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시험

검색결과 1,525건 처리시간 0.03초

점성토에 있어서 비등방 점탄소성 Bounding Surface 모델의 모델정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Parameters of the Anisotropic Elastoplastic-Viscoplastic Bounding Surface Model for Cohesive Soils)

  • Kim, Dae-Kyu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67-7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지반의 비등방성을 고려한 점탄소성 bounding surface 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모델정수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델을 컴퓨터 프로그래밍 하였으며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시험으로는 표준압밀시험, 등방/비등방 압밀 삼축압축시험, 크리프 시험 등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해석결과와 실내시험 결과는 잘 부합되었으며, 탄소성 모델정수의 영향은 크지 않았으나 점소성 모델정수의 영향은 해석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 PDF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시공방법 및 환경적 영향에 관한 연구 (The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al Effect of Geotextile Tube)

  • 신은철;오영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37-145
    • /
    • 2001
  • 지오텍스타일 튜브공법은 준설토, 준설모래, 오염토사 등을 수리학적 채움을 통하여 해양구조물이나 수리학적 구조물을 축조하는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오튜브공법의 국내적용을 위하여, 미국공병단의 최소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지오텍스타일을 선정하여 다양한 실내시험과 현장 적용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시험은 지오텍스타일과 토사간의 접촉마찰특성 분석을 위하여 대형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해양구조물 설치시 파도와 조수의 영향으로 인한 토사유출량 분석을 위한 유실율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오염토사를 채움토사로 적용할 경우에 장.단기 환경적 영향에 대한 환경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시험은 실내모형시험을 바탕으로 토사와 물의 슬러리 혼합비율에 따른 지오텍스타일 튜브 채움방법 및 유효높이 및 단위중량 등의 계측을 실시하였다. 각종 실내 및 현장시험결과, 채움토사입자의 유실율은 약 5.0~6.0%를 유지하였으며, 지오텍스타일의 투수계수는 $\alpha$$\times$$10^{-4}$cm/sec 이상이 되어야 하며, 물과 토사의 혼합비율은 6:4이상이 되어야 한다. 환경적 영향 분석결과, 오염토사의 적용시 국내환경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리학적 펌핑 압력에 대한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최대 유효높이는 튜브 전체높이의 약 80%의 채움이 완료되었을 시점인 것으로 판단된다.다.

  • PDF

실내시험 및 현장시험을 통한 지반의 비선형 변형특성 평가 (Evaluation of Nonlinear De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Soils from Laboratory and Field Tests)

  • 김동수;권기철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5호
    • /
    • pp.89-100
    • /
    • 1997
  • 토목구조물의 동적해석 뿐아니라 공용상태 구조물 기초의 변형해석을 위해서는 지반의 신뢰성 있는 비선형 변형특성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변형특성 평가를 위한 현장시험으로는 저변형률 하에서 지반의 탄성계수를 결정할 수 있는 크로스흘시험이나 중간변형률 영역에서 변형률 크기에 따른 탄성계수 결정이 가능한 공내재하시험이 사용되나 전 변형률 영역에서의 탄성계수 변화를 측정하지 못하고,,하중주파수의 영향,구속압의 영향 등을 엄밀히 평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공진주/비틂전단시험과 같은 실내시험에서는 저변형률 및 중간변형률을 포함하는 전변형률 영역에서의 탄성계수 측정이 가능하나 불교란시료의 채취와 시료의 대표성 확보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엄밀한 현장지반의 변형률 크기에 따른 탄성계수 결정을 위하여는 각각의 실내시험과 현장시험에서의 신뢰성 있는 변형률 측정범위, 작용되는 응력의 크기, 시험이 수행되는 하중주파수 차이 등을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반의 비선형 변형특성을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를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화강풍화토 지반에서 현장시험으로 크로스흘과 공내재하시험을, 실내시험으로는 공진주/비틂 전단시험을 수행하여 현장지반의 변형특성을 결정하고, 각 시험법들의 장.단점과 신뢰성 있는 시험범위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지반의 비선형 변형특성 평가 절차를 제시하였다.

  • PDF

자탈형 콤바인 부착용 곡물유량센서 개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 (1) (The Basic Study for Grain Flow Sensor Development of Head-Feeding Combine (part 1))

  • 이충근;정인규;성제훈;김상철;박우풍;황성준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72
    • /
    • 2002
  • 자탈형 콤바인 부착용 곡물유량센서를 개발하여 실내시험과 포장시험을 실시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실내시험에서는 곡물유량과 단위 시간당 발생된 충격량과의 관계는 결정계수로 0.937의 높은 정밀도를 보였다. 나. 포장시험에서는 실내시험보다는 정밀도가 낮았지만, 구획 1에서는 결정계수가 0.612, 구획 2에서는 0.706을 보였다. 구획 1에서 얻어진 회귀식을 이용하여 구획 2의 값을 구한 결과, 예측유량과 실측유량과의 관계가 결정계수로 0.706을 보였으며, SEP는 0.026kg/s, Bias는-0.014kg/s를 보였다.

  • PDF

부산광역시 북서부 화강암지역의 수리상수 산출

  • 이병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75-278
    • /
    • 2003
  • 지하터널과 같은 대규모 지하구조물 건설시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공성 등의 실시 설계를 위해서는 그 지역의 수리적 매개변수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부산광역시 북서부에 위치한 금정산 화강암지역의 수리상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야외시험과 실내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결과를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야외에서는 6개의 시추공에서 수압시험을 수행하여 심도 구간별 수리전도도를 구하였고, 실내시험에서는 시추코아를 이용하여 절리투수시험을 실시하여 수리전도를 산출하였다. 수압시험에 의해 산정된 수리전도도는 2.28E-10 m/sec∼1.49E-06 m/sec 이며, 절리투수시험에 의해 산정된 수리전도도는 1.16E-11 m/sec∼3.26E-05 m/sec이다.

  • PDF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

  • 이윤규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3권1호
    • /
    • pp.11-21
    • /
    • 2004
  •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법의 개요와 향후 연구진행 방향, 국내외의 실내공기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규격의 종류 및 특성, 공정시험법 도출을 위한 기본적인 고려사항 등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단층의 암반공학적 특성과 실내 및 현장 시험방법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nd the Investigation/Testing Method for the Fault)

  • 허종석;정재호;김학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7년 가을학술발표회
    • /
    • pp.147-159
    • /
    • 2007
  • 단층의 공학적 의미와 분류방법을 살펴보고 토목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을 위하여 조사단계에서 단층에 대한 분포 및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각종 물리탐사, 현장시험, 실내시험 사례를 검토하였다. 단층의 분포특성 조사 사례를 통하여 지표지질조사, 시추조사, 물리탐사 결과들의 상호 관계를 살펴보고, 단층 및 주변 상태에 따라 적정한 탐사 및 조사 방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단층의 공학적 특성 평가를 위한 현장 및 실내시험 방법을 고찰하고, 단층의 점착력, 마찰각 등과 같은 물성치의 산정 사례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 PDF

실내 토질시험에 대한 학회기준 제정 및 해설서 발간의 필요성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Standards and Commentary for Laboratory Soil Tests by KGS)

  • 신동훈;김기영;임은상;박한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656-662
    • /
    • 2008
  • 1990년대 중반 이후 다양하고 많은 지반조사 및 실내시험 기술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고, 이제는 상당한 경험과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또는 우리 지반공학회와 같은 학회 차원의 조사 및 시험 기준 정립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가 차원에서 이미 제정되어 있는 지반공학 관련 조사 및 시험 기준을 선진외국의 기준 현황과 비교검토하여 우리의 현주소를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 건설제도의 변화와 사회 전반의 기술발전에 따라 지난 10여년간 다양하고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는 실내 토질시험 실시현황 등을 살펴보고 이들에 대한 기준의 추가 제정과 해설집 발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

현장 및 실내시험에 기초한 홍성지역 지진응답특성 평가 (Evaluation of Seismic Response Characteristics of Hong-Seong Area based on In-Situ and Laboratory Tests)

  • 박덕근;김교원
    • 지질공학
    • /
    • 제11권1호
    • /
    • pp.25-35
    • /
    • 2001
  • 충청남도 홍성지역의 부지응답특성 평가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운홀 및 SASW 기법 등의 현장시험과 공진주/비틂전단시험 등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홍성지역의 부지특성을 평가하고 지반응답해석을 실시하였다. 홍성지역 현장은 지반은, 상부토층 30m의 평균전단파 속도가 209m/s로 SD 지반으로 결정되었고 응답해석결과 국내 기준과 잘 일치되는 부분도 있었으나, 구조물 주기에 따른 응답스펙트롬의 특정 주기에서 국내 기준보다 크게 증폭되는 현상도 발견되었다.

  • PDF

친환경 지반안정재를 약액주입재로 사용하여 보강한 노후 저수지의 보강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Reinforcement Effect of Aging Reservoir Reinforced by Environmental Soil Stabilizer as Chemical Grouting Material)

  • 김세민;서세관;조대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1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와 순환유동층 보일러의 연소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시멘트와 유사한 경화반응을 유도하도록 개발된 친환경 지반안정재를 약액주입재로 사용하기 위한 실내시험과 시험시공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내시험에서는 규산소다 및 실리카졸을 A액, 친환경 지반안정재(또는 OPC)를 B액으로 사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실내시험을 실시하여 공학적·환경적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제 노후저수지에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현장에서의 투수시험,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하여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실내시험 결과, 친환경 지반안정재를 B액으로 사용한 약액주입재의 호모겔 압축강도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약 2.88~3.23배 큰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부분의 중금속 용출량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적고, 어독성 시험에서의 생존율도 100%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내시험 결과를 토대로 판단할 때 OPC에 비해 강도적, 환경적으로도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후 저수지에서의 시험시공 결과에서는 친환경 지반안정재를 약액주입재의 B액으로 사용하여 보강한 경우, 저수지 내부에서의 투수계수는 1/50 수준까지 감소하였다. 그리고 전기비저항 탐사결과 노후 저수지 내부의 전기비저항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여 포화대는 사라졌으며, 전반적으로 보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