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수행능력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8초

Increase of Spoken Number of Syllables Using MIT(Melody Intonation Therapy) : Case Studies on older adult with stroke and aphasia (MIT(Melodic Intonation Therapy) 중심의 음악활동을 이용한 실어증을 가진 뇌졸중 노인의 음절 수 증가에 대한 사례 연구)

  • Hong, Do Kyoung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제2권2호
    • /
    • pp.57-67
    • /
    • 2005
  • Most of stroke patients have not only physical difficulty but speech and neurological disorder because of hemiplegia and such unexpected changes cause psychologic disadaptability and absent-mindedness. Particularly, lowering of physical ability can lead to serious emotional problem from failure or frustration in daily life. Generally, treatment of patient with stroke put emphasis on physical rehabilitation but actually this patient had considerable speech disorder such as aphasia or articulation disorder. Moreover, failing of recognition function, mental disorder as hypochondria, and even visual and auditory disorder are represented. So it is effective to integrate verbal remediation and other treatments in medical care environment. In particular, patients with language disorder very often wither psychologically therefore it is efficient to use of music therapy that gives opulent emotion to aphasia patients. And primaril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0 sessions treatments; change in spoken total number of syllables, to confirm their own value by success of given task and reassure about themselves ability. All of 10 sessions stages were scored by MIT manual and its improvement were measured, that is, accomplishment was analyzed within each level in order to prove detail change of spoken total number of syllables. The result of this program organized from 2 syllables to 4 syllables is summarized as follows. Subject A completed in preliminary stage Level I, in 2 syllables case advanced to Level III in fifth session and to Level IV in seventh session, in 3 syllables case advanced to Level III in seventh session and to Level IV in ninth session, and in 4 syllables case showed 8% low success rate in first session but after repeated practice increased considerably in sixth session and in advanced to Level III in eighth session to Level IV in tenth session. Subject B also completed in preliminary stage Level I, in 2 syllables case advanced to Level III in forth session and to Level IV in sixth session, in 3 syllables case advanced to Level III in fifth session and to Level IV in seventh session, and in 4 syllables case showed 10% low success rate in first session and increased considerably in fifth session and in advanced to Level III in seventh session but could not reach to Level IV until tenth session.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music therapy using MIT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but improved spoken total number of syllables and success rate of task had improved as a whole. Therefore, music intervention using MIT it has positive affect on verbal ability of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and their language rehabilitation.

  • PDF

An Investigation of Psychometric Adequacy of Korean Self-Evaluated Writing Scal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ing Writing Difficulties (글씨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학생을 위한 한국형 쓰기자기평가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검증)

  • Lee, Ok-In;Lim, Yang-Mi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제6권2호
    • /
    • pp.197-20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self-evaluated writing scal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d difficulties in writing. After interpreting the Here's How I Write scale developed by Goldstand et al. (2013), we administered Delphi survey to 40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calculated the content validity ratio and decided the final scale of 21 questions applicable to Korea. Additionally, we carried out the scale to 350 disabled and normal students for testing construct valid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or bo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the overall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 are higher than .89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factors of scale are higher than .66.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using AMOS 21.0 and SPSS 21.0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showed fit index at relatively satisfactory leve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Furthermore, while there were relatively strong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the sub-factors of scale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level of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relatively low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Study on the Electronic Potential Occurrance and Delevery Specific Property by ionic Density Transformation (이온농도 변화에 따른 뉴런의 전위발생과 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 김석환;류광렬;허창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09-515
    • /
    • 1999
  • 신체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 중에서 인간이 일상생활을 하는 데에는 신진대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인체내의 여러 가지 전달물질들이 그 구성에 맞게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만약 그 구성 비율이 바뀔 때에는 인체 내에 이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운동을 심하게 하였을 경우 갈증과 근육의 피로감이 몰려오게 되는데 이는 세포내의 이온농도의 변화에 의한 것이며 이때 물, 스포츠 이온 음료 등을 섭취한다. 순간적으로 그 증상이 회복되지는 않지만 신경계 내에서 회복하는데 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생리학, 임상적으로 나트륨과 물은 신진대사에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인체의 나트륨은 음식물의 섭취량과 나트륨의 생리작용사이의 균형에 좌우된다. 건강한 상태에서 나트륨의 생리적인 손실은 무시할 만 하며 나트륨 생리작용은 음식물의 섭취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칼륨은 단지 전체 신경계 용질의 일부이기 때문에 이것은 세포의 체적과 세포 용질의 삼투현상을 결정하는 주요한 것이다. 더욱더 칼륨은 신진대사 과정의 많은 중요한 변수가 되며, 세포밖의 칼륨은 전체중에 매우 작은 일부이긴 하지만 신경근육 작용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 세포안과 밖의 칼륨의 농도 비율은 흥분성 조직내의 막 전위의 주요한 결정요소가 된다. 본연구에서는 세포막 설계 후 시뮬레이션을 통한 정상상태의 세포막 전위의 활동전위 전달 특성과 Na, K의 이온 농도를 변화시킬 경우의 세포막 전위의 활동저위 전달 특성곡선을 비교 관찰하여 운동 생리학적인 신경세포내의 전달특성 메카니즘을 이해, 분석하였다.서의 속도를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스케줄링에 의해 시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도록 한다. 이는 기초과학 수준이 높은 북방권 국가들의 과학자들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잘 알 수 있으며 우리의 과학기술 약점을 보완하는 원천으로써 외국인 연구 인력이 대안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연구 조직에서 일하는 외국인 연구자들의 동기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관계,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해 활용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설문 분석을 통하여 동기 및 성과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전통적인 동기 이론들과 부합한다. 대부분의 변수가 동기 및 성과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조직 협력 문화, 외국인 연구자의 의사소통 및 협력성, 외국인 연구자의 연구 능력 관련 변수들 및 연구 프로젝트의 기술수명주기, 외국인 연구자의 기존 기술지식의 흡수 등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가 주로 중국 및 러시아 과학자들을 활용하여 상업화하는 외국인 연구인력 활용 패턴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즉 우호적인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는 연구 조직에서, 이미 과학기술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고 연구 능력도 높은 외국인 과학기술자를, 한국에서 기술이 태동 또는 성장하고 있는 연구 분야에서 활용하는 것이 가장 성과가 좋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국내에서 최초로 수행된 본 연구는 외국인 연구 인력의 활용 성과가 매우 높으며, 우리의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을 보완하는

  • PDF

Usage intention and recognition of necessary functions for ICT-based care devices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독거노인의 ICT 기반 돌봄 보조 기기 사용의향 및 필요 기능 인식에 대한 기술적 연구)

  • Paek, Min-So;Shin, Junseob;Shin, Yu-Seon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25-48
    • /
    • 2021
  •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willingness to use as well as necessary functions for ICT-based care assistance devices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A total of 241 older adults living alone from a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Study results show that many older adults living alone are willing to use ICT-based care assistance devices at their home and the functions of care assistance devices that they perceived as necessary were diverse.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functional necessity by socio-demographics and med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unctions perceived as necessary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osteoporosis, depression, insomnia, and limitations in daily activities. Our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 functions of ICT-based care devices should be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order to help healthy aging in place. Findings also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dividualized services and customized care assistance devices according to individual's med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needs.

Role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Nurse-Educators (미래 간호교육자의 역할과 이를 위한 준비)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제20권4호통권112호
    • /
    • pp.39-49
    • /
    • 1981
  • 기존 간호 영역 내 간호는 질적으로,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 확대되어 가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건강관리체계가 부적절하게 분배되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건강관리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어 수준 높은 양질의 건강관리를 전체적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혹 건강관리의 혜택을 받는다고 해도 이들 역시 보다 더 양질의 인간적인 간호를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호는 또한 간호영역 자체 내에서도 급격히 확대되어가고 있다. 예를들면, 미국같은 선진국가의 건강간호사(Nurse practitioner)는 간호전문직의 새로운 직종으로 건강관리체계에서 독자적인 실무자로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의사의 심한 부족난으로 고심하는 발전도상에 있는 나라들에서는 간호원들에게 전통적인 간호기능 뿐 아니라 건강관리체계에서 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하며 일선지방의 건강센터(Health center) 직종에 많은 간호원을 투입하고 있다. 가령 우리 한국정부에서 최근에 시도한 무의촌지역에서 졸업간호원들이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법적 조치는 이러한 구체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존 간호영역내외의 이런 급격한 변화는 Melvin Toffler가 말한 대로 ''미래의 충격''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동적인 변화는 간호전문직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을 던져준다. 첫째,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새로운 영역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길러내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셋째 내일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등이다. 1.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미래의 간호원은 다음에 열거하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지금까지의 것과는 판이한 환경에서 일하게 될 것이다. 1)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컴퓨터화되고 자동화된 기계 및 기구 등 새로운 기술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2) 1차건강관리가 대부분 간호원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3) 내일의 건강관리는 소비자 주축의 것이 될 것이다. 4) 간호영역내에 많은 새로운 전문분야들이 생길 것이다. 5) 미래의 건강관리체계는 사회적인 변화와 이의 요구에 더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될 것이다. 6) 건강관리체계의 강조점이 의료진료에서 건강관리로 바뀔 것이다. 7) 건강관리체계에서의 간호원의 역할은 의료적인 진단과 치료계획의 기능에서 크게 탈피하여 병원내외에서 보다 더 독특한 실무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미래 간호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미래 간호원들은 지금까지의 간호원보다 더 광범위하고 깊은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보다 발전된 기술환경에서 전인적인 접근을 하기위해 신체과학이나 의학뿐 아니라 행동과학 $\cdot$ 경영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훈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동양상면에서 전문직인 답게 보다 진취적이고 표현적이며 자동적이고 응용과학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훈련을 받아야 한다. 그리하여 간호원은 효과적인 의사결정자$\cdot$문제해결자$\cdot$능숙한 실무자일 뿐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요구를 예리하게 관찰하고 이 요구에 효과적인 존재를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자가 되어야 한다. 2. 미래의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간호교육은 전문직으로서의 실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석이다. 이는 간호교육자야말로 미래사회에서 국민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는 능력있는 간호원을 공급하는 일에 전무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일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선 간호교육자는 두가지 측면에서 이 일을 수정해야 된다고 본다. 그 하나는 간호교육기관에서의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엣서이다. 우선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교육자는 1)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교육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2) 효과적인 교과과정의 발전과 수정보완을 계속적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3) 잘된 교과과정에 따라 적절한 훈련을 철저히 시켜야 한다. 4) 간호교육자 자신이 미래의 예측된 현상을 오늘의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는 자신감과 창의력을 가지고 모델이 되어야 한다. 5) 연구 및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결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도록 해야한다.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교육자 자신들이 능력있고 신빙성있으며 간호의 이론$\cdot$실무$\cdot$연구면에 걸친 권위와 자동성$\cdot$독창성, 그리고 인간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자질을 갖추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다. 3. 미래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내일의 도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논함에 있어 우리나라의 실정을 참조하겠다. 전문직 간호교육자를 준비하는데 세가지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간호원 훈련수준을 전문직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면허를 높이는 것이고, 둘째는 훈련수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사 및 석사간호교육과정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것이며, 셋째는 현존하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첫째와 둘째방법은 정부의 관할이 직접 개입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고 현존하는 교과과정을 발전시키고 그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미래의 여러가지 도전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자를 준비시키는 교육과정의 발전을 두가지 면에서 추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첫째는 국제간의 교류를 통하여 idea 및 경험을 나눔으로서 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나라의 간호교육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생각과 경험을 교환하고 연구하므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발전체인(chain)이 형성되는 것이다. ICN같은 국제적인 조직에 의해 이러한 모임을 시도하는 것인 가치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국가간 또는 국제적인 간호교육자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환은 한 나라안에서 그 idea를 확산시키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충분한 간호교육전문가를 갖춘 간호교육기관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렇지 못한 기관과의 연차적인 conference를 가지므로 확산시킬 수도 있으며 이런 방법은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나라 그 문화상황에 적합한 교과과정 개발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는 둘째전략은 현존간호교육자들이 간호이론과 실무$\cdot$연구를 통합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당면하는 여러가지 요인-전인적인 간호에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지 못하고 임상실무경험의 부족등-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이런 실제적인 문제를 잠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 몇몇 대학에서 방학중에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직 간호교육자들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임상실무교육도 이때 실시할 수 있다. 2) 대학원과정 간호교육프로그램의 입학자의 자격에 2$\~$3년의 실무경험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교수와 학생간의 진정한 동반자관계는 자격을 구비한 능력있는 교수의 실천적인 모델을 통하여서 가능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고 믿는 바이다.

  • PDF

Effects of After-school Forest Healing Program Activities on Infant's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방과후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 Jang, Cheoul-Soon;Koo, Chang-Duc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제31권6호
    • /
    • pp.595-605
    • /
    • 2017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fter-school forest healing programs on the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of young children using the attributes of forest and the forest healing factors. The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located in ${\bigcirc}{\bigcirc}$ - dong, Cheongju city were divided into a test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activities and a contro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regular programs of the kindergarten but not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Each group consisted of 20 boys and girls aged 3 to 5 years.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10 April to 10 July in 2017 for a total of 12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one hour (60 minutes). The pro-sociality behavior and self-efficacy test of the children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forest healing program,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o-social behaviors that indicated the ability to execute the positive action and the self-efficacy that indicated the self-confid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improved their self-esteem through positive thoughts from being with their peer in nature. Moreover, they increased not only ecological knowledge but also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cooperative spirit. They also greatly improved the ability to control personal emotion and the ability to form the personal relationship which are the sub-factors of pro-sociality,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the physical efficacy which is the sub-factor of self-efficacy. It was concluded that the after-school forest healing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Practice of Handwriting and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s Handwriting (중학생의 필기에 대한 인식, 실태 및 필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Jeong, Min-Seon;Shin, Na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제14권10호
    • /
    • pp.416-428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handwriting, and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s handwriting.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survey targeting 346 students enrolled in 9 middle schools(Male=172, Female=172, Unknown=2, M=13.5 years old, SD= .94). Interviews, too, were conducted with 12 stud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students' perceptions of handwriting. The analyses of both survey and interview data revealed the following: (1) the majority of the interviewee students believed that handwriting is useful for memory and summarization so as to get a better school grade, including performance evaluations; (2) Many of the interviewee students were unsatisfied with their handwriting skills, giving higher scores to their peers' handwriting; (3) 45.7% of the students reported that mother was the one who taught them how to write for the first time; and 49.7% of them had no learning experience of taking notes; (4) Girls than boys and 1st graders than 2 or 3 grad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handwriting; and (5)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variables entered in the regression model, including sex, grade, affective attitude toward hands-on activities, physical abilities, time spent using a computer, and perceptions of Korean character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s handwriting.

Development of Success Attribution Scale for Body Guard in Korea (한국 경호원의 성공귀인 측정도구 개발)

  • Kim, Sang Ji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73-183
    • /
    • 2017
  • This study is for presenting the factors about success attribution that fit the korean security service conditions and developing the actual analysis of measurement tools by investigati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security service agents. To this end, conducted a meeting from the fully open questionnaire at first, and then formed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inally carried out the survey from the clos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data from SPSS 21.0, AMOS 21.0 and developed the measurements. It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14 to June, 2015. This survey was conducted of 170 security guards after the verific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though the pilot survey and presented the success attribution factors and standards on the basis of the result form this survey. At the first and second analysis process, the success attribution factors of the guards consisted of inner qualities, external qualities, induction factors for inner qualities, and induction factor for external qualities. On analysis of the final data and documents, however, at the third analysis, the success attribution factors of the guards consisted of 'martial arts and physical ability'(4 questions), 'attitudes to work'(3 questions), 'support for the working environment'(3 questions), 'organized business skills'(3 questions), 'attitudes to the duty'(3 questions), and 'coping with crises(2 questions).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joint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 of upper extremities of elderly with impaired cognition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상지유연성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

  • Kim, Shinmi;Lee, Yunjung;Kim, Hwanjoong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987-1000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joint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 of upper extremities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with impaired cognition. The study design wa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study and inclusion criteria were elderly aged 65-year older, MMSE score 23 or less, ones who had no serious physical and/or mental problem except impaired cognition, and were capable to carry out resistance training. After consents were obtain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Pre-post evaluation was performed by staff nurses trained beforehand. Among those 4-week study period, experiment was carried out during 5 consecutive days a week for 3 weeks. ROM and extension range of shoulder joints and muscle strength of shoulders and hands for both sides were measured. Flexion, extension, abduction range of right shoulder joint was significantly improved. Flexion and extension muscle strength of left side shoulder and abduction muscle strength of both sides of shoulder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the study result, it could be concluded that resistance training has therapeutic effects on joint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 More studies adopted longer experimental period to evaluate timing of effect and extinction to refine the protocol are called for.

Effect of Bright Light Exposure on Adaptation to Rapid Night Shift : A Field Study of Shift Work Nurses in Psychiatric Ward (순환제교대근무자에서 야간 근무 적응에 대한 광치료 효과)

  • Ko, Young-Hoon;Joe, Sook-Haeng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제9권1호
    • /
    • pp.41-47
    • /
    • 2002
  • Objectives: In a number of simulated night shift studies, timed exposure to bright light improves sleep quality and work performance. We evaluated the effect of bright light on adaptation to night shift work with a field study. Methods: Five female nurses working shifts at Korea University Hospital were recruited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wo series of six consecutive shift rotations comprising three day and three night shifts, using wrist Actigraphy, the Stanford Sleepiness Scale, Visual-analogue scales, STIM and tympanic membrane temperature for daytime sleep quality, alertness, subjective feeling, attention performance, and temperature rhythm. The subjects were exposed to bright light (2,500 lux) from 24:00 to 04:00 a.m. on three consecutive night shifts during the second series, whereas they worked under normal lightening (650 lux) conditions during the first series. Results: Actigraphic assessment of daytime slee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third night shift in both baseline and light exposure phase. The mean lowest temperature shifted earlier during baseline phase but not during the light exposure phase. Also, the score for subjective feelings of depression, anxiety, physical discomfort and sleepi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hird night shift than the first during baseline phase but not during the light exposure phase. Attention and attention switch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third night shift compared to the first night during the light exposure phas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baseline phase.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hases in measures of quality of daytime sleep, but subjective feelings, attention and alertness were enhanced during light exposure. Although some placebo effects and learning effects might influence this result, bright light exposure between midnight and 4:00 a.m. may improve adaptation to night shift. In future, further controlled studies with a larger sample size, including melatonin measurement, are needed for real shift work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