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재생에너지시스템

Search Result 1,20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CT-based Integrated Renewable Energy Monitoring System for Agricultural Products (ICT 기반 농작물 대상 재생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Kim, Yu-Bin;Oh, Yeon-Jae;Kim, Eung-K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3
    • /
    • pp.593-602
    • /
    • 2020
  • Recently, as research on smart farm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ystems for efficiently cultivating crops have been introduced and various energy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geothermal and wind power generation have been proposed to save the energ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nd renewable energy convergence system for crops that provides energy independence and improved crop cultivation environment. First, we present LPWA-based communication node and gateway for ICT-based data collection. Then we propose an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that collects energy data, crop growth data, and environmental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node and builds it as big data to perform optimal energy management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for cultivating crops. The proposed syste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low-cost, high-quality crops through the fusion of renewable energy and smart farms.

The Study on Micro-Grid Energy Management System(EMS) Integration in Ulleungdo (울릉도 Micro-Grid EMS(Energy Management System) 구축에 관한 연구)

  • Park, Min-Su;Chun, Yeong-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304-305
    • /
    • 2011
  • 이산화탄소의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와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한 에너지난은 신재생 에너지원의 필요성을 증가시켰다. 현재 국내에서는 디젤 발전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울릉도 시스템을 신재생 에너지원을 계통에 연계시키는 울릉도 녹색 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울릉도는 육지와의 거리가 멀어 계통 연계의 어렵고 신재생 에너지원의 출력 변동성으로 인한 계통운영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울릉도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Micro-Grid EMS 구축이 요구되는 상황이며 본 논문에서는 Micro-Grid EMS 구축을 위한 방안 및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haracteristics Analysis of Generator by Load Variation (부하변동에 따른 발전기 특성해석)

  • Kim, Jong-Gyeum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507-510
    • /
    • 2006
  • 본 논문은 신재생에너지의 한 분야로서 청정에너지인 소수력 발전시스템 운영시 수용가 부하의 변동에 따른 발전기의 특성변화를 해석한 것이다. 모의에 사용된 동기발전기-전동기가 부하의 변동에 따라 토크, 속도, 전류 등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전자계 과도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 PDF

Feeding System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Syngas Produced from Gasification Process of Rice Husks (초본계 농업부산물 가스화기에서 발생된 합성가스 공급시스템 운전특성)

  • Park, Soonam;Gu, Jaehoi;Sung, Hojin;Kim, Narang;Lim, Yongtaek;Seo, Youngyo;Park, Youngch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48.2-248.2
    • /
    • 2010
  • 바이오매스는 에너지 위기 및 $CO_2$에 의한 지구온난화 및 화석자원의 고갈이 진행되면서, 화석연료와 달리 재생이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자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바이오매스를 이용하는 신재생에너지 기술로는 직접연소, 열화학적 변환, 생화학적 변환 기술 등이 있다. 열화학적 변환 기술에는 바이오매스를 열분해 가스화하여 발생된 합성가스를 이용하는 기술이 포함된다. 농업부산물은 청정에너지원으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는 퇴비, 가축사료 등의 단순 활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농업부산물을 이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열분해 가스화를 통해 고효율 에너지원으로의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본계 농업부산물인 왕겨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기에서 발생한 합성가스를 정제시스템을 통하여 정제한 후, 가스엔진으로 정량적으로 공급하기위한 합성가스 공급시스템의 운전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왕겨를 이용한 가스화기에서 합성가스는 안정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정제시스템에서는 90%이상의 효율을 얻었다. 또한 20 kW급 가스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합성가스 공급유량 테스트는 약 $80Nm^3/h$, 200 mmAq 조건에서 가스 누입, 누출 없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었다.

  • PDF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 Renewable Stand-Alone Energy Supply System Usi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기반 자립 에너지공급 시스템 설계 및 평가)

  • Lee, Dohyun;Han, Seulki;Kim, Jiyong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5 no.3
    • /
    • pp.332-340
    • /
    • 2017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optimization-based approach for design and analysis of the stand-alone hybrid energy supply system using renewable energy sources (RES). In the energy supply system, we include multiple energy production technologies such as Photovoltaics (PV), Wind turbine, and fossil-fuel-based AC generator along with different types of energy storage and conversion technologies such as battery and inverter. We then select six different regions of Korea to represent various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RES potentials and demand profiles. We finally designed and analyzed the optimal RES stand-alone energy supply system in the selected regions usi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OOP) technique, which includes two objective functions: the minimum cost and the minimum $CO_2$ emission.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feasibility and expecting benefits of the systems by comparing to conventional systems of Korea. As a result, the region of the highest RES potential showed the possibility to remarkably reduce $CO_2$ emission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ystem. Besides, the 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LCOE) of the RES-based energy system is identified to be slightly higher than conventional energy system: 0.35 and 0.46 $/kWh, respectively. However, the total life-cycle emission of $CO_2$ ($LCE_{CO2}$) can be reduced up to 470 g$CO_2$/kWh from 490 g$CO_2$/kWh of the conventional systems.

Design of operation system for union control about renewable energy (신재생에너지 통합관리를 위한 운영시스템의 설계)

  • Yoon, Jeong-Phil;Ha, Min-Ho;Jeong, Ju-Seob;Cha, In-S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742-1743
    • /
    • 2005
  • 신재생에너지는 화석에너지인 석유, 석탄을 대체하며 이산화탄소를 발생하지 않는 청정에너지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 보급되고 있다. 국내 보급된 태양광, 풍력 발전등의 에너지원은 국책, 시범사업등을 통해 소규모에서 대규모 발전에 이르기 까지 국내 각 지역에서 가동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시스템은 독자적인 발전을 이룰 뿐 전체적인 통한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별로 운영되는 시스템의 통합관리 운영방안과 네트웍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Recent Trends of Power Generation System in New and Renewable Energy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기술동향)

  • Yu, Chul-R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161-162
    • /
    • 2011
  • 신재생에너지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이상의 속도로 재생되는 에너지원이다. 그 에너지원은 태양, 풍력, 조력 등으로 사실상 고갈되지 않는 에너지원이며 또한 수력, 태양광, 태양열, 조력, 풍력, 지열, 바이오매스 등의 형태로 이용된다. 이들 에너지원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