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소설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Modes of Human Communication Reflected in the New-style Novels of the Korean Enlightenment Era (신소설을 통해 본 개화기의 인간 커뮤니케이션 양태)

  • Chae, Baek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68
    • /
    • pp.34-64
    • /
    • 2014
  • This paper analyzed the modes of human communication of the Korean enlightenment era through 9 new-style novel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fictitious world of novels reflect the social realities of that time. The most noticeable fact was that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at time were remarkably diversified with the new media, such as newspaper, printed book, postal system, telegraph, telephone, and photo. But the communication of most people was mainly relied on traditional oral communication. In oral communication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and age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s usual but the formality and etiquette were weakened than Late Chosun Dynasty. The distribution of written culture was enlarged especially by women and lower class. The contact with the foreign cultures which had become possible after the opening of ports brought about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communication of people in the enlightenment era was mainly by oral communication but the reliance on the media was enlarged gradually.

  • PDF

한국최초의 초고압변전소 설계

  • 송성현
    • 전기의세계
    • /
    • v.25 no.6
    • /
    • pp.14-18
    • /
    • 1976
  • 한국에 있어서의 초고압송전기술의 개발은 지난 6년동안 중요한 전진을 성취하였다. 한전은 초고압송변전설비의 건설을 추진하여 최초의 345kV 송변전설비의 건설공사를 완료하고 지난 10월 20일 역사적인 운전개시를 함으로써 한국에 초고압송전시대를 도래케 하였다. 이제 345kV 변전소의 설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소개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본고에서는 345kV 신옥천변전소의 설계를 중심으로하여 연결되는 송전계통, 변전소설계기준 및 변전소배치 등을 간추려보고자 한다. 사진1은 제1단계건설이 완료되어 운전을 개시한 345kV 신옥천 변전소의 전경이다.

  • PDF

Type Variations of 'Stepmother' and 'Sister' in the Novels of Park Kyong-Ni and Their Meanings -Focused on Jaegwiyeol, Eunha, Kimyakgukeue Ddaldeul, Nabiwa Unggungkwi (박경리 장편소설의 '계모'·'자매' 유형 변화와 그 의미 -『재귀열』, 『은하』, 『김약국의 딸들』, 『나비와 엉겅퀴』를 중심으로)

  • Cho, Yun-A
    •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 /
    • v.26 no.4
    • /
    • pp.145-181
    • /
    • 2020
  • This study analyzes type variations of the 'stepmother' and 'sister' in the full-length novels of Park Kyong-Ni and attempted to point out their meanings. The pattern of "negative stepmother" that appeared in classical and new novels also appeared repeatedly in Park Kyong-Ni's full-length novels and this was because a change took place in later full-length novels. Novels analyzed with focus were Jaegwiyeol(1959), Eunha(1960), Kimyakgukeue Ddaldeul(1962), and Nabiwa Unggungkwi(1969). The stepmother that appears in Eunha is a type that appears often in the classic and new novels of Korea. While the stepmother newly gained the role and status of 'mother', she forms a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 the daughter of the former wife while still refusing to be a member of the family and she puts the former wife's daughter in critical situations by committing misdeeds. However, the young stepmother in Nabiwa Unggungkwi actually becomes a victim to the malicious and morbid harassment of the former wife's daughter. This stepmother is a good-natured figure who shows a sense of guilt for failing to fulfill her responsibilities of upbringing and education and she eventually dies as a victim to a bomb during the war, leaving her young biological daughter behind. On one hand, the sisters in Jaegwiyeol and Kimyakgukeue Ddaldeul are not strongly bonded but when one is caught in a crisis, the other one claims to be of help. Unlike this, the sisters in Nabiwa Unggungkwi have a bond that cannot be broken. They are half-sisters that bind each other so severely that they hinder each other's growth and they eventually end up disintegrating. Through such analyses, it is shown that issues of human nature are dealt with more acutely by breaking the 'young stepmother' away from convention by placing her in the position of the victim to amplify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sisters, unlike in previous piece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looked into how previously repetitive character type changes appeared in full-length novels in conditions that clearly display the writer's determination to leave behind a masterpiece.

The fantastic nature of and Modern change possibility (<박씨전>의 환상성과 현대적 변용 가능성)

  • Ro, mok-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1-202
    • /
    • 2019
  • '환상'이란 현실에 대한 전복적인 기능을 하는 비현실적인 것이다. 서양에서는 이것을 'Fantasy'라고 하고, 고전소설에서는 '신이(神異), 기이(奇異), 괴이(怪異)'와 같은 한자어가 주로 사용되었다. <박씨전>은 인물, 사건, 배경에서 환상성이 드러난다. 이 논문에서는 <박씨전>의 환상성을 활용하여 문화콘텐츠의 원형적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 PDF

A Scenery Word of Pine Tree Extracted in Choi Myoung Hee's Novel 『Honbul』 (최명희의 소설 『혼불』에서 추출한 소나무의 경관언어)

  • Rho, Jae-Hyun;Kim, Hwa-Ok;Park, Yool-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4
    • /
    • pp.61-72
    • /
    • 2014
  • Throughout analyzing and construing the words, contexts, and expressive languages used for depicting the pine tree in the novel "Honbul" written by Choi, Myung-Hee the symbolism of the pine and folksy languages used for scenery can be condensed as written below: First, it is explicit that the scenery-words for illustrating the pine tree in "Honbul" are emerged through diverse means methods and expressions. Namely, the reference forms of the pine tree and the expressive means of utilizing words portrays the use of the pine are various and subdivided. Second, the scenery-words found in vocabularies and the contexts of "Honbul" imply various symbolic representation. They not only perform to describe inherent image and symbolism of the pine, but they work for reifying the image of "Honbul" in the narrative structure in "Honbul" as being intrinsic scenery-word. Third, the scenery-words used for expressing aesthetics emerge as synesthetic expressions through the linear beauty and the texture of the pine as well as through five-senses. Forth, on the basis of the inherent symbolism and the image of the pine, the landscape of the background described in "Honbul" deems as a symbolic backdrop. As with then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the pine tree performs as a mediation of the heaven and the earth, god and man, as well as the sacred and the secular. Fifth, scenery-words used for depicting the pine tree are a symbol that represents the spirit and emotion of the character in the novel. Moreover, it is a tool for pursuing the personification of the nature, the deification of the object, and the cosmos of the space. It is also utilized as a device that definitize the ideational image applied to express the landscape of the background of the novel. As mentioned above, the expressions, vocabularies and textures about pine tree represented from "Honbul" are expected to be the beginning of understanding the landscape-images and landscape-languages of pine in not only the setting for this novels, Namwon but also the entire districts of Korea.

A study of discourses on remarriage of the widow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Based on newspapers and Shinsoseol- (개화기 과부개가 담론분석 -신문과 신소설을 중심으로-)

  • 전미경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9 no.3
    • /
    • pp.17-29
    • /
    • 2001
  • This paper serves to analyze discourses on remarriage of the widows at the beginning of the modernization era or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1860-1910). The discourses of newspapers and Shinsoseol which are the text of this study have been analyzed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The major conclusions that are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llectual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claimed the unfairness of the prohibition from remarriage of the widows with especially focusing on financial difficulty and life-long loneliness of the young widows. Second, permission of remarriage of the widows was explained not with the point of vies of individual life of widow, but with the point of vies of strengthen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ird, the discourse claimed that the widow should hold the power of decision of remarriage. Forth, the discourse emphasized the etiquette of the wedding ceremony in remarriage of widows. Fifth, the point that the faithfulness was not easy for a usual widow to obey made the faithfulness noble ethical principle of Korea society.

  • PDF

"소문.경맥별론(素問.經脈別論)"의 오장천(五藏喘)에 대한 고찰(考察) -대어(對於)"소문.경맥별론(素問.經脈別論)"지오장천적고찰(之五藏喘的考察)-

  • Bang, Jeong-Gyun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8 no.1 s.28
    • /
    • pp.73-80
    • /
    • 2005
  • 통과(通過)${\ulcorner}$소문.경맥별론(素問.經脈別論)${\lrcorner}$적오장천지고찰(的五藏喘之考察), 득도료여하적결론(得到了如下的結論). 기일시(其一是), 여과야행칙신불장정위음허적상태소이천출어신(如果夜行則腎不藏精爲陰虛的狀態所以喘出於腎), 저취시관어음허적천(這就是關於陰虛的喘). 신여폐위음화(腎與肺爲陰化) 과정적양개축여과일개축수병일개리축역수병소이진신병전어폐(科程的兩個軸如果一個軸受病一個異軸亦受病所以晋腎病傳於肺). 기이시(其二是), 타칙생어혈(墮則生瘀血), 간유장혈적기능소이간여혈유밀접적관계(肝有藏血的機能所以肝與血有密接的關係), 저취시관어유담적천(這就是關於有痰的喘). 간유소설기능저관어비적곡기전달(肝有疏泄機能這關於脾的穀氣傳達), 소이간유병칙비적곡기전달기능야수료장애(所以肝有病則脾的穀氣傳達機能也受了障碍). 기삼시(其三是), 경공칙기탕산우하함소이주기적폐유병저취시관어기허적천(驚恐則氣蕩散又下陷所以主氣的肺有病這就是關於氣虛的喘). 여과폐유병칙실수렴여숙강기능(如果肺有病則失收斂與肅降機能), 소이심적양기불전달어하칙심수손상(所以心的陽氣不傳達於下則心受損傷). 기사시(其四是), 유어도수질박칙수습지사침범인체(由於渡水跌朴則水濕之邪侵犯人體), 우유어과도적활동칙신정모손(又由於過度的活動則腎精耗損), 저취시관어음허여유담적천(這就是關於陰虛與有痰的喘). 습유류착적성소이병불전달어지장(濕有留着的性所以病不傳達於池藏).

  • PDF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신앙 연구

  • 리웬구어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29-97
    • /
    • 2013
  • 뇌법은 도교의 중요한 법술로서 당송(唐宋)이래 매우 흥했는데, 북송의 임영소 등이 신소파(神霄派)를 개창한 이후에 도교 법문을 대표하는 영역이 되었다. 그로부터 각종의 뇌법이 천하에 성행하였고, 도교에는 새로운 뇌신들이 거듭 나타나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뇌법신앙의 구진천존(九宸天尊)인데, 이 아홉 천존들은 도교의 최고신인 삼청성조(三清聖祖)의 통치 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옥추보경』은 북송 때 탄생하였는데 이 경전이 세상에 널리 발간되어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에 대한 신앙이 형성된 것은 남송 시기 백옥섬(白玉蟾) 이후이다. 『옥추보경』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의 법문(法門)을 선양하기 위한 방책으로 천존의 성호를 부를 것을 권장한다. 법문을 염송하는 것은 매우 쉽고도 간단하여 누구나 할 수 있었으므로 사회적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특히 『봉신연의』와 『서유기』와 같은 문예소설에 뇌성보화천존이 등장함으로 해서, 민중들은 뇌성보화천존을 더욱 널리 숭배하게 되었다. 현재도 중국의 민간에서 이 신격에 대한 신앙은 매우 보편적이다.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은 옥청진왕(玉清真王)의 화신(化身)이다. 뇌성보화천존은 시방에 그 형체를 나타내고, 중생들을 고뇌로부터 구제하고 이끈다. 36천을 주재할 권능이 있으며, 자비로운 모습으로 모든 겁에 응한다. 또 뇌성보화천존의 주변에는 뇌공(雷公), 우사(雨師), 풍백(風伯)을 비롯한 십대원사(十大元帥)와 등백온원사(鄧伯溫元帥), 신한신원사(辛漢臣元帥) 등의 신장들이 보인다. 이러한 신장들은 양송(兩宋) 시대에 출현하였으며 대다수가 뇌부의 제신들이다. 뇌성보화천존 신앙을 구현하기 위한 재초 의식에는 천지 제신(諸神)이 강림하기를 청하는 뇌정사과(雷霆謝過)와 죄를 뉘우치고 복을 비는 참의(懺儀) 또는 참회문식(懺悔文式) 등이 있다. 이런 법식들은 매우 전문적인 것이고, 일반인들에게는 법문을 염송하는 간편한 방법인 십자천경법(十字天經法)이 널리 퍼졌다. 즉 늘 경건한 마음으로 천존의 성호를 오랫동안 염송하게 되면 공덕원만(功德圓滿)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옥추보경』은 민중의 세계에 깊은 영향을 끼치고 광범위하게 알려져 그 주해나 주석본만도 이십여 종에 이르렀고 송원 이래의 핵심적인 도교 문헌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옥추보경』은 일본과 한국 등지에도 급속히 전파되었다. 한국에는 고려시대에 신소뇌법(神霄雷法)이 전해졌는데, 특히 고려 예종 13년(1118년) 7월에 중국 도교 의학이 고려에 전승되었을 때의 도교 의학이 『옥추보경』을 위주로 한 치료법이었다. 그리고 그 흔적은 조선의 허준이 주편한 『동의보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조선의 민간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옥추보경』을 송독하였고 거기에 수록된 부록(符籙)을 운용하였으며 이로써 병을 몰아내고 잡귀를 물리쳐 생명을 지키기를 바랐다. 현대 한국에서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에 대한 신앙이 크게 성행하고 있으니, 그 종단이 바로 대순진리회이다. 대순진리회는 증산 성사께서 인세에 강림하시기 전에 구천대원조화주신이며, 화천 후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의 위에 임하였다고 신앙한다. 즉 증산이 천존상제의 화신이라 믿는 것이다. 이것과는 좀 다르지만, 인간이 신의 화신이 되는 신성한 변화를 뇌법에서는 '변신(變神)'이라고 부른다. 변신은 내련(內煉)을 행할 때나 시법(施法)시에 도인들이 필히 진입해야 할 특이한 정신 상태로서, 자아의 존재를 망각하고 신진(神真)으로 변화하여 인신합일(人神合一)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신은 대순진리회의 수도 목적인 도통과도 한편으로는 유사한 면이 있다고 생각된다. 대순진리회가 목적하는 지상신선실현이 의미하는 것은, 사람이 도를 깨닫는 노력을 통해 신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질과 천성을 회복하여 이에 상응하는 신과 합일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뇌법의 변신과 유사한 점이 있다고 할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과제로 남겨둔다.

The Memory Sttruggle Surrounding Battle of Okinawa and 4.3 Jeju Massacre - Based on Island of the Gods Island of Oshiro Tatsuhiro and Sooni's Uncle of Hyun, Ki Young (오키나와 전투와 제주 4·3사건을 둘러싼 기억투쟁 -오시로 다쓰히로 『신의 섬』과 현기영의 「순이 삼촌」을 중심으로)

  • Son, ji-youn
    • Cross-Cultural Studies
    • /
    • v.41
    • /
    • pp.7-32
    • /
    • 2015
  • This study started from an interest in the unique history and literature of Okinawa and Jeju Islands. The Battle of Okinawa at a late stage of the Asia-Pacific theatre of World War II, and the indiscriminate violence in the 4.3 Jeju Massacre directly show the shared tragedy of the two islands; furthermore, they are are both located on the frontier of a nation's authority, and thus are symbolic cases. This thesis analyzes Oshiro Tatsuhiro's Island of the Gods and Hyun, Ki Young's Sooni's Uncle, both directly deal with the tragedy of two different but analogous incidents, and question the difference in memory struggle and definitions. Thus, though both novels show a similarity in focusing on and exposing the forbidden memory of mass suicide and massacre, the methods of suggesting the course of memory struggle are different. For example, in contrast to Hyun who took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fury, accusations, and violence of South Korea to espoused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Oshiro showed the changes in the form of responding to the mainland Japan.

"상한잡병론"에 나타나는 양허증후의 변증론치에 대한 고찰

  • Do, Han-Hwa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9 no.1 s.32
    • /
    • pp.207-210
    • /
    • 2006
  • ${\ulcorner}$상한잡병론(傷寒雜病論)${\lrcorner}$에 나오는 양허증의 병인병리(病因病理)에 대한 내용을 종합하여 검토하고, 그 처방의 구성 약물과 용약 규율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양허증을 치료하는 상용약물로는 부자 계지 건강 오수유 생강 등이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에서 약을 사용할 때에는 장부의 생리적 특징에 근거하여 약물을 배합하여야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양허(心陽虛)에는 계지감초(桂枝甘草)에 복령(茯笭)을 배합하고, 신양허(腎陽虛)에는 진무탕(眞武湯) 신기환 등(等)에 복령(茯笭), 택사(澤瀉), 백출(白朮) 등의 약물을 배합하여, 비양허(脾陽虛)로 인한 담음(痰飮)에는 계지감초(桂枝甘草)의 신감(辛甘)한 약성으로 화양(化陽)하고, 복령(茯笭), 백출(白朮)로 건비리습(健脾利濕)하는 영계출감탕을 사용하며, 심하(心下)에 수(水)가 정체된 경우에는 윗 처방에 사인 백두구 등의 온건비위(溫健脾胃)하고 성비소식(醒脾消食)하는 약물을 가하여 사용한다. 폐양허(肺陽虛)하여 폐위가 된 경우에는 감초(甘草) 건강(乾姜) 등을 사용하여 온폐복기하는데, 이는 ‘배토생금(培土生金)’의 의미이다. 간양허(肝陽虛)가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드문데, 위기가 허한(虛寒)하여 간(肝)이 소설(疏泄)작용을 못할 때에는, 오수유(吳茱萸)로 온위산한(溫胃散寒)하고, 인삼(人參) 대조(大棗)로 보중익기하며, 오수유(吳茱萸) 생강(生姜)의 신산(辛散)작용으로 간기를 다스리는 오수유탕(吳茱萸湯)을 사용하여 강역지구(降逆止嘔)하며, 혼(魂)을 수렴하지 못하여 생긴 실안(失眼)에는 산조인탕(酸棗仁湯)으로 보간(補肝)하여 치료하며, 간경(肝經)에 한사(寒邪)가 침입하여 근맥이 연급(攣急)하게 된 경우에는 지주산(蜘蛛散)을 사용하여 온경산한(溫經散寒)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