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뢰성 모형

검색결과 1,820건 처리시간 0.059초

우수관의 불능확률 산정을 위한 신뢰성 모형 (Reliability model for the probability of system failure of storm sewer)

  • 권혁재;이철응;안재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91-1695
    • /
    • 2010
  • 본 연구에서 AFDA(Approximate Full Distribution Approach)를 사용하여 하수관의 불능확률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신뢰성 모형이 개발되었다. 여러 도시의 연 최대강우강도(Yearly Maximum Rainfall Intensity)를 이용하여 그 확률분포함수를 분석하였고 우수관(Storm sewer)의 불능확률 산정을 위한 신뢰성 모형에 적용하였다. 연 최대강우강도 자료의 분석결과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여러 중소도시에 대한 연 최대강우강도의 확률분포함수는 Gumbel분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 모형은 불능확률의 신뢰함수를 구하기 위해 하중(Load)을 규정하는 식은 합리식이 사용되었고 용량(Capacity)를 규정하는 식은 Darcy-Weisbach공식과 Manning의 공식이 사용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신뢰성 모형을 실제 우수관에 적용하여 불능확률을 산정하는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Y자형 우수관망에서 2개의 관으로 유입하는 각각의 유량이 그 관의 허용유량을 초과할 경우를 불능확률로 가정하였고, 나머지 관의 경우는 두 개의 관으로부터 유입하는 유량과 그 세 번째 관의 매설지역의 우수유입량의 합이 그 관의 허용유량을 초과할 경우를 불능상태(state of system failure)로 간주하여 불능확률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Darcy-Weisbach공식과 Manning의 공식을 사용한 신뢰성 해석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우수관 직경의 변화에 따른 불능확률을 산정하였다. 특정한 수치(설계직경)이하일 경우 불능확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제 우수관의 유효직경이 설계직경에 항상 가깝도록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최선의 관리 방법이며 불능확률을 줄이는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뢰성 모형은 우수관의 운용, 관리, 감독은 물론 설계에 활용이 가능 할 것이다.

  • PDF

Delay-Time 모형을 적용한 신뢰성 기반 정비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 윤원영;정일한;고용석;류기열
    • 한국신뢰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뢰성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5-440
    • /
    • 2000
  • Delay-Time 모형은 고장의 발생 전에 먼저 결점이 일어나게 되고 결점이 일어난 이후 얼마간의 시간(delay-time)이 지나고 나서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모형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delay-time내에 검사를 하여 결점을 찾아내면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직ㆍ병렬과 우선 순위를 고려한 대기구조를 갖는 시스템에서 정비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신뢰성 기반 정비를 지원하고 Delay-Time모형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검사 정책 수립과 예방정비, 정비원, 예비품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시스템을 평가하는데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현장적용이 용이한 간편한 소프트웨어 시스템 신뢰성 평가모형 개발과 기존 모형과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with Existing Model to Development of Software System Reliability Estimation Model of Field Applicable to be Easy and Simply)

  • 김숙희;김종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307-1317
    • /
    • 2010
  • 응용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은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개발된 대부분의 모형에서 보면, 모수의 추정방법이 너무 복잡하다. 그러므로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산업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너무 많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간편하게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신뢰성 평가모형을 개발한다. 그리고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뢰성을 평가하여 기존의 신뢰성 평가모형과 차이가 없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렇게 효과가 입증되면, 현장에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 개발자들이 편리하게 신뢰성을 평가해 볼 수 있도록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처리된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체계신뢰성방법에 기초한 강사장교의 안전도평가 (System Reliability-Based Safety Assessment of Steel Cable-Stayed Bridges)

  • 조효남;임종권;박경훈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4호
    • /
    • pp.351-36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실용적 체계신뢰성에 기초한 강사장교의 안전도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모형을 제안하였다. 공용중인 강사장교의 시스템 안전도평가를 위하여 요소신뢰성해석을 위한 케이블, 주형 그리고 주탑의 한계 상태모형과 각 요소들간의 조합파괴를 포함하는 주파괴경로를 정의할 수 있는 체계신뢰성해석 모형을 제안하였다. 요소신뢰성해석을 위한 수치해석기법으로는 AFOSM(Advanced First Order Second Moment) 방법을 사용하였고, 체계신뢰성해석을 위해서는 부분 ETA(partial Event Tree Analysis) 모형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진도대교의 안전도 평가에 적용하였다. 부분 ETA 모혀을 사용한 체계신뢰성 평가 방법은 기존의 요소신뢰성 방법에 비해 구조물의 여용성을 충분히 반영하는 상당히 합리적이며 실제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

증강현실(AR) 기술 수용에 있어서 신뢰성의 역할 (Roles of Trust in Technology Acceptance of Augmented Reality)

  • 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2권2호
    • /
    • pp.1-19
    • /
    • 2019
  • 신기술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오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더불어 등장한 새로운 기술을 고객들이 수용함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 요인의 영향력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론적인 모형으로는 기술수용모형(TAM) 혹은 확장된 통합기술 수용모형(UTAUT2)에 기반한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들 모형에는 신뢰성(trust) 변수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을 추가하여 증강 현실(AR)을 대상으로 검정을 하였다. 신뢰성을 독립 변수로 본 경우, 매개 변수로 본 경우, 조절 변수로 본 경우 3가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뢰성은 독립 변수들과 사용 의도(수용 의도)간 매개 변수로 보는 것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다. 본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신뢰성은 매개 효과로서의 역할을 하다는 점을 밝혔다.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새로운 기술 수용에 있어서 신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신뢰성 확보에 우선 순위를 두어야한다는 것이다.

온라인 교육사이트의 서비스품질 측정을 위한 SERVPERF와 KS-SQI모형의 비교 (A Comparison of SERVPERF and KS-SQI for the On-line Education-website Service Quality Measurement)

  • 신미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253-263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의 중 고교생이 많이 사용하는 온라인 교육사이트의 서비스품질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SERVPERF모형과 KS-SQI모형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적합한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AMOS7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SERVPERF모형에서 서비스품질은 신뢰성, 유형성, 반응성, 공감성, 확산성으로 측정하는 모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KS-SQI모형의 서비스품질은 본원적 서비스와 예상외 서비스로 구성된 성과차원과 신뢰성, 친절성, 적극지원성, 접근용이성, 매체유형성으로 구성된 과정 차원으로 구성된 측정모형으로 나타났다. 두 모형간 비교에서는 KS-SQI가 경로분석에 대한 모형적합도 측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프의 파괴확률 산정을 위한 신뢰성 해석 (Reliability Analysis for Estimations of the Probability of Pipe Breaking)

  • 권혁재;이철응;최한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50-853
    • /
    • 2008
  • 송수관이나 배수관은 계획된 필요유량을 특정 지점까지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지만 여러 가지원인으로 인하여 갑작스런 파열이나 균열이 일어난다. 파이프 파괴의 원인으로는 수격현상, 관의노화, 파이프 외부로부터의 충격, 흙의 상태, 그리고 파이프 설치시의 공사여건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여러 가지 요인들을 불확실성 인자로 가정하여 파이프의 파괴확률을 산정할 수 있는 신뢰성 해석 모형이 개발되었다. 상수관망의 설계 시 파이프의 두께를 산정하는 주 장력 공식을 이용하여 신뢰함수를 만들고 파이프의 파괴확률을 계산하였다. 신뢰함수를 구성하는 확률변수들 중 파이프의 내압에 대한 분포함수는 정규분포가 아닌 극치분포(Gumbel distribution)를 따른다는 것을 부정류 수치해석 결과로서 알 수 있었고 AFDA(Approximate Full Distribution Approach) 기법을 사용하여 파괴확률을 산정하였다. 신뢰성 모형을 이용하여 파이프의 두께, 직경, 허용응력, 그리고 파이프 내압에 따른 파괴확률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뢰성 해석모형을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송배수관의 설계기법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계층적 베이지안을 활용한 개념적 강우-유출모형 앙상블 모델 구축 (Development of a conceptual rainfall-runoff ensemble model using hierarchical Bayesian method)

  • 유재웅;김민지;오세청;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1-181
    • /
    • 2021
  • 유역 내의 물순환 평가를 위하여 적합한 강우-유출모형을 선정하고 적용하는 것은 수문학적 관점에서 주된 과제이다. 장기적인 관점의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직접적인 계측을 통해 장기간의 유출자료를 취득하는 방법이 있으나, 국내의 주요지점을 제외한 대다수의 중소규모의 지점에 계측기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자료취득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은 장기간 강우 자료를 강우-유출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으로의 모형을 확장하는 방안이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주요 연속강우-유출모형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교적 신뢰성 있는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소양강댐 유역에 다수의 연속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였다. 모델링 결과로 산출된 유황곡선(flow duration curve)을 소양강댐 유입량과 비교하여 각 모형의 특징을 파악하고 유량에 따른 적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향후 미계측유역으로 모형을 확장하기 위하여 매개변수 개수 및 재현능력을 동시에 평가하였다. 다수의 모형 중 적합성이 높은 모형들을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모형들의 불확실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계층적 베이지안 기법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앙상블모형을 제시하였다. 앙상블모형을 단일 모형과 비교한 결과 단일 모형보다 개선된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불완전 결함 발견과 구문 반복 실행을 고려한 커버리지 기반 신뢰성 성장 모형 (A Coverage-Based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for Imperfect Fault Detection and Repeated Construct Execution)

  • 박중앙;박재홍;김영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6호
    • /
    • pp.1287-1294
    • /
    • 2004
  • 최근 소프트웨어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신뢰성 측도와 커버리지 간의 관계가 연구되고 있다. 특히 커버리지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성장 모델에서 평균치 함수는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성장을 나타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커버리지에 기반한 기존 모형들의 문제점을 평균치 함수와 그 모형이 근거하는 가정을 바탕으로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평균치 함수를 제안한다. 제안된 새로운 평균치 함수는 불완전 결함 발견과 구문의 반복 실행이 허용되는 일반적인 테스팅 환경에서 도출된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실제 데이터에 제안된 모형을 적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한다.

SWAT 모형을 이용한 산림지역의 토양수분과 식생 정보 간 상관성 분석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WAT predicted forest soil moisture and MODIS NDVI image)

  • 홍수용;박민지;박종윤;신형진;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84-88
    • /
    • 2009
  • 토양수분은 물순환계통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수문학적 변수이나 설치비용과 인력부족으로 실측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많은 수문모형의 개발로 토양수분 또한 결과물로써 많이 이용되지만, 그 결과의 신뢰성을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활용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수문모형인 SWAT 모형을 통해 산림지역의 토양수분을 모의하고 MODIS NDVI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모의된 토양수분의 신뢰성 판단을 위한 MODIS NDVI의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은 산림이 전체유역의 약 82%를 차지하고 있는 충주댐 유역으로 하였으며 NDVI 자료는 시간해상도 16일, 공간해상도 250m 인 MODIS 영상의 Product를 이용하였다. 보다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기 위해 유역의 특성이 다른 두 지점을 선정하여 다지점 검보정을 수행하였으며, 2003년부터 2006년까지의 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보정하고, 2000, 2001 그리고 2002년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검보정 결과 모형 효율성 계수는 상류와 하류에 대하여 각각 0.91, 0.87, 결정계수는 각각 0.90, 0.80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NDVI 특성에 따라 봄 기간과 가을기간으로 나누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NDVI와 토양수분의 상관관계는 NDVI가 증가하는 봄 기간에 토양수분은 감소하며 역 관계로 나타났고 NDVI가 감소하는 가을 기간에 토양수분은 증가하는 순 관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