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뢰적 정책

Search Result 1,25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erception of Internet Information Quality and Trust in Government: Focusing on participation of young netizen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public policy process (인터넷정보의 질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 20-30대 네티즌의 정책과정참여를 중심으로 -)

  • Kim, Ki Hyun;Park, Tong Hee
    • Informatization Policy
    • /
    • v.18 no.4
    • /
    • pp.59-84
    • /
    • 2011
  • In the 21st century, Internet information has a huge impact on citizens' participation in public policy process and trust in government. If the quality of Internet information is more positively perceived, the impact will be greater. In order to identify that causal relation, we construct the elements which make up the quality of Internet information and then analyze the impact of that quality on citizens' participation in public policy process and trust in government. First,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quality of Internet information increases online participation and decreases offline participation in public policy process. Second, online participation activates offline participation significantly. Third, offline particip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rust in government. In sum, the quality of Internet information activates online participation, which, in turn, contributes a lot to an increase in offline participation and eventually weakens trust in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 improved quality of Internet information weakens offline participation in public policy process and c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rust in government.

  • PDF

Determination of software release time considering maintenance policy (보수정책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출시 시기의 결정)

  • 나일용;이진승;이창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585-58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출시 이후 주기적인 보수(periodic maintenance)를 고려한 출시 시기 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출시시기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는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확보, 사용자 편의성 등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중요한 연구 분야로 여겨지는 분야이다. 일반 적으로 소프트웨어는 출시 이후에도 패치(patch), 서비스팩(service pack)등을 통해 지속적인 보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출시 이후의 보수를 고려하여 출시시기를 결정하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출시 이후의 보수정책을 반영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성장 모형(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을 도출하였다. 위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비용과 신뢰성에 근거한 소프트웨어 출시 시점을 결정해 보았다. 제시된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예제를 통해 기존의 논문에서 제시되었던 결과들과 비교분석을 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보수 정책을 고려함으로써, 보다 현실에 가까운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고, 출시 후 보수 시점, 보수 정책 등의 결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Perceived Low-Carbon Green Growth Polic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Workers (중소건설업 종사자들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ang, Hoe-Chang;Hong, In-Gi;Park, Kwang-Cheol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1 no.4
    • /
    • pp.237-260
    • /
    • 2012
  • Purposes of this paper are focused on researching that employees in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y embraced green growth policy by Korean government's strong will and they have try to improve it to take advantage of strengths.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ncludes: Firstly,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loyee's cognition of green growth policy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to examin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the policy trust and company trust between employee's cognition of green growth poli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 examine the facilitating effect of employee's self-efficacy between company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data were collected from 168 individuals in 19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y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its hypotheses. Findings are as follow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on of green growth poli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 employee's company trust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and moder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of green growth poli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employee's self-efficacy also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ny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contribute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suggesting an alternative theoretical model regarding how the cognition of green growth poli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 to relate employee's company trust, and how the company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 to facilitate employee's self-efficacy. These results reveal that the study contributed to combining variables of employee's cognition of green growth policy, company trust,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xpanded it.

  • PDF

Determinants of Effectiveness in Food Safety Policy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s-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소비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 Han, Ik-Hyun;Eun, Jonghwan;Lee, Jae-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1
    • /
    • pp.386-39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effectiveness in food safety policy,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s. For this, we apply ordered logit analysis using "The Survey on the Attitudes towards Food Safety Policy" data investiga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olicy literac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rus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sensitiv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perceived by consumers. This study imply that the government should give more information about policies and make an effort to gain trust on food safety policy.

Secure OS 보안정책 및 메커니즘

  • 홍기융;김재명;홍기완
    • Review of KIISC
    • /
    • v.13 no.4
    • /
    • pp.49-59
    • /
    • 2003
  • 정보보호기술이 '수동형'에서 점차로 '능동형'으로 진화하고 있는 가운데, Secure OS가 능동형 정보보호기술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Secure OS는 서버시스템 보안의 원천적 기술로 접근통제에 관한 보안정책, 보안모델 및 보안메커니즘에 대하여 검증 가능한 방법으로 안전ㆍ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ecure OS 핵심기술의 이해와 더불어 Secure OS 개발 시 안전ㆍ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론적으로 잘 정립되고 정형화된 보안정책, 보안모델 및 보안메커니즘에 대하여 살펴본다.

The Effects of the Types of Source-Based Trust on Knowledge Sharing of Public Employees: Based on Officials' Perceptions in Local Government (공공조직 구성원의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지방공무원의 인식수준을 중심으로 -)

  • Kim, Gu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0 no.4
    • /
    • pp.23-50
    • /
    • 201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and to develop the optimal model about an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ource-based trust and knowledge sharing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based calculative trust in organization, cognition-based trust in organization, cognition-based trust in supervisor, cognition-based trust in coworkers, and emotion-based trust in coworkers were set up as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research model, and sharing of tacit knowledge and explicit knowledge based on the knowledge content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shows that the suitability of each model has approximate value to the required level, and that emotion-based trust in coworkers significantly affects knowledge sharing for both the individual and integrated factors in hypothetical influential relationship.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o enable knowledge sharing in various situations by dividing the concepts of trust that affect knowledge sharing into a few types, and deriving the influential model of knowledge sharing by types.

  • PDF

농업용수 이용량 산정을 위한 인자 조사

  • Maeng, Seung-Jin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8 no.2
    • /
    • pp.9-14
    • /
    • 2006
  • 우리나라의 수자원정책이 과거 개발위주의 정책에서 수요관리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됨에 따라 제한된 수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차원에서 수자원 개발 및 관리계획 수립의 기초정보인 용수이용량 자료의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게 되었다. 용수 이용량은 생활, 공업, 농업용수로 대별하여 산정하며 이들 중에서 특히 농업용수의 이용량을 상대적으로 산정하기 어렵다. 농업용수 이용량 산정시 고려되는 인자는 자료의 신뢰성이 우선되어야 수자원계획과 관리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농업용수 이용량 산정을 위한 조사인자의 획득 방법과 체계를 다룬 "용수이용조사 합리화 방안 연구(3차)" 보고서(2003. 11, 건설교통부)의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용수이용량 산정을 위한 조사인자는 수자원계획 및 관리차원에서의 활용측면과 대국민 신뢰도 확보 등 홍보효과 측면 등을 감안하여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으며 용수수요량을 추정할 경우 필요한 인자에 대해서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1. 7,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에서 제시된 산정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하였다.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the Use of Internet Banking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인터넷뱅킹 이용에 관한 연구)

  • Jo, Nam-Jae;Lee, Gi-Yeong;Son, Ji-Ho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391-41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먼저 몇 개의 요인으로 분석 한 후, 도출된 요인들을 다시 군집분류를 하였다. 추출된 군집들에 따라 인터넷 뱅킹 신뢰성과 인지도 그리고 소득수준이 인터넷 뱅킹 이용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고, 전체 군집에서 나온 결과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 해보았다. 그 결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4개의 군집이 분류되었으며, 군집1을 '적극적 활동형', 군집 2를 '현실적 가족형', 군집 3을 '전통적 보수형', 군집 4를 '소극적 비활동형'으로 명명하였다. 군집들에 따라 신뢰성, 인지도, 소득수준이 인터넷 뱅킹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로는 전체군집에서는 소득에만 영향을 받았으나 군집을 세분화하여 세분화된 군집별로 알아본 결과 전체 군집과는 달리 '적극적 활동형'은 신뢰성, '전통적 보수형'과 '소극적 비활동형'은 소득수준, 그리고 현실적 가족형은 아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아 시장을 세분화 하였을 경우와 세분화 하지 않았을 경우의 연구 결과는 다르다는 결론을 얻어냈으며, 인터넷 뱅킹 활성화에 있어서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객 세분화는 큰 의미가 있다.

  • PDF

Reliable Replenishment Policy for Deteriorating Products under Day-terms Supplier Credit and Quantity Discounts for Freight Cost in a Supply Chain (공급사슬에서 신용거래와 수송비의 할인을 고려한 퇴화성제품의 신뢰성있는 재고보충정책)

  • Shinn Seong-Whan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8 no.1
    • /
    • pp.195-206
    • /
    • 2006
  • 본 연구는 제조자(공급자)와 중간분배자로 구성된 공급사슬에서 시간에 따라 일정률로 퇴화하는 퇴화성 제품을 다루는 중간분배자의 신뢰성있는 재고보충정책을 분석하였다. 문제 분석을 위하여 제조자는 고객의 수요를 증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중간분배자로부터의 제품대금에 대하여 일정기간 동안 신용거래를 허용한다는 가정과 함께 수송량에 따라 할인되는 수송비를 고려하여 모형을 수립하였고, 중간분배자의 경제적 재고보충정책을 결정하기 위한 해법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