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선중

Search Result 84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농식품 작업장의 오염 실태 조사

  • Lee, Hye-Ok
    • Air Cleaning Technology
    • /
    • v.22 no.2
    • /
    • pp.31-39
    • /
    • 2009
  • 최근 식생활의 다양화와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식품 공장의 청정화와 작업장의 위생 관리에 대한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 서도 농식품 분야에서는 최근 들어서 신선한 과일과 채소류를 식품소재로 이용한 신선편이 가공 농산물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IFPA(The International Fresh-cut Produce Association)의 정의에 따르면 신선편이 농식품은 박피되거나 절단되어져 신선함을 유지한 채로 소비자들에게 높은 영양과 편이성 및 풍미를 제공하는 포장형태의 100% 이용 가능한 과일 및 채소제품을 말한다. 이러한 신선편이 농식품은 식재료공급에 있어 안전성 및 편이성이 있으나 수확 후 처리시설에 대한 위생 개념이 도입되지 않고는 양질의 식재료를 공급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신선편이 농식품은 살아있는 생체 조직으로 박피, 절단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세포가 파괴되어 급격한 품질 변화가 나타 날 수 있으며, 최소한의 비가열 가공공정만을 거치게 되므로 식품원료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그대로 유지 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선선편이 제품의 가공과정에서 절단 처리시 표면에 묻어 있던 미생물이 과육 부위로 옮겨지면서 식품 세포 조직의 체액을 영양성분으로 활용하여 급격히 증식함으로서 식품의 변질을 일으키거나 섭취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특히, 신선편이 농식품 중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엽채류는 수확 직후 잎 표면에 토양과 물에 의한 다양한 미생불이 부착되어 식품의 변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농산물의 유통 및 보관단계에서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선편이 농식품은 원료 구입 후 제품 생산 및 포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각 작업 단계별 위해요소를 분석하고, 식품 안전성을 확보하여 철저한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자료는 농식품 작업장중 세척공정을 거치는 신선편이농산물과 세척공정을 거치지 않는 신선농식품 작업장에 대한 위생관리 및 관련 설비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현재 운영중인 작업장을 중심으로 직접 현지 조사한 자료이다.

  • PDF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Tofu During Storage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두부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 변화)

  • Shin, Hee-Young;Ku, Kyoung-Ju;Park, Sang-Kyu;Song, Kyung-Bi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9 no.2
    • /
    • pp.158-162
    • /
    • 2006
  • To determine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tofu during storage, we manufactured a freshness indicator and monitored the surface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hiobarbituric acid reacted substance (TBARS), total bacterial counts, and sensory evaluation. Tofu had a change in color of the freshness indicator after storage of 8 days at $4^{\circ}C$, and its pH and total bacterial counts reached 5.6 and 7.63 log CFU/g, respectively. VBN and TBARS values increased and reached the decay point at the time of color change of the freshness indicator. Sensory evaluation also indicated that samples were unacceptable by off-odor and decrease of firmness at day 8 of stor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freshness indicator should be useful in determining expiration date of tofu products during marketing by indicating the microbial safety as well as sensory change.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Chicken during Storage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계육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변화)

  • Shin, Hee-Young;Ku, Kyoung-Ju;Park, Sang-Kyu;Song, Ky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5 no.6
    • /
    • pp.761-767
    • /
    • 2006
  • To determine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chicken products during storage, we manufactured freshness indicator and monitored the surface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hiobarbituric acid reacted substance (TBARS), total bacterial counts, electronic nos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All chicken products (drum, wing, thigh) had a change in color of freshness indicator after storage of 3 days at $4^{\circ}C$, indicating poor quality at the time. VBN, TBARS values, and total bacterial counts reached the decay point at the time of color change of freshness indicator attached to the surface of chicken samples. The sensory evaluation also indicated sample was not acceptable by off-odor at day 4 of storage. According to electronic nose analysis to examine off-od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values among chicken samples of day 0, day 3, and day 5 of stor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eshness indicator should be useful in determining expiration date of chicken products during marketing by indicating the microbial safety as well a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nge.

신선한 과일, 이제는 자판기로 즐긴다-화제만발, 생과일 자판기 등장

  • Korea Vending Machine Manufacturers Association
    • Vending industry
    • /
    • v.6 no.3 s.18
    • /
    • pp.32-34
    • /
    • 2006
  • 신선한 과일을 자판기를 통해 구입해 먹을 수 있는 시대가 열린다. 대한엔프라(주)는 국내 최초로 생과일자판기를 선보이고 본격적인 인기몰이를 준비 중에 있다. 건강 지향적인 트렌드와 맞물려 폭넓은 대중성을 형성하고 있는 과일을 자판기를 통해 신선하게 적용 판매한다는 점에서 만만치 않은 시장 반향이 예상되고 있다.

  • PDF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Beef and Pork during Storage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쇠고기 및 돼지고기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 변화)

  • Shin, Hee-Young;Ku, Kyoung-Ju;Park, Sang-Kyu;Song, Kyung-Bi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3
    • /
    • pp.325-330
    • /
    • 2006
  • To determine freshness and detect changes in quality of beef and pork during storage, we manufactured a freshness indicator and monitored the surface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hiobarbituric acid reacted substance (TBARS), total bacterial counts, electronic nos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Both beef loin and pork belly had a change in the color of the freshness indicator after storage of 6 days at $2^{\circ}C$. VBN and TBARS levels and total bacterial counts reached the decay point at the time of the color change of the freshness indicato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eef and pork samples. Sensory evaluation also indicated that the samples were unacceptable by an 'off' odor on day 6 of stor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ectronic nose analysis for samples from day 0, day 6, and day 10 of stor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freshness indicator should be useful in determining the expiration date of beef and pork products during marketing by indicating the microbial safety as well as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nges.

무혈청배지로 생산한 체외수정란의 이식 결과

  • 석상현;정연길;임여정;박성백;송해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8-138
    • /
    • 2003
  • 근래, 혈청배지로 생산한 체외배양 수정란은 이식후, 낮은 수태율, 과체중의 산자 생산, 높은 유산율과 사망율 등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무혈청 배지로 생산한 체외배양 수정란은 이러한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본 연구는 세포성장인자가 첨가된 완전 무혈청 배양액에서 생산된 수정란으로 2001년5월 부터 2002년 12월까지의 신선란 및 동결란으로 이식한 결과이다. 이식은 신선란 및 동결란에서 A급 수정란은 1개, B급 수정란은 2개를 장착 하여, 이식을 하였다. 이식사술은 인공수정경력이 10년, 이식경력 5년 이상의 수정사 5명이 이식한 결과로 신선란과 동결란의 수태율을 확인하였다. 신선란의 이식에서는 387두중 148(38.2%)두가 임신이 확인되었고, 동결란의 이식에서도 758두 중 265(34.9%)두가 임신이 확인되어, 신선란과 동결란과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위의 결과에서 무혈청배지에서 발생된 신선란 및 동결란의 이식결과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동결수정란의 내동성이 탁월한 것이 증명되었으므로, 앞으로 체외수정란의 대량생산으로 수정란이식의 상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신선 과채류 편의식품의 새로운 품질보존 기술

  • Hong, Seok-In;Kim, Dong-Ma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2 no.2
    • /
    • pp.10-25
    • /
    • 1999
  • 전체적인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면서 고품질의 신선 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과일, 채소류의 비중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이들의 가공제품보다는 신선한 식품에 대한 소비 성향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함께 신선 과일, 채소류의 소비에 있어 변화하고 있는 또 다른 경향은 소비자가 이용시 간편성과 합리성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각종 신선편의식품이 시대의 조류에 맞춰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이들 상품에 대한 수요는 여성의 사회진출, 맞벌이 부부의 증가, 독신자의 증가, 노인층 구매력의 증가 등 여러 가지 사회환경 변화에 부응하여 더 더욱 증대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식품개발연구원이 보건복지부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중인 보건의료기술 개발과제와 관련하여 신선 과채류 편의식품의 안전성 및 저장성 측면에서 품질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각종 새로운 기술, 즉 원재료에서 포장된 상품 상태까지 과일, 채소류의 최소가공 과정을 포함한 전 단계의 처리방법을 소개하고 자 한다.

  • PDF

냉동 타조육의 선도관리를 위한 최적의 해동속도산출에 관한 연구

  • Kim, Hye-Gyeong;Park, Jin-Gu;Kim, Yang-Gyu;Ryu, Hyeon-Sik;Park, Seong-Hui;Min, Sa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316-320
    • /
    • 2004
  • 본 연구는 풍속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냉동 타조육을 해동시킨 뒤 육의 이화학적 상태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타조육 본연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해동조건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타조 신선육의 pH는 5.87로서 일반 원료육의 pH 범위인 $5.8{\sim}6.2$내에 있었고 해동속도가 빠를수록 타조육의 pH는 감소했다. 타조육의 thawing loss는 해동속도가 빨라질수록 감소했다. 해동속도에 따른 WHC는 대부분 신선육의 경우와 비슷했으나, 자연대류인 0.3027cm/h와 강제대류 중 0.6787cm/h의 경우에는 신선육보다 $4{\sim}7%$ 보수력이 낮게 나타났다. 해동온도에 따른 color의 변화는 조건별로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또한 해동육의 경우 신선육에 비해 TBA 값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특히 강제대류 중 해동 속도가 가장 느린 0.3261cm/h의 경우 가장 높았다. VBN 값은 해동속도에 상관없이 $12{\sim}13mg%$대였으며 동결육은 신선육보다 2.5배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Types and Site Characteristics of Rocks with Sinsun Relevant Place Name Morpheme ('신선(神仙)'을 지명소(地名素)로 하는 바위명의 유형과 입지특성)

  • Rho, Jae-Hyun;Park, Joo-Sung;Sim, Wo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3
    • /
    • pp.61-77
    • /
    • 2011
  • This study focused on relevant rock names related to Sinsun(神仙) which had been settled as Taoist traces were combined with places. While interpreting major features of Sundoism relevant rocks, it also discussed types and places of rocks reflected in their names by considering distinct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characters that ancestors viewed through the rocks or on the rocks.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rock names related to Sinsun, the most frequently discovered one was Sinsunbawi(52) and followed by Sinsunbong(神仙峰: 38), Sinsundae(神仙臺: 31). Other than these, there were Gangsundae(降仙臺: 12), Sunyoodae (仙遊臺: 10) and Sasundae(四仙臺: 5). 2. In the name of Sinsundae, 'Dae(臺)' ascertains that it was located in greatly superb place in the aspects of viewpoint and appreciation where landscape superiority and overlook scenery were fair and outstanding. 3. Sinsunbong was named for a peak of mountain. At the same time, it implied a notion of worship with images of 'merging with sky' or 'looking up.' Most of time, Sinsunbong indicated the tallest rock in the mountain chain. 4. A significant number of Sinsunbong had names where legends of Sinsun's Go game or descent were originated from. It shows that 'Sinsun(仙) and Go game' used to be very important motives for folk etymology of Sinsun related rocks. Along with the Sinsundae, a number of Sinsunbawi were also turned out to exist in land and ocean with excellent marine view. 5. According to analysis of their altitudes and heights of the peaks where the rocks belong to, Sinsunbong, Sinsundae and Sinsunbawi were in order. It might indicate that the rocks were located on top of mountain or that Sinsunbong represented the mountain itself. Compared to this, Sinsundae was located in where distant panoramic views were overlooked. It was not necessarily to be in peak but in where with a great view like Taoist world. On the other hand, Sinsunbawi was located in where has fine scenery and great valley not so far from villages, which proved its name had been influenced by place feature not altitude. 6. Feature of rock with Sinsun related name is to comprise visual stability of worship object with close linkage to attitude of worshiper. Considering its deep connection with communicative method of worship object and worshiper, seemingly it was main factor to lead folk etymology of rocks with Sinsun related names. 7. Rock is an object with the greatest implication of Sinsun imagination and Sinsun rocks show most clearly the fact that Taoism, which used to be considered as inaccessible, had been actualized in a visual and realistic manner with the change of time.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On-line Shopping Mall handing Fresh Logistics (신선물류 취급 온라인 쇼핑몰업체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Park, Sung-Hoon;Nam, Tae-Hyun;Cha, Young-Doo;Lee, Su-Hwan;Yeo, Gi-T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8
    • /
    • pp.103-114
    • /
    • 2017
  •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establishment of logistics infrastructure, online shopping market and online fresh food market are gr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lan to activate Fresh Logistics through online shopping mall using BCG matrix and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for online shopping companies. Firstly, the BCG matrix results Companies in 'cash cow', 'question mark', and 'dog' areas are in need of improvement.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Fresh logistics market which is currently growing. Fresh logistics can be activated by investing in the maintenance and strengthening areas and key investment areas by minimizing the expenditure on the non-priority and excess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PA.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online shopping companies will be improved by activating online shopping market and online fresh logistics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