal cost society in which shared value is commonly emphasized faces a paradigm shift to shared society system. In particular, sharing-based activities related with intelligence information sectors more prominently emerge in the high-tech informatization which has been acceler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esign factors related with how attribution of the sharing culture is expressed in library spaces and examine how sharing infrastructure is established in users' spaces. As a research method, it initially conducted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sharing culture and information spaces, which can be regarded as sociocultural phenomena in modern times. Then, it drew sharing culture-based spatial design factors-access, openness and plurality. It analyzed configuration of spaces for sharing information-Cultural Commons (CC), Information Commons(IC) and Learning Commons (LC) - and infrastructure of information spaces, for library cases-five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The findings show that modern library spaces reflect historical needs for the sharing culture and actively serve their roles through spatial infrastructure including contents (programs) and services for sharing knowledge. The study is determined to be valuable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the infrastructure of information spaces reflecting modern social trends and cultural phenomena, in expecting spatial structures in which knowledge is reproduced and planning spaces of libraries in the future.

디자인 계획요소로 본 컴팩트 시티형 복합용도시설의 공공공간 - 센트럴 시티, 코엑스, 웨스턴돔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ign Elements for Public Space in Compact City type Multi-Use Complex - Focused on the Central City, COEX and Western Dome Facility -)

  • 김선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26-135
    • /
    • 2010
  • As public space such as plaza and square in the compact city type multi-use complex is a social public space that various communication and cultural exchange take places in city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categorize the design elements as a valuation basis for the public space in the compact city type multi-use complex. The scope of contents of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entral City, COEX and Western Dome facilities in Korea. This study review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statistical analysis about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131 users of three facilitie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urvey as follows accessibility, comfort, exchange were extracted as the aspects for evaluation for functional activity and connection, openness, hierarchy were extracted as the aspects for evaluation for space formation. The K facility's priority aspect is the accessibility and the S and the W facilities' are the open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