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재료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23초

피터 줌터 건축에 나타난 구축성에 관한 연구 - 재료, Joint와 Break, 구조, 장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ctonic Quality of Peter Zumthor's Works with a focus on materials, joint, break, structure and context)

  • 김자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252-259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material and the tectonic and their influence on the spatial quality by analyzing Peter Zumthor's projects as case studies. In the research, Zumthor's choice of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detail and structure)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text were analyzed in order to illustrate Zumthor's approach in making a strong tie with the locality. Three of Zumthor's projects of different sizes and programs were chosen to heighten the sensitivity of Zumthor's unique working method for each project. Peter Zumthor's architecture is neither superficial nor visually complex. On the contrary, he aims to express through the use of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a unique relationship with the physical context, social context and most importantly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space itself.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wards increasing the awareness and the interest in the materiality and the tectonics which are the fundamentals in spatial experience and spatial identity.

  • PDF

초등학교 건축디자인에서 마감 재료와 색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ish Material and Color Plan for Elementary School Design)

  • 김소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32-4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a systematic method of exterior, interior finish materials and color scheme for elementary school and the actual color plan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was analyzed to support the study. As a powerful design tool, a finish materials and a color are very effective to alter the perception of a building and a view. Most of the school, a shape and a material of elevations are monotonous and uniform and it makes students are hard to attach to their schools. As a place for learning and school life, the inner space of elementary classroom needs to be considered very important. The new basic guideline for developing and planning of architectural design could be achieved by researching a current plan and a finish material in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this study will benefit in planning both the exterior and interior environments of color.

레저보트${\cdot}$요트의 인테리어재료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materials in Leisure Boats & Yachts)

  • 변량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58-165
    • /
    • 2006
  • The space of leisure boats & yachts is formed by interior design elements and shapes are formed by combination of those elements. By means of configuration of the design elements, space is made in a ship and patterns in an inside space are made through production. These space can be categorized as (1) cabin(common cabin, staterooms, one-cabin), (2) salon, (3) galleys & dinette, (4) heads(showers, toilets, bidets, sinks), (5) cockpit, (6) wheelhouses, navigation stations, (7) fore peaks, (8) engine room, (9) deck etc. Interior materials are classified into (1) walls(bulkheads & lining wall), (2) floors(sole), (3) ceilings(overheads), (4) doors & windows, (5) furniture, (6) lightings and (7) Hardware & decoration in large, medium and small sizes, which constitute interior design elements of a leisure boat & yacht. The materials used in leisure boats & yachts have properties of lightweight, noise and vibration resistance, fire & flame retardant, stability, strengths, lifespan, appearance and special operation in construction.

쿠마겐코 건축공간에 나타나는 물성표현에 관한 연구 - 자연재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Materiality in Kuma Kengo's Architecture Space - Focus on the nature material -)

  • 유종호;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8-37
    • /
    • 2013
  • Architecture of the present time has a general tendency that focuses only in its permane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ground. Architecture has the temporariness. In other words, it is a losing creation. Structure of natural building materials starts its life on the ground and also ends its life on there. Natural building materials leave no building wastes on their ground. Concerns about how to let materials contain not only its physical property but also their regional relation and timely temporariness can let us express materiality of natural building materials in modern construction spaces. And also, it will be the way of recovering the value of architecture and the healing human's sensibility. Kuma Kengo made an attempt that makes the best use of materiality in his work by using them in balance and draw new materiality by a fusion of them. In here, suggestion about the ways of using weak natural materials in modern construction spaces is the main object of this paper. And we can make a progress by analyzing Kuma's expression way of materiality in his work.

제방축조재료의 응력-변형거동 예측을 위한 실내시험 및 수치해석 (Laboratory Tests and Numerical Simulations for Prediction of Stress-Stain Behavior Using Construction Materials for Embankment)

  • 정상국;구자갑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215-21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제방 축조재료로 사용되는 낙동강 모래의 응력-변형 거동특성 파악을 위하여, 삼축압축시험 등을 포함한 실내시험을 실시하였고, 조립재료의 거동 표현에 적합한 개별요소방법을 적용한 수치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개별요소해석은 삼축압축시험 과정을 모델링하였으며, 이때 이용된 미시물성치는 물성치 보정과정을 통해 산정 되었다. 특정 구속압조건을 만족시키는 미시 물성치의 산정이 가능하다면, 이 미시물성치의 이용을 통해 다른 구속압조건 및 응력재하 조건에서의 거동예측에 있어, 개별요소방법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재료의 물성 표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factor of architectural material expression)

  • 김소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60-67
    • /
    • 2006
  • In modem days when architectural materials have grave impacts on overall design expression, materials for architecture, especially finishing materials have become the most essential elements for the design expression, as architectural space and form have been. When it comes to the architectural materials, they can be conceived by visual and tactile sensory system and perceptional system which based on memory and experience. This study confirms how materials bring into effect on architecture in the sense of its design. The main subject of this analysis is expression method of architectural finishing materials. Also, this study finds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inishing materials and the images of materials by analyzing the effect factor of architectural material expression with the perspectives of materials, formal and environments and by examining roles of the architectural materials in design. The material factor, in the expression of materiality, is how to make tectonic space and to vary the surface of building as finishing material design. The formal factor is related to set up the new direction in the architectural form and to create the dynamic and informal space. And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s the effect factor gives new situation and context to architectural material expression. This principle enables us to use architectural materials a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which express the whol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교회규모에 따른 음향성능 조사분석 (Investigation of Acoustic Properties of Churches Depending on the Size of Halls)

  • 이세나;이환희;한찬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491-494
    • /
    • 2002
  • 우리나라의 교회는 점점 신도수가 늘어나면서 점차 대형화되어가고 있으며 많은 첨단 설비를 갖추고자 하는 교회도 적지 않다. 하지만, 교회설계에 있어서, 대체로 그 형태와 규모만 중요시될 뿐, 그 기능에 적합한 건축물을 짓는데 소홀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교회의 예배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음향적인 매개체는 찬양과 설교인데, 이 두가지의 물리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교회건축에 있어 실내음향은 어려운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즉, 성가는 긴 잔향시간과 음의 따뜻함(Warmth)과 친밀감(Intimacy)등이 중시되는 반면, 설교는 소리의 명료도, 요해도(intelligibility) 등이 중시되는 등 그 음향적인 특성이 달라, 각기 다른 음환경을 요구하기 때문에 강당이나 음악당보다 교회음향이 건축적으로 난점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최근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음향설계를 실시한 규모가 각기 다른 예배실의 제원과 음향성능을 조사하고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일반적인 음향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교회 음향설계단계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예배실의 규모에 따라 5개의 교회를 선정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낸 각 교회의 성가시, 설교시 실내음향인자값(SPL, RT, C80, RASTI)과 마감재료 등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대체로 규모가 큰 교회에서 음압레벨이 작게 나타났고, 잔향시간도 실의 체적이 클수록 크게 나타났지만 마감재료와 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또, 대형교회의 음향적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건축의 형태, 재료는 물론, 전기음향설비의 보강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PDF

건축물 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한 광촉매 코팅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hotocatalyst Coating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in Buildings)

  • 박현구;김종호;고성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0-157
    • /
    • 2006
  • 새건물증후군이란 새로 지은 건물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눈이 따갑거나 목이나 코가 아프거나, 두통, 구토, 피부발진 등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새집증후군 원인물질의 주요 성분으로는 건축 자재나 벽지, 페인트, 가구 접착제 등에서 발생되는 포름알데이드(HCHO)와 톨루엔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agnic Compounds), 부유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다. 새집증후군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환기에 의한 방법, 오염물질이 없는 친환경 재료의 사용 및 재료의 처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저감하고자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는 이들 방법 중 건축 재료 위에 표면코팅처리를 함으로써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건물 내 표면 코팅 전후의 공기질을 분석함으로써 실내 거주환경을 안전하게 조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xpression in Contemporary Commercial Architecture Design in China)

  • 위더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2-44
    • /
    • 2019
  • 본 논문은 문화적 표현특성을 기초로, 중국 6개 최대 도시의 대표적인 현대 상업건축 공간 사례에 대해 비교분석을 진행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현대 상업용 건물의 실내공간 문화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를 기대한다. 6개 사례를 각각 문화의 전통성, 지역성, 대중성, 기술성, 생태성 5가지 관점에서 분석했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의 전통성은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에서 구체적인 지역의 전통적 요소를 중시하도록 요구한다. 둘째, 문화의 지역성은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이 있는 곳의 경제발전 정도, 역사적 내막, 지리적 환경조건, 기후 등 사회와 자연환경 요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셋째, 문화의 대중성은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을 통해 대중문화의 통합화, 레저화, 오락화, 기호화를 나타낸다. 넷째, 문화의 기술성은 현지의 문화성을 가진 시공 방법, 구조 형식, 재료를 상업건축 실내공간에 통합하는 것이다. 다섯째, 문화의 생태성은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에 식물을 배치하고, 건강하고 쾌적하며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성토재료로 부적합한 현장 발생토의 토목섬유 보강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einforcement Effect of Geosynthetics for Surplus Soil, an Unsuitable Fill Material)

  • 홍용석;임종철;강상균;유재원;김창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20
    • /
    • 2018
  • 양호한 성토재료는 현장에서 즉시 입수가 곤란하고 재료의 확보를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여 각 현장에서는 현장 발생토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현장 발생토는 대부분 성토재료의 기준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성토체의 안정성이나 강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토재료로 부적합한 흙의 다짐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토목섬유를 보강하여 실내다짐시험과 현장다짐실험을 하였다. 실내다짐시험(KS F 2312)의 A, D다짐시험과 A다짐시험에서 다짐에너지와 토목섬유의 보강 층수를 다르게 하였고, 현장다짐실험은 함수비가 높은 현장 발생토에 토목섬유를 보강하고 다짐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내다짐시험에서는 토목섬유를 보강함으로써 최적함수비는 감소, 최대건조밀도 증가하여 다짐곡선은 다짐에너지를 증가시켜 다짐한 경우와 비슷한 거동을 하였고, 건조밀도와 다짐에너지의 관계로부터 다짐에너지는 토목섬유를 1열, 2열 보강하였을 때 각각 평균 2.10배, 평균 2.71배 증가하여 토목섬유를 보강하고 다짐하면 큰 다짐에너지로 다짐한 것과 같은 효과로 더 효율적인 다짐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현장다짐실험에서 토목섬유를 보강함으로써 건조밀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다짐시 토목섬유를 보강하여 다짐을 실시하면 함수비가 높고 성토재료로 부적합한 현장 발생토를 사용하더라도 효율적인 다짐이 가능한 것으로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