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자존감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5초

영재와 일반 남아의 자존감 비교 및 영재 남아의 자존감 유형별 신체증상 및 공격성 분석 (Comparison of Self-Esteem in the Gifted & Ordinary Boys and Analyse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d Aggression according to Self-Esteem Patterns in the Gifted)

  • 박혜원;하정연;문지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83-105
    • /
    • 2011
  • 영재 남아 132명(초등학생 23명, 중학생 109명)과 일반 남아 282명(초등학생 29명, 중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명시적 자존감과 암묵적 자존감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영재 남아의 자존감 유형에 따라 신체증상과 공격성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명시적 자존감의 경우 영재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 운동 능력을 제외한 학업능력, 사회적 수용, 외모, 품행, 전반적 자기가치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암묵적 자존감에서는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영재 남아의 두 자존감의 수준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문제행동을 살펴본 결과, 두 자존감 수준이 일치할 때보다 불일치할 때 신체증상과 공격성이 더 높았다. 아동기부터 두 자존감이 일치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고 영재 아동을 위해 자존감일치를 중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성인초기여성의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경로 분석 (A path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eating problem among young female adults)

  • 차보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6호
    • /
    • pp.615-623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초기여성의 섭식장애를 설명하기 위해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고, 영향요인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한 경로분석 연구이다. 2017년 8월, 약 1개월 동안 19세 ~ 29세 성인초기여성 19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자존감, 분노, 우울, 신체불만족 및 섭식장애를 자가보고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4.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4.02세이었으며, 변수들의 평균은 섭식장애 8.99점, 신체불만족 92.05점, 우울 14.96점, 분노 18.99점, 자존감 32.17점이었다. 또한 섭식장애 점수 20점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을 때, 고위험 섭식장애 대상자는 9.8%이었다. 섭식장애는 신체불만족, 우울, 분노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존감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신체불만족은 우울, 분노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존감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울은 분노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존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정모형의 적합도는 ${\chi}^2$(p) 1.89 (p = 0.756), ${\chi}^2$/df 0.47, GFI 0.99, AGFI 0.99, NFI 0.99, SRMR 0.022, RMSEA 0.001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들이 섭식장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은 우울과 신체불만족을 매개한 간접효과와 총 효과가 유의하였다. 분노는 우울과 신체불만족을 매개한 간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우울은 신체불만족을 매개한 간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신체불만족은 직접효과 및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들 변수들에 의한 설명력은 46%이다. 따라서 성인초기여성의 섭식장애 개선을 위한 전략 수립에 신체불만족, 우울, 분노, 자존감을 주요요인으로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여자 청소년의 신체관련변인, 자기통제, 신체자존감이 섭식장애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male adolescent body-relation variables, body esteem, and self-control on eating disorder behavior)

  • 정선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403-141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청소년의 섭식장애 관련 변인을 파악하여 섭식장애 예방을 위한 중재방안 마련에 기반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D, K지역에 재학중인 여자 청소년 297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자 청소년의 섭식장애 관련 변인으로 BMI, 체형만족도, 주관적 비만정도, 체중조절행동 경험방법으로 식이조절과 운동, 자기통제, 신체자존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여자 청소년의 섭식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체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토대로 미와 건강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정립과 섭식장애 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정신장애인의 자기 낙인과 삶의 질, 자존감과의 관계 연구 (Correlates of Self-Stigma,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 이현지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83-102
    • /
    • 2018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자기 낙인과 자존감, 삶의 질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 낙인과 다양한 삶의 질 영역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D와 K지역에 위치한 정신건강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254명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자기 낙인과 자존감, 삶의 질은 유의한 부적관계가, 자존감과 삶의 질은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 낙인과 삶의 질 하위영역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은 자기 낙인과 삶의 질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영역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 낙인과 삶의 질 사회관계 영역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정신장애인의 자기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저하시키는데 자존감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신장애에 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의 감소를 위한 개입뿐 만 아니라 정신장애인의 스스로 장애에 관한 부정적 인식의 전환과 자존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 및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집단미술요법이 여대생의 신체상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Body Image and Self-esteem in College Women)

  • 정길수;이성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43-755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8-week, 16-sess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body image and self-esteem in college women. Method: Data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58 college women in Inchon who were selected by criteria of this study, from the 6 of March to 10 of May, 2002. The 11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8-week group art therapy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homogeneity test, hypothesis, and reliability test were performed statistically by utilizing SPSS PC+ 8.0 program. Result: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body image than the comparison group.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in self-esteem.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group art therapy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clients with negative body image to improve their body image.

학업열의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시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on Self-esteem in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 권은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25-13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학업열의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학습시간이 중학생의 성별, 지역별, 학년에 따라 매개효과가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의 중학생 1,045명을 대상으로 학습시간, 학업열의, 자존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열의, 학습시간, 자존감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차이검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시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학생의 학업열의는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시간은 시지역 중학생이 읍면지역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자존감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고, 시지역학생이 읍·면지역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존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습시간, 학업열의, 자존감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집단별로 나누지 않은 전체집단에서는 학업열의가 자존감에 이르는 직접 경로와 학습시간을 거쳐 자존감에 이르는 부분 매개모형에서 학습시간의 부분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남학생을 제외한 여학생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지역별 분석결과는 시지역의 학생에게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학년별 분석결과는 중학교 2학년 학생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급격한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 중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별, 학년별 개인 차이뿐 아니라 살고 있는 지역도 고려한 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대생의 신체상, 자존감 및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dy Imag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f Female Students in College)

  • 오혜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8-286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on body imag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f Female Students in College. Method: The research population included convenience sample of 696 subjects composed of Female Students in Colleg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ly, 2002 to October, 2002 using a written inquir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2. The difference of body imag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in subject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cy of grade, age, personality and degree of adaptation. The difference of body image according to th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rade, age, personality, and monthly income. Further study needs to be done to validate this study and develop degrees of adaptation to improve body imag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PDF

자신이 인지한 배우자의 갈등대처행동이 자존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cognition of spouse's conflict-coping behavior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 강리리;이진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61-1068
    • /
    • 2012
  • 본 연구는 결혼 5년 이내 부부들을 대상으로 자신이 인지한 배우자의 갈등대처행동이 자존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결혼초기 부부들의 부부관계증진 교육과 프로그램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에 있는 S대학 학생들의 가족과 이웃 중 결혼 5년 이내 부부 17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철회형의 갈등대처행동에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신체형 및 철회형의 갈등대처행동과 우울에 차이가 있었다. 직업에 따라서는 언어형의 갈등대처행동과 우울에 차이가 있었다. 부부의 대화시간에 따라 자존감과 우울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신이 인지한 배우자의 갈등대처행동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존감은 간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기 후기 아동의 신체상과 자존감, 가족건강성 (Relationships between Body Image,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in Late School Aged Children)

  • 방경숙;채선미;김지영;강현주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3-38
    • /
    • 2012
  • Purpose: The family is a primary environment and has pivotal role for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 of family strengths to body image and self-esteem in late school aged childre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55 children at 5th and 6th grades in four provinces of South Korea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body image,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ANOVA were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compare body image,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Body image,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and academic performance. Family strengths were also affected by the presence of both parents. Body image,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Conclusion: The family relations of school aged children are important for child's body image and self-esteem. We recommend that psycho-emotional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for both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with low family strengths to improve body image and self-este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