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재료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23초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경제성을 고려한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 선정 방안 (Selection Method of Eco-friendly Finishing Materials Considering Cost Efficiency for the Aged Housing Remodeling Projects)

  • 김기현;김경래;황영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84-91
    • /
    • 2008
  • 최근 주택성능등급표시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등 실내공기질에 관련한 제도가 생겨나고 공동주택 거주자 또한 실내공기 질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최근 신축되거나 리모델링 되는 공동주택에는 친환경 실내마감재료가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는 일반재료에 비해 그 가격이 고가이며, 분양가 상승을 야기한다. 또한 친환경 마감재료 적용으로 인한 분양가 상승은 거주자로 하여금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내 마감공법 별로 적용되는 모든 주재료 및 부 재료에 대해서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마감공사 시 환경적인 요인, 경제적인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효율적인 실내 마감재료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라우팅 주입성능 실내실험 장비 개발 및 신뢰도 평가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Laboratory Testing Apparatus on Grouting Injection Performance)

  • 진현우;유병현;이장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10호
    • /
    • pp.23-31
    • /
    • 2016
  • 국내 그라우팅은 주로 물과 유사한 점도를 가진 재료를 이용하여 시공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지하공간 및 해저공간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미세균열 보강을 위한 고점도의 그라우팅 재료와 고압의 주입압력을 사용하는 그라우팅 시공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균열 폭, 그라우팅 재료의 점도, 주입압력을 고려하여 그라우팅 재료의 주입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실내실험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는 방식인 방사형 흐름과 선형 흐름에 관한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각각의 흐름을 모사할 수 있는 실내실험 장비를 소개하고 있다. 방사형 흐름은 원형의 아크릴판으로 제작하여 그라우팅 재료가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퍼져나가도록 모사하였고, 선형 흐름은 평행한 스테인리스 철판으로 제작하여 그라우팅 재료가 한쪽 방향으로 주입되도록 그라우팅 재료의 주입 메커니즘을 모사하였다. 실내실험 장비는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사이에 다양한 두께의 공업용 필름을 설치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균열 폭을 모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입재료는 재료적 특성인 점도를 고정하기 위해 상온($20^{\circ}C$)에서 1cP로 알려진 물을 사용하여 실내실험 장비의 성능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그라우팅 재료 주입성능 평가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저소음 포장의 현장 생산성능 평가 (A Evaluation of Manufactural Performance by Applied Quiet Pavement)

  • 전순제;김완상;김영진;류득현;이석홍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81-181
    • /
    • 2011
  • 도로는 국내 물류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반시설로 국내 경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1970년대 개통된 경부고속도로는 우리나라의 대동맥으로 산업 성장의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기반이 되었고, 공학적인 차원에서도 도로 포장재료를 경험 및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적용하는 계기로 도로공학발전의 초석이 되었다. 과거에 적용된 도로 포장재료는 기술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배합설계가 진행되었으며, 중차량의 비중이 많은 지역은 강성포장을 적용하고, 상대적으로 중차량이 적은 구간은 연성포장을 적용하는 설계를 따랐다. 하지만, 강성포장을 대표하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은 시공상의 복잡함과 시멘트 콘크리트 특성상 강도발현을 위해서 일정기간 이상의 양생일수가 필요하므로, 도로건설의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지역에서는 사용의 제약이 따른다. 연성포장을 대표적하는 재료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을 들 수 있다. 강성포장보다는 상대적으로 시공상의 편리함과 일정기간의 양생이 필요하지 않아 도로 포장재료로서 그 적용성이 우수하다. 과거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종류가 단순화되어 표층, 기층에 대표되는 몇몇 혼합물이 도로 포장재료로 사용되었다. 도로공학의 학문적 발달과 함께 도로포장의 전반적인 기술이 향상되고 있다. 과거의 도로 기능은 국가 경제발전을 위한 산업용 원자재의 운반이 주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반면, 국민의 경제적 수준이 증대되고 자가용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도로 이용의 주체가 국민 개개인으로 변화되고 있고, 그 요구조건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도로공학의 기술적 향상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도로포장재료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배수성 포장, 반강성 포장, 보수성 포장, 탄성 포장, 저소음 포장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포장의 하나인 저소음 포장의 특성 중 생산성능을 평가하였다. 생산성능이란 저소음포장을 현장 플랜트에서 생산하였을 경우의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으로, 실내 실험으로 최적화된 재료의 배합은 이상적인 조건을 적용하여 결정된 것으로 입고된 현장 골재 및 생산 플랜트 조건에 따른 그 배합 및 물성이 변동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저소음 포장은 기존의 아스팔트 포장과 달리 적용되는 골재, 아스팔트의 재료가 고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특수한 재료를 적용해야 한다. 배합설계에서도 개립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적용되는 내구성분석 절차를 따라야 하므로, 실내 배합설계 혼합물과 현장 생산 혼합물간의 물리적 특성에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 및 현장 혼합물의 전반적인 물리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여 저소음 포장의 현장 생산성능을 확인하였다. 분석요소로는 혼합물의 기초물성면에서는 밀도, 공극률을 분석하였으며, 실내 내구성면에서는 마샬안정도, 잔류안정도를 분석하여 실내 및 현장 혼합물의 물성차이를 분석하였다. 기초물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밀도와 공극률에서는 생산 현장 혼합물이 실내 혼합물 보다 높은 밀도와 낮은 공극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상관하여 강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마샬안정도도 생산 현장 혼합물이 다소 높은 강도를 발휘하였다. 또한, 수분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는 인자인 잔류 안정도에서는 실내 및 현장 혼합물 모두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였다.

  • PDF

최근 서울시 중형 OFFICE 건물의 실내재료의 사용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ing Trends of Interior Materials in Current Medium Size Office Building in Seoul)

  • 김은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호
    • /
    • pp.19-25
    • /
    • 2000
  • This study aims by analysing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trends of current medium size office buildings in Seoul. The analysing objects are ceiling, floor, wall, and illumination plan of current office buildings. Analysing tools are finishing material and color of each part. Analysing areas are lobby area, deskwork area, conference area, welfare area, public area(rest room, corridor, stair).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of lobby shows a lots of different features then the other areas in ceiling, floor, and wall design. Such difference appears at finishing material especially, and the coloring is more splendorous then the other areas. Desk work area and conference area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materiors and colors, and they usually follow the needs of function. Walfare area shows more splendorous feature then deskwork and conference area, and designed by various materials and colors. Public area also shows very active design concept then past times.

  • PDF

실내디자인에 있어 환경친화성 재료 사용의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uideline for Using of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s in Interior Design)

  • 강승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0호
    • /
    • pp.126-138
    • /
    • 2003
  • Since the 20th century, it has been the most important agenda that issued the environment of earth. And it has been enormous endeavors for providing the environmental-friendly. It has now outcome as a policy of estimate and acknowledgement for providing the environmental-friendly. Regarding that is the most efficient method in a practical sense, the policy has rapidly been developed.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ategorize interior design of the policy. Thus main-body of this study shall be clarified the definition of the notion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and investigated the element of harm against the environmental-friendly as well. Eventually the conclusion is to provide a guideline for the environmental-friendly especially for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materials, by the investigation of the exiting policy for the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현대 실내디자인에 있어 재료와 공간의 상호관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relation of Material and Space in Modern Interior Design)

  • 이상협;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7-191
    • /
    • 2003
  • Modern interior design is expanding diverse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hange of era. The basic of interior space that is rapidly changing consists of floor, wall and ceiling, and these are formed by materials, materials for structure or finishing materials. In the modern interior space, materials are utilized to present an atmosphere that meets the trend of the dissolution of post-modernism and the trend of minimalism. Accordingly, in this study, designers who take serious view on the relation of space and material, and the relation focusing on completed works, in modern interior design were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each material, organic space, minimal space, and the space of Oriental fusion styl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works of modern interior designers, such as Karim Rashid and Ettore Sottsass.

  • PDF

오행론(五行論)에 의한 실내재료 조합의 사용방법 제시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주거공간에 적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ggestion of Use Method in the Collaboration of the Interior Materials by the five Elements - Focused on the Instance which Is Applied to the Residential Space In America -)

  • 최은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6호
    • /
    • pp.111-120
    • /
    • 2003
  • Asian design has mastered the use of natural elements in the home to create a sense of harmony and balance. The viewpoint of the West recognizes the nature to be conquered while the viewpoint of the Orient recognizes it to be unison with a human being. Additionally, the viewpoint of the Orient reflects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eing and the nature, and it does not see assuredly from an opposed viewpoint. The Five elements, one of oriental notion, are based on an affinity between the human being and the natu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Five elements composed of wood, fire, earth, metal, water and to suggest a substantial method for treating a harmonious and balanced environment in the collaboration of the interior materials by the Five elements. When the interior materials incorporate all the relationships of the Five elements, a space will accomplish harmony with the nature and the universe, thus it will be in tune with surrounding.

교대 뒤채움 재질 변경시 지반거동에 관한 실내모형실험 (A Model test on the behavior of Backfill Materials improvement at Abutment)

  • 전남수;신재홍;조민혁;최명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061-1064
    • /
    • 2010
  • 뒷채움재료의 선정기준으로 구조물과 연이은 토공부 사이의 부등침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맞물림(Interlocking)효과 및 다짐성이 우수하고 배수가 원활히 될 수 있는 입상재료인 선택층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규정 및 설계하고 있다. 일률적으로 정해진 현재의 뒤채움재료 선정기준은 건설초기에 손쉽게 구할 수 있었던 선택층 재료인 SB-1의 공급이 어려워져 적절하게 현장여건을 고려하기 곤란하다. 공학적 측면에서 지나치게 안전측으로 선택 및 설계되는 경우가 있어 공사비의 상승 등 시공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모형토조를 이용하여 뒤채움 완료 후 뒤채움부 상단에서 교통하중에 의한 장기동적토압을 모사해 뒤채움부의 장기 침하량과 수직, 수평토압을 측정 비교해 교대 뒤채움부 재질 변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경제성을 고려한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 선정방안 (Selection Method of Eco-friendly Finishing Materials Considering Cost Efficiency for the Aged Housing Remodeling Projects)

  • 김기현;김경래;한주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53-956
    • /
    • 2007
  • 최근 주택성능등급표시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등 실내공기질에 관련한 제도가 생겨나고 공동주택 거주자 또한 실내공기질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다. 또한, 최근의 공동주택의 실내 마감재료에 친환경 소재가 적용되고 있으나 그 가격이 고가이므로 거주자로 하여금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내 마감공법 별로 적용되는 모든 주재료 및 부재료에 대해서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마감공사 시 환경적인 요인, 경제적인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효율적인 실내 마감재료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실내 환경오염 감소를 위한 건축마감 재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ishing materials for Reduction of Indoor pollution)

  • 김자경;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03-313
    • /
    • 2007
  • Nowadays, according to many studies, indoor space's pollution level is two to ten times higher than outdoor space's. This result arouses our attention. The major causes of deterioration of indoor air quality are the lack of ventilation caused by draught-proofing and insulation construction, and harmful chemical substances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office machine and furniture. Therefore, we are continuing research to find the method for healthful house and production of many forms of well-being goods. However, because of exaggerated advertisements and the lack of accurate information, consumers choose the products whose performance is not verifi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of pollution by building materials and the extent of the health damage by this pollution, and suggests the method for minimizing indoor pollution in aspect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 and the use of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But the building material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environment 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that are in circulation In domestic market because this research is primarily aimed to give domestic consumers the standard for selecting this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