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불산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초

신불산 고산 습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Management Program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Wetlands located at Sinbul Mountain)

  • 이기철;남정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신불산 고산 습지의 식물상 생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습지 생태계 관리와 : 현명한 이용방안을 수립하였다. 총 167종의 식물이 동정되었으며, 그 중 고산 습지식물인 진퍼리새가 우점종으로 규명되었고, 한국특산종인 개족도리, 감소추세종인 끈끈이주걱, 이삭귀개 등이 분포하고 있어 보존의 가치가 높다. 신불산 고산습지 습지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국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 습지 보호를 위한 감시 및 단속활동,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현명한 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양산 신불산 산지습지의 토양특성 및 퇴적환경 (The Sediment Properties and Geochemical roles of Mountain Wetland in Mt. Shinbul)

  • 신영호;김성환;박수진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42
    • /
    • 2004
  • 습지는 각종 영양물질의 원천지(source), 저장지(sink), 혹은 변환지(transformer)의 역할을 한다. 습지 역할의 차이는 습지의 유형이나 수문조건, 그리고 습지에 특정 물질이 영향을 주는 시간에 의하여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습지에 인접한 주변 환경과의 관계에 의하여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현재 국내에 보고된 산지습지 대해서는 이러한 역할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고, 타 습지에 비해 산지습지의 지화학적인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중략)

  • PDF

양산 신불산의 습원 식생 (Moor Vegetation of Mt. Shinbul in Yangsan)

  • 김종원;한승욱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2호
    • /
    • pp.85-92
    • /
    • 2005
  • 경남 양산시 신불산의 습원(면적 14,000 $m^2$)에 대한 식물군락의 유형화와 동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습원 식물상은 감시대상이 되는 식물종 26종을 포함한42과 80속 105종이 기재되었다. Z.-M.학파의 연구방법으로 8개 식생유형이 분류되었다: 올챙이자리-바늘골군집(신칭), 이삭귀개-흰개수염군락, 진퍼리새-좀네모골군락(전형하위군락, 끈끈이주걱하위군락), 진퍼리새-하늘산제비난군집, 억새군락, 메역순나무군락, 떡갈나무-노린재나무군락, 신갈나무-노린재나무군락 주좌표분석(PCoA)은 습원 내 식물군락들이 초본층(지표면)의 직사광선 이용 경향성 및 건습환경 조건, 그리고 토양의 비옥성(중영양-빈영양)에 대응하여 식생 구조의 다변성과 분포 경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동남부 영남알프스 산악지역에서의 산지 중간습원을 대표하는 진퍼리새군강 발달의 주요 요인은 국지적인 지리지형 조건으로부터 보다 짧고 습한 생육기를 야기하는 보다 긴 운무기간에 의한 냉각효과와 같은 기후 조건이 강조되었다. 양산습원은 인간간섭에 의한 습원식생과 자연 습원식생으로부터 무제치습원과 비교되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초기강도 향상을 위한 석고 종류 및 첨가량 검토 (Investigation on the Ratio and Type of Gypsum for Early Strength Improvement of Blast Furnace Slag Powder)

  • 정용;유정훈;신재경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06-11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제조시 혼입되는 최적의 석고량을 도출하고, 분말도 및 제조환경에 관한 제반물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함으로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품질향상 방안과 사용성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유동성은 석고첨가량이 높을수록 저하하는 경향이었고 천연석고와 석회 소성슬러지의 경우에는 첨가량 2.6%이상에서 KS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압축강도는 인산석고, 탈황석고, 불산석고의 화학석고가 초기 강도가 높게 형성되었고 석회 소성슬러지와 석회석 미분말은 강도발현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말도가 높아지면 유동성이 감소하고 압축강도는 증가하기 때문에 석고첨가량을 2.0%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경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저온에서는 불산석고, 고온에서는 탈황석고가 유동성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고 동절기인 $10^{\circ}C$에서는 2.6%, 서중기인 $30^{\circ}C$에서는 2.0%이하로 사용하는 것을 적정 사용량으로 결정하였다.

  • PDF

알카리 금속을 배재한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텍스쳐링 공정 (Alkali metal free texturing for mono-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 김태윤;김회창;김범호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8.1-48.1
    • /
    • 2010
  •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제조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각종 오염물에 의해 표면이 오염된다. 태양전지의 효율 개선을 위한 표면 texturing 공정은 주로 wet etch을 주로 사용한다. Wet etch 공정 시 주로 사용되는 KOH 용액은 texturing 후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K+ 이온을 남기고 이는 태양전지 표면에서의 불순물로 작용하여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불산 및 오존에 의한 세정 공정이 추가로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공정을 최소화 하며 잔존하는 알칼리 금속도 제거하기 위해, etchant로 알카리 용액이 아닌 ethylenediamine을 사용하여 texturing 후 KOH 용액과 비교해 보았다.

  • PDF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밀봉을 위한 $SiO_2-B_2O_3-RO$(CaO, BaO, SrO)계 유리의 결정상 변화에 따른 강도와 미세구조 특성 (Effect in Properties of Strength and Microstructure according to Change to Cystal Phase on $SiO_2-B_2O_3-RO$(CaO, BaO, SrO) System Glasses for SOFC Sealant Application)

  • 박성태;최병현;지미정;권용진;최헌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89.2-89.2
    • /
    • 2010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800{\sim}1000^{\circ}C$인 고온에서 작동하므로 적용되는 밀봉재의 요구조건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OFC 밀봉재로서 $SiO_2-B_2O_3-RO$계 결정화 유리를 선정하였으며 작동온도 부근에서 결정화를 유도하여 고온점성유동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SiO_2-B_2O_3-RO$계에 RO인 CaO, SrO, BaO, MgO를 상호 치환하였을 때 결정상의 생성, 생성온도, 생성결정의 종류가 sealing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검토하였다. 결정화유리를 $800^{\circ}C$로 유지하였을 때 생성되는 주 결정상은 Calsium silicate, Strontium silicate, Barium silicate, Magnesium silicate이였으며 Strontium silicate 의 생성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결정상은 불산으로 에칭하여 SEM으로 관찰하였다. Barium silicate를 유도한 결정화 유리가 $800^{\circ}C$에서 1000시간 유지하였을 경우 가장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강도값도 154MPa로 가장 높았다. 또한 부분 결정화를 통해 $800^{\circ}C$ 점성유동이 제어됨을 고온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 PDF

신불산 고산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의 특성 (A Characteristic on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the Shinbulsan Wetland)

  • 이동한;황종우;성성훈;윤춘식;정선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561-567
    • /
    • 2009
  • The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Shinbulsan wetland was investigated.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degree of recovery of habitat by comparing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 invertebrates of zone D to that of zone A, intact habitat. The zone D was destruct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golf club and the survey was performed in zone A and zone D of Shinbulsan wetland. The seasonal survey was performed in April, July and September from 2006 to 2007. From the sampling, 2 phyla, 3 classes, 9 orders, 31 families, 69 species and 1155 individual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From zone A, 2 phyla, 3 classes, 9 orders, 23 families, 54 species and 678 individuals were identified. From zone D, 2 phyla, 3 classes, 9 orders, 23 families, 43 species and 477 individuals were identified.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were higher in zone A than in zone D. The recovery of zone D was inefficient as humidity of soil was not enough to live macroinvertebrates. Also, an endangered species of macroinvertebrates, Nannophya pygmaea was found during this investigation.

신불산 고산습지 보호지역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특성 및 변화상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Conservation Area of the Shinbulsan Wetland)

  • 홍성진;정선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079-1088
    • /
    • 2020
  • The Shinbulsan wetland, located in Yangsan-si, Gyeongsangnam-do, South Korea, was designated as a conservation area in 2004. The area was monitored from 2015 to 2019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etween 2015 and 2016, several insects of the orders Ephemeroptera, Odonata, and Hemiptera were identified, but their numbers decreased significantly in 2017 and 2018 following the loss and recovery of the moor owing to drought.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relatively more insects of the order Diptera. Within this order, three functional feeding groups, gathering-collectors, plant-piercers, and predators were investigated. Predator species were the most abundant (83.3%), whereas gathering-collector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individual insects (50.5%). Between 2015 and 2016, when the moors were stable, groups I and III had the highest community stability. After 2017, when the moors had dried up, group III effectively disappeared because of its lower relative resistance and resilience, and only taxa belonging to group I rem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enthic macroinvertebrates that adapt early during moor formation inhabit the Shinbulsan wetland.

Surface Modification of MOOxOyS Non-volatile Memory Devices for Improving Charge Traps

  • 김태용;김지웅;이준신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64.2-264.2
    • /
    • 2014
  •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메모리로써 현재 다양한 차세대 전자소자의 집적화 구현을 위해 저전압 동작 및 저장능력의 향상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때 삽입되는 전하저장층의 경우 기존 널리 이용되는 질화막(SiNx) 외에 최근에는 산화 알루미늄(Al2O3) 등의 고유전상수 물질 뿐만 아니라, 밴드갭 조절을 통해 전하저장능력을 향상시키는 산화막(SiOx)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하저장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하저장층으로 산화막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평편한 구조가 아닌 표면 조절을 통해 전하저장능력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응용을 위해 우선적으로 금속-절연체-반도체 형태의 MOOxOyS 구조를 이용하였다. 이 때 실리콘 표면적을 변화시키기 위해 이용된 실리콘 웨이퍼는 1) 평편한 실리콘, 2) 수산화암모늄, 이소프로필 알코올 및 탈이온수를 혼합한 용액에 식각시킨 삼각형 구조, 3) 불산, 질산 및 아세트산을 혼합한 용액에 식각시킨 라운드 구조이다. 정전용량-전압 측정을 통해 얻어진 메모리 윈도우는 1) 평편한 실리콘의 경우 약 5.1 V, 2) 삼각형 구조의 경우 약 5.3 V, 3) 라운드 구조의 경우 약 5.9 V를 얻었다. 이 때, 라운드 구조의 경우 가장 넓은 표면적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전하트랩이 가장 많이 되어 메모리 윈도우가 가장 커지는 특성을 볼 수 있었다.

  • PDF

결정질 태양전지에서 니켈 전극 사용을 위한 열처리 방안 (The annealing method of nickel electrode for C-silicon solar cell)

  • 정우원;김성철;경도현;권태영;이영석;허윤성;박승일;이준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에너지변화시스템부문
    • /
    • pp.248-250
    • /
    • 2009
  • 고효율 태양전지를 위한 결정질 태양전지의 구조 중 UNSW에서 개발한 BCSC(buried contact solar cell)가 있는데, 이는 전면 전극을 laser 처리 후 무전해 니켈 도금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같은 전면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무전해 nickel 도금 후 열처리가 필수적이다. 우리는 이 공정을 확립하기 위해 결정질 wafer에 후면을 PECVD로 SiNx막을 형성하여 $30\Omega/\square$로 도핑한 후 후면을 불산으로 제거한 상태에서 양면을 니켈 무전해 도금으로 전극을 형성하여 $300^{\circ}C,\;350^{\circ}C,\;400^{\circ}C$에서 각각 3,6,9분간 진행하였다. 그 결과 $400^{\circ}C$에서 3분간 열처리된 sample이 상대적으로 가장 명확한 IV curve를 형성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는 PN 접합 구조에서 전극을 nickel로 사용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