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뢰도측정

Search Result 1,88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liability Study of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Program for Wrist and Finger Joint Range of Motion Measurement (손목 · 손가락 관절가동범위 측정에 관한 3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의 신뢰도 연구)

  • Park, Sun Ha;Park, Ji-Hyuk;Kim, Jong Bae;Jung, Young Jin;Lee, Joo Hyun;Park, Hae Yean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2 no.1
    • /
    • pp.79-92
    • /
    • 2023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a three-dimensional (3D) motion analysis program for measuring the range of motion (ROM) of wrist and finger joints. Methods : The study recruited 50 people who had no restrictions on wrist and finger movements,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Using a goniometer and a 3D motion analysis program, a total of 11 wrist and finger ROM were measured once each.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3D motion analysis program, the degree of agreement and inconsistency of the measured values were compared. Results : Analysis of the degree of agreement of the measured values revealed that 38 out of 44 items showed a very high degree of agreement. Regarding analysis of inconsistency in the measured values, inconsistencies were found in three item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ROM of the joint could be measured using the 3D motion analysis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might be expected that the 3D motion analysis program would be used in various clinical fields owing to the advantages of measurement convenience and accurac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rporate Philanthropy Scale : focusing on the guidelines of ISO26000 (기업사회공헌활동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및 타당화 : ISO26000의 지침을 중심으로)

  • Kim, Jiha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7 no.2
    • /
    • pp.5-31
    • /
    • 2015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corporate philanthropy scale focusing on the guidelines of ISO26000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uthor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individually interview, consult and pilot test in order to clarify description and relevance of scale items.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ation of scale, 94 staffs in charge of the corporate philanthropy work in the companies were surveyed as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of the explanatory factor analysis on scale found the six factor structure and 27 items. The construc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confirm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also remained at a high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orporate philanthropy was suggested.

  • PDF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Stream Discharge at the Major Control Points of Geum River Basin (금강유역 주요 제어지점의 유출량 검증 및 분석)

  • Lee, Bae-Sung;Hawng, Man-Ha;Lee, Sang-Jin;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69-1473
    • /
    • 2007
  • 일반적으로 자연하천에서의 유량측정은 현장의 접근성 및 측정자의 작업숙련도 등의 문제로 인하여 측정자료의 신뢰도 저하는 물론, 강우관측이나 수위관측과 같이 연속적으로 유량자료를 확보하기에는 기술적,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실무에서는 연속적인 유량자료를 확보하기위해 하천수위와 관계로부터 수위-유량관계곡선(Rating Curve)을 작성한 후, 연속적으로 관측된 수위로부터 유량을 환산하여 유량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년강수량의 2/3가 홍수기인 $6{\sim}9$월 사이에 집중되는 반면, 갈수기인 10월에서 그 다음해인 3월까지는 년강수량의 1/5에 불과함에 따라 하천유황의 계절적 변동성이 심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홍수기를 전 후로 지속적인 하상변동이 발생하여 수위-유량관계를 크게 왜곡시키고 있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유역인 금강수계 상 하류 5개 지점에서는 년유출량의 상대오차가 10%이하인 경우가 11%에 불과하여 왜곡된 수위-유량관계로부터 산정된 유량자료의 신뢰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유역유출예측시스템(RRFS)의 실제 적용성을 평가하고 확장 보완하기 위해, 하천 본류의 제어지점(Control Point) 및 소유역 출구지점의 유량자료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함은 물론, RRFS 주요제어지점에 대한 유출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Developing an evaluation tool to measure the tendency of cyber bullying (사이버불링 경향성 진단도구 개발)

  • Yoon, Mi-Sun;Kim, Myuhng-Joo;Park, Jung-Ho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8 no.2
    • /
    • pp.59-70
    • /
    • 2015
  •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a valid evaluation tool which has reliability to measure the tendency of cyber bullying that is on the increase recently. After setting up the concept of cyber bullying and exploring its factors by reference to advanced research, we developed the draft tool through modifying by the expert group. By conducting several surveys using this evaluation tool, we have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our tool. And we also have developed an evaluation tool to measure its tendency. As a result, the complementary evaluation tool of cyber-bullying tendency was proposed with more advanced and accurate test.

Development of Health Status Scale for Abdominal Obesity Elderly (복부비만 노인의 건강수준 측정도구 개발)

  • Kim, Jeong Soo
    • 한국노년학
    • /
    • v.30 no.4
    • /
    • pp.1095-110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Abdominal Obesity Elderly(AOE) Health Status Scale to assess self rated health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255(pretest 56, test 199) elderly over 65year.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ne to August, 2009. The method of this study as follow: items generation, tes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5 panels of experts reviewed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and then data were collected from elderl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analyzed the data by SPSS-Win 12.0 program. Results of factor analysis, 5 factors with a total of 16 items extracted that were Social level(Social participation 6 items, Physical Activity 2 items), Physical level(Disease Perception 4 items, Physical Index 2 items), Psychological level(Emotional Support 2 items). The reliability of the AOE health status scale was .868(Conbach's α). In the factor analysis Conbach's α correlations for the 5 factors ranged from .806 to .577. Therefore,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reliability of the AOE health status scale were established. The AOE health status scale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which abdominal obesity elderly health status can be assessed.

Development of instrument for measuring Home Economic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H-PCK) (가정교과교육학 지식(H-PCK)의 측정도구 개발)

  • Lee, Seung Jin;Yu, Nan Sook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9 no.1
    • /
    • pp.35-56
    • /
    • 201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instrument to examine the latent domains to measure H-PCK and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instrument item development, content validity, pilot study, and main study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a review of extant literature, 29 items for H-PCK were developed. Seven items were deleted from the original instrument after determining content validity by 10 in-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which resulted in the 22 items of 3 domains(Knowledge of perspective on Home Economics Education(KP), Knowledge of Home Economics curriculum(KC), Knowledge of Home Economics instructional strategies(KI)). Second, data were collected from 137 Home Economics teachers via mail survey for pilot study to establish reliabilities for each individual domain and across the domains based on Cronbach's ${\alpha}$ and item-total correlation. The result showed good reliabilities in the cut-off value of .7 and .5 for Cronbach's ${\alpha}$ and for item-total correlation respectively. Third, the main study was performed with 220 Home Economics teachers via e-mail survey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were conducted. The reliability test results showed good reliabilities. The model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provided a good fit to the data (e.g., CFI=.92, RMSEA=.06, SRMR=.05) to evaluate construct validity. The three domains of KP, KC, and KI demonstrated the acceptabl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in each individual domain and over domains. Thus, the instrument in this study may be utilized to measure H-PCK. Finally,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three domains a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with Pearson correlation (${\rho}$). It was relatively highly correlated at ${\rho}=.7$. In addition, the higher H-PCK the Home Economics teachers had, the higher teacher efficacy they had. The final instrument consisting of 22 items from 3 domains were determined through the entire procedure.

Evaluating reliabilities of canal discharges by reservoir water balances (저수지 물수지에 의한 수로 공급량의 신뢰도 평가)

  • Seok Kyun Yu;Jaekyoung N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8-128
    • /
    • 2023
  •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는 저수량만을 참조하여 운영한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유입량을 고정시키고 저수지 물수지 분석에 의해 방류량을 생산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총저수량 142만m3의 옥서저수지, 106만m3의 홍동저수지에 적용하여 일별로 저수량을 모의하여 관측값과 비교하고, 저수지 물수지 분석에 의해 실시간 계측되는 수로유량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장기간의 계측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인근 다목적댐인 보령댐의 운영자료(2018~2021)를 이용하여 유입량 모형의 매개변수(α=3.500)를 결정하고, 저수지 유입량을 모의한 결과 NSE 0.854, R2 0.858의 높은 신뢰도를 얻었다. 유입량을 고정시키고, 저수지 물수지 분석에 의해 방류량을 계산한 결과 옥서저수지는 일최대 방류량 5.7m3/s, 일평균 0.2m3/s, 홍동저수지는 각각 5.9m3/s, 0.2m3/s로 나타났다. 총방류량을 측정 수로유량과 여수로 방류량으로 분할하고, 저수지 물수지 분석에 의해 수로유량의 신뢰도를 평가한 결과 옥서저수지는 R2가 0.771, 일평균 저수위 오차 88.6cm, 일평균 저수량 오차 9.4%, 홍동저수지는 R2가 0.086, 일평균 저수위 오차 69.9cm, 일평균 저수량 오차 18.0%로 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저수지 수위가 만수위(FWL) 이하일 때는 여수로 방류량을 0으로 하여 총방류량을 여수로 방류량과 수로유량으로 분할한 후, 물수지 분석에 의해 신뢰도를 평가한 결과, 옥서저수지의 경우 R2는 0.941, 일평균 저수위 오차 2.6cm, 일평균 저수량 오차 0.35%를 나타내, 신뢰도가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홍동저수지의 경우는 R2는 0.521, 일평균 저수위 오차 2.2cm, 일평균 저수량 오차1.02%를 나타냈지만,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측정 수로유량의 신뢰도는 두 저수지 모두 낮게 나타났다. 수로유량 조정을 통해 옥서저수지의 신뢰도는 향상 시킬 수 있었지만 홍동저수지의 경우는 향상 시킬 수 없었다. 이는 여수토 비상수문조작 실적과 저수지 사통 수문 조작 실적이 없어, 그 결과를 정확히 반영할 수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 PDF

과학경험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 고등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 Kim, Nak-Gyu;Ryu, Chun-Ryeol;Lee, Chang-Ji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7-17
    • /
    • 2010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과학 경험의 정도를 정량화 하는데 있어 통일된 측정 도구를 제시하는 것이다. 측정 도구를 구성하는 요인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학교 안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과학 탐구 경험, 실험 기구 경험으로 세분화 되며 학교 밖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취미 활동 경험, 현장 견학 경험 6개의 영역으로 구분을 할 수 있었다. 각각의 요인을 구성하는 질문은 NAEP(1987)에서 사용된 과학 경험 검사 도구와 신영준(2000)의 과학 경험 검사 도구의 문항 중 일부를 발췌하고 더불어 과학 경험에 대한 개방적인 설문지를 통하여 1차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답변 중 빈도가 많은 답변과 중등 교과서의 탐색적 분석을 통해 영역별 10문항씩 6개 영역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사전 설문조사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검사지를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한 측정 도구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와 구인타당도로 검사하였다. 내용타당도는 2명의 현직 중등교사와 2명의 과학교육전문가가 각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지 심사하였고, 구인타당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검사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 $\alpha$를 통하여 문항을 분석하였다. 6개의 영역의 요인에 대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결과 6개 영역으로 구성된 60문항의 측정 도구는 학생들의 과학 경험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 PDF

Study on Function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D2MS (PDA 유량측정 관리시스템의 기능 개선 및 활용성 검토)

  • Lee, Kyoung-Do;Jung, Seung-Kwon;Kim, Nam-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03-907
    • /
    • 2006
  • 수위, 우량, 유량, 유사량 등 수문자료 중에서 유량자료는 가장 많은 쓰임새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뢰도가 낮은 이유로 인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유량측정자료의 신뢰도가 낮은 이유는 크게 5가지로 들 수 있는데 1)측정 수행자의 잦은 교체 등에 따른 조사역량 부족, 2)수행자별 유량측정 및 분석방법 상이, 3)장비의 유속검정 등 관리미흡 및 성능 저하, 4)유량측정 상당시간 경과 후 유량측정성과 정리로 오류 수정 곤란, 5)유량측정성과의 체계적인 관리 미흡 등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현장에서의 유량측정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웹솔루스에서는 PDA를 이용한 유량측정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기존의 한국수자원공사에 국한된 기능을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프라이스컵을 이용한 유량측정이 가능하도록 유량측정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개선하였다. 현재 이 시스템 C/S 기반 및 웹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2003년부터 2005년까지의 주요 댐 지점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그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시스템을 기반으로 측정된 자료들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이 되며, 현 2006년에는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13개의 댐과 1개의 국가 하천에 대하여 총 59개의 관측지점에서 활용되고 있고 있다. 본 시스템 도입을 통해 유량측정성과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향후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오랜 기간에 걸쳐 축적된 많은 양의 유량자료는 수자원관리에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입력자료로 변환하도록 하는 자료 동화 기능, CE-QUAL W2 모형을 수행하는 기능 및 결과자료를 분석하는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기능을 선택하면 해당 화면으로 GUI가 전환된다. 따라서 다량의 측정자료의 신뢰성을 유지하고 이를 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시스템화하기 때문에 자료의 이상적 유지 관리가 이루어지며 복잡한 2차원 수질해석 모형을 수월하게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제외하면, 부자측정 방법에 의한 유량산정시 가장 큰 오차원인은 홍수시 측정된 유속측선의 위치와 홍수 전후로 측정된 횡단면상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점과, 대부분 두 측정 구간의 평균값을 대푯값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다년간의 유량 측정 및 검증 경험과 자료를 토대로 현장에서 부자를 이용하여 측정된 측정성과를 정확도 높은 유량자료로 산정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추정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더불어 보다 정확한 유량 산정을 위한 기준과 범주를 제시하고자 한다.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