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공기정화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LED and Fan for Epipremnum aureum (스킨답서스에 LED와 Fan을 이용한 실내공기정화 시스템)

  • Kim, Taehyun;Park, Junmo;Kim, Soocha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9 no.4
    • /
    • pp.167-173
    • /
    • 2018
  • We propose an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utilizes aerial plant parts and root zone of indoor plants where light is insufficient and air circulation is bad. In order to maximize the air purification effect of the plant, the aerial plant parts illuminates mixed light combining blue and green LED and CRI(Color Rendering Index) LEDs close to natural light, respectively. And the root zone was forcibly circulated by the fan to use the soil as a filter. The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combined with the light source and the fan removed most polluted air in the shortest. In the case of mixed light and CRI LEDs of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fine dust decreased by 14%, 14.2%, and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decreased by 7.5% and 9.4%,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 in which the fan was operated for 15 minutes, the TVOC decreased to 97.8%. The photosynthesis of the plant and the use of soil as a filter were able to purify polluted air in a short time. And the fan's temporary operation gave the similar effect of continuous operation.

Development of air-sterilization purification system of fusion and composite structure using broadband-to-active photocatalyst (광대역대 활성광촉매를 활용한 융·복합 구조 공기살균정화장치 개발)

  • Yoon, Sueng-Bae;Hwang, Yun-Jung;Kim, Seung-Che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4
    • /
    • pp.147-151
    • /
    • 2019
  • Modern people spend most of their daily lives in their homes, schools, or workplaces, hospitals, shopping malls, subway stations, rooms, and parking lots. According to the survey, air quality management at the multi-use facility is less than 50% satisfied. In this study, a photocatalytic filtration system is developed by utilizing a broadband-to-active photocatalyst that utilizes a media photocatalyst filter that removes airborne germs from indoor air as well as indoor air quality and operates on visible light as well as ultraviolet light.

Application of Photocatalytic Filter with Intensified Adsorption for Indoor Air Quality Control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흡착강화 광촉매 필터의 적용)

  • 윤정호;윤우석;황철순;김동형;이태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89-390
    • /
    • 2003
  • 최근에는 실내공기질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주거 공간의 재실자들은 좋은 실내환경에서 거주하고 싶은 기대감이 증가되면서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과 함께 그 중요성을 새로이 인식하고 있다. 특히, 인간이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하루 중 90 % 이상을 차지하며, 실내공기가 오염될 경우 쉽게 정화되지 않아 Sick House 등 재실자들의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실내공기 중의 주요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악취성 물질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하여 광화학 반응이 적용되는 필터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V+대동여지도 - (주)세인테크 - 오염된 실내공기, 하이드로 필터가 잡는다

  • Jeong, Yu-Gyeong
    • Venture DIGEST
    • /
    • s.130
    • /
    • pp.25-27
    • /
    • 2009
  • 보이지 않지만 우리의 건강을 좀먹는 오염된 공기. 특히 환기가 어려운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건강한 삶의 적이다. 공기청정기가 등장하고, 공기 오염에 대한 규제도 생겼지만 여전히 실내 공기 오염 문제는 완벽하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무슨 문제든 해결할 방법은 있는 법. 획기적인 시도로 새로운 실내공기 정화 기술을 개발한 벤처기업이 등장했다. 전북 진안의 마이산 자락에 자리를 잡은 (주)세인테크가 그 주인공. 기분 좋은 녹색 바람이 불어오는 그곳을 찾았다.

  • PDF

A Study on IT System Design for Eco-Amenity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정화용 정보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

  • Noh, Yong-Deok;Lee, Jung-Hoo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7 s.110
    • /
    • pp.971-976
    • /
    • 2006
  • Recently, people is interested in the indoor air pollution because of the well-being life. One of the effective way to remove the air pollutants is to use the eco-friendly houseplants. Eco-friendly houseplants absorb substances out of the stomata in their leaves and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by plant emission such as phytochemical, anion, etc. In this paper, Eco-Amenity IT system is discussed which provide the data about the eco-friendly plants and related management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indoor air pollutants.

실내 오염방지를 위한 공기정화 장치법

  • 문길주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3
    • /
    • pp.290-299
    • /
    • 1992
  • 대기질의 악화와 오염원이 많아짐에 따라, 실내공기 정화장치 또한 재래식의 방법을 벗어난 방 식으로 설계 시설되어야 한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유해 물질과 작은 먼지들을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환풍장치는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더욱이 대도시의 생활은 오염 원과 작업장 및 거주지가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특별히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환풍장치가 설계되어야 한다. 끝으로 작업장안에서 오염원 격리수용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여, 청정공 간(clean room)을 요구하는 반도체 및 제약회사 등은 건축물자체 오염원에서 멀리 떨어져서 지 역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과 건축물의 자재 및 공기정화장치가 새롭게 연구되어 설계되야 한다.

  • PDF

A Basic Study on Inner Air Filter Sterilization System using Ozone (오존을 이용한 실내공기 필터 살균장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Lee, Heon-Gyeong;Kim, Tae-Hoon;Jung, Jae-Seung;Kim, Jin-G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206-1207
    • /
    • 2015
  • 실내공기 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에어컨이나 공기청정기 등의 경우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공기 정화용 필터에 오염물질이 축적되고 수많은 세균이 필터에 증식하게 되며, 이에 대한 유효한 살균방법 중의 하나인 오존살균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오존은 강력한 살균력과 단시간의 환원작용으로 인해 이차적인 잔류 오염물질을 남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대 그물형 전극을 적용한 실내필터 살균용 오존 발생장치의 선전극 개수에 따른 살균을 위한 최적의 오존 발생 특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실내필터 살균을 위한 최적의 오존농도는 약 2[ppm] 정도가 요구되므로, 본 오존 발생장치의 경우 선전극이 7개이고 인가전압이 18[kV]일 때 1.134[W]의 전력으로 3.527[ppm/W]의 오존을 발생시켰다.

  • PDF

Characteristics of Ozone Decomposition for DBD-type Air Cleaner Using Pelletized MnO$_2$ Catalyst and Activated Carbon (조립상 촉매(MnO$_2$)와 활성탄을 이용한 DBD방식 공기청정기에서의 발생 오존 분해특성)

  • 변정훈;지준호;강석훈;황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73-174
    • /
    • 2002
  • 실내 공기질은 재실자의 건강과 쾌적성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작업능률에도 영향을 미치며, 산업화와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대기오염은, 실내 공기질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을 위한 건물의 밀폐화와 환기율의 감소로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이는 결국, 보다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공기정화 시스템의 필요로 이어지며, 그런 의미에서 현재 많은 상용 공기청정기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중략)

  • PDF

Monitoring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Air Purifier for Preventing Cross-contamination (교차오염방지를 위한 공기정화제품에서 미생물 오염도 분석)

  • Yeom, Seung-Mok;Kim, Young-Mog;Lee, Myung-Suk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1 no.3
    • /
    • pp.201-209
    • /
    • 2016
  • Many atmospheric pollutants including chemical agents, house dust, and microorganisms cause building-related illnesses through respiration in huma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rofiles of microbial pollutants in air purifiers used in home, office and playschool. Dominant eleven species of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in environmental air and air purifiers. Among them, Staphylococcus sp., Micrococcus sp. and Bacillus sp. are the most dominant species. By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16S rRNA gene, the dominant bacteria were identified as Staphylococcus epidermidis, Micrococcus luteus and Bacillus epidermidis, respectively. It has been known that these bacterial species are closely related with food spoilage and human infectious disease. Th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icrobial pathogens related with human illnesses through respiration will be contaminated in air purifiers and also need to develop a method to control those of pathogens for human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