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축주택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과 장애인의 주택 신축 및 개조 사례 비교연구 - 한국, 일본, 스웨덴 3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Housing Alterations and Construction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 Comparison among Korea, Japan, and Sweden -)

  • 최재순;이의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39-53
    • /
    • 2001
  • Housing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live safely and independently. If they want to stay in their familiar community as long as possible, to support their stay in their house must b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using alteration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cases that had altered housing to fit their needs in three countries, were selected. In Korean case of alterations for the disabled, bathroom and kitchen were the altered spaces in the house. But active alterations were not done, because of the limited expense for the alterations and housing ownership, rented. In one case of housing construction for the elderly in Japan, there was no level difference in the interior. Two bedrooms were provided for the husband and the wife,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ime to bed. The sunroom for enjoying the outside of the nature was provided. In swedish case, due to the supports of th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y, the house was altered at many spaces such as bathroom, kitchen, ramp at the entrance, elevator and so forth. In conclusion, sufficient supports of government and community services can increase the housing quality of people. The ultimate goal of housing alterations must be done not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but for all people.

  • PDF

전원주택의 벽난로와 관련된 화재사례의 분석 (A Case Study on Fire Investigation for a Wood-Burning Stove in an Idyllic House)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19-128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신축 후 약 2년이 경과한 전원주택에서 벽난로 가동 중에 벽난로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여 전소된 사례에 대해 법원을 통해 소방서, 경찰서, 화재보험관련 조사기관, 주택을 시공한 건설회사와 벽난로를 시공한 벽난로제조업체로부터 제공받은 자료들을 분석하여 벽난로 옆 벽체의 목재기둥에 남아 있는 저온장기발화의 화재패턴을 근거로 벽난로 옆 벽체의 목재기둥에 벽난로 화실(火室)의 열이 전도되어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벽난로 옆의 목재기둥이 저온장기발화를 한 이유는 굴뚝에 환기를 위한 공기창을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임을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해 입증하였다.

장기공공임대주택의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유형 분석 (Typological Analysis of Sustainable Renovation for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 이지영;윤영호;이지은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1호
    • /
    • pp.55-63
    • /
    • 2013
  •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삶의 질 향상 지원법" 제 개정으로 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및 증축동 신축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같이 리모델링의 법적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앞으로 장기공공임대주택에 시행될 리모델링의 목표, 공간, 주기, 아이템, 프로세스 등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요구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둔 리모델링 유형 제안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제시된 리모델링 유형은 그 시행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가능성 확보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영구임대주택의 현황 및 입주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선진 국가의 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사례를 분석하여, 개선환경 별 주요 리모델링 목표를 도출하였다. 먼저, 국내 외 현황 분석은 장기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과정에서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 도모를 위한 포괄적인 리모델링 설정과 다양한 리모델링 유형 및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적용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또한, 영구임대주택단지 입주자를 대상 설문조사로, 주택의 물리적환경개선(주택 및 시설 노후화 개선)과 사회적 환경개선(단지의 부정적 이미지 개선)과 관련된 거주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같이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물리적 사회적 환경 개선요소를 도출하였으며, 7개의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유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같이 제시된 리모델링 유형은 리모델링의 지속가능성 확보 및 입주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신축공동주택의 상하층간 소음 및 진동전달 특성과 층간소음 차단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Floor Sound and Vibration Transfer and the Blocking Function of Floor Sound for Newly Built Apartment House)

  • 함진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97-104
    • /
    • 2013
  • This study involves 2 newly built apartment houses which are A with 23 floors as 150 mm slab width and B with 16 floors as 180 mm slab width. The impact was added by tapping and bang machine at the middle floor level of these 2 apartments and the test was arrang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 of vibration and sound level which transferred to upper or down floors. As a result, impact floor shows the highest value in terms of both sound and vibration level and followed was at down floor of the Impact floor. Also, blocking function for the lightweight and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level was tested for each room of the apartment A and B including living room, main room, room 1 and 2. As a result, sound blocking function of B apartment was better than that of A and the function was getting worse when the room size is getting smaller.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공동주택 하자 관리의 효율화 방안 (The Effective Process of Apartment Housing Defect Management Using Smart Device)

  • 서정일;이재웅;이정호;김영석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27-36
    • /
    • 2012
  • 현재 국내에서는 매년 약 40만 세대의 공동주택이 신축되고 있다. 건설업체는 높은 품질의 다양화된 주거 공간을 공급하고 있으며, 입주자들도 고품질의 하자 없는 공동 주택을 원하고 있다. 건설업체는 입주자 요구 사항의 만족과 업체의 브랜드화를 위해 시공단계에서 부터 완공 후 하자 보수 단계 까지 품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건설 공사의 특성상 여러 공종의 복합적인 결합으로 인해 하자는 불가피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하자의 책임 여부에 있어서 건설업체와 입주자와의 갈등은 법적 분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어 하자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계획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급률이 높은 스마트 기기의 기능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하자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스마트 기기를 도입한 하자 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하여 하자 접수와 처리 및 완료 단계에서 하자 처리 관련 시간을 단축하고, 각 하자 관련 주체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각 하자처리 단계마다 하자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하자관련 분쟁 시 근거 자료 확보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한다.

국내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누수 실태 및 주요 누수 부위 조사 (Leakage Situation and Main Leakage Areas of Domestic Residential Building Underground Parking Lots)

  • 이정훈;송제영;오상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496-50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누수실태를 파악하고, 실제 누수가 가장 빈빈하게 발생되고 있는 주요 누수부위를 파악하여 향후 공동주택 지하부위 누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기여하고자 하였다. 18개 단지를 대상으로 누수실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외방수를 적용한 전체 80% 단지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내방수를 적용한 단지에서는 전부 누수가 발생되고 있었다. 방수와 관련된 건설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현재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누수 문제는 심각한 수준으로써, 누수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며, 무엇보다 정책적 기준 마련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누수 실태조사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누수가 빈번한 주요 구조부위는 외벽과 최하층 바닥 슬래브이며, 누수 취약부위는 벽체 시공 이음부와 바닥 신축줄눈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향후 해당부위의 누수 예방을 위한 방수 설계지침 및 시공시방 등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경제성을 고려한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 선정 방안 (Selection Method of Eco-friendly Finishing Materials Considering Cost Efficiency for the Aged Housing Remodeling Projects)

  • 김기현;김경래;황영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84-91
    • /
    • 2008
  • 최근 주택성능등급표시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등 실내공기질에 관련한 제도가 생겨나고 공동주택 거주자 또한 실내공기 질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최근 신축되거나 리모델링 되는 공동주택에는 친환경 실내마감재료가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는 일반재료에 비해 그 가격이 고가이며, 분양가 상승을 야기한다. 또한 친환경 마감재료 적용으로 인한 분양가 상승은 거주자로 하여금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내 마감공법 별로 적용되는 모든 주재료 및 부 재료에 대해서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마감공사 시 환경적인 요인, 경제적인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효율적인 실내 마감재료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시형 생활주택신축공사의 추락재해 발생대비 모의훈련 실시 매뉴얼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a Manual for Simulation Training in Preparation for the Fall Disasters of Urban Residential Housing Construction Works and Apply)

  • 김성수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9-49
    • /
    • 2021
  •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2020년 12월 말 산업재해 현황'에 따르면 산업별로 산업재해 대상이 되고 있다. 건설업별 사고사망자 수, 사고유형별 사고사망자 수, 사업장 규모별 사고사망자 수는 5~49명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추락사고가 대부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형 생활주택은 소규모 건설현장으로 낙상사고 발생 확률이 매우 높다. 재해 발생을 위한 가을 모의훈련은 공공부문의 대형 건설 발주기관 위주로 실시되며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주택건설업체가 실시하는 것은 국내 최초다. 본 연구는 도시생활주택의 정의, 시공특성, 안전관리 실태 등을 분석·제시하고 추락사고 발생시 긴급구호절차 매뉴얼을 개발·확산하여 사망을 최소화하였다.

설비의 리모델링을 고려한 건축물 설계

  • 김수암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0권9호
    • /
    • pp.17-26
    • /
    • 2001
  • 최근 국제적인 여건과 사회적인 상황이 급변하여 대량생산-대량소비지향으로 인한 폐기물의 대량방출사회에서 지구환경보전을 중시하는 사회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지구환경의 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각종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건축분야에서도 지구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이산화탄소배출의 억제와 폐기물 삭감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건축물의 장수명화와 리모델링도 이러한 움직임과 궤틀를 같이 하는 것이다. 물론 리모델링은 신축시장의 급감에 따른 대체시장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측면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동안 신축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에 중점이 두어져 재고건축물에서 간과해 왔던 유지관리와 리모델링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결부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사실 지금까지 리모델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일반건축물 부문에서는 상당부분 이루어져 왔으며, 공동주택 부문에서도 극소수 이루어져 왔다. 리모델링에 대한 정의와 개념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리모델링은 건축물 또는 외부공간의 성능 및 기능의 노후화나 진부화에 대응하여 보수, 수선, 개수, 부분증축 및 개축, 제거, 새로운 기능추가 및 용도변경에 이르는 광범위한 행위를 포함한다. 리모델링을 통하여 건축물의 성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켜 쾌적하고 건강한 건축물의 재고 를 구축함과 아울러 건강한 지역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생활의 질적인 향상을가져옴으로써 환경을보전하 고 자원낭비를 줄여 지속가능한 건축물과 사회를 만들어 갈수있도록 하는 것이다. 건축물에서 리모델링을 하게 되는 동기는 시간이 흘러 물리적인 측면이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노후화가 발생하거나 기능적인 요구가 변화함에 따라 건설당시의 성능이나 기능유지가 어렵거나 건설당시의 기능만으로는 요구조건을 만족함 수 없기 때문에 건설 당시의 수준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요구에 적합하도록 향 상시키기 위해서는 물리적 또는 기능적인 개선이나 개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리적인 개선이나개량을위하여 중요한것은건축 물을 구성하는 자재나 부품의 수명문제이다. 수명의 길이차이가 건축물의 리모델링에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수명의 자재나 부품의 접합상태가 리모델링 공사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리모델링 공사가 신축공사의 70-80% 정도의 공사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리모델링 공사가 어렵다는 업체의 불만은 바로 이러한 점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좋은 사례이다. 본 고는 이러한 측면에서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근간으로 한 설비의 리모델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건축 계획 및 구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는 기존건축물의 설비자체의 보수나 개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 아니라 건축설계 및 시공시에 향후 설비부분을 용이하게 개.보수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측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 PDF

가격 영향요인 비교분석을 통한 노후 공동주택 맞춤형 리모델링의 사업성 분석 방법론 제안 (Analysis Methodology for Feasibility Study of Remodeling of Aged Apartment by Comparative Analysis of Price Influencing Factors)

  • 배병윤;김경래;신동우;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47-56
    • /
    • 2017
  • 2017년 현재 848만 세대가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고, 15년 이상 노후공동주택은 55.87%이다. 공동주택 리모델링 허용연한 기준은 15년 이상이므로 앞으로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장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다. 리모델링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 사업성 분석은 중요하지만 기존 신축 및 재건축의 사업성 분석방법이 리모델링 사업성 분석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건축법에 의한 세대수 증가 없는 맞춤형 리모델링 사업성 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공동주택의 지가(地價)와 건물가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맞춤형 리모델링 사업의 사업성 분석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공동주택의 가격형성 개념에 따라 공시지가, 공시가격, 표준지가, 기준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용한 노후 공동주택 맞춤형 리모델링 사업성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고, 향후 개발된 계단가격법은 리모델링 사업진행단계에서 리모델링 주택조합 설립인가 후 시공자 선정 단계에서 활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