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라시대

Search Result 22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rinciples of Stone Elevation Formation for Walls and Wells in the Silla Dynasty from 5th to 7th Centuries (5~7세기 신라시대 성곽과 우물에 대한 석축입면조형원리)

  • Kang, Seong-Bin;Seo, Seong-Hyeok;Jung, Tae-Y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1
    • /
    • pp.47-55
    • /
    • 2023
  •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analyzing the size, proportion, shape, angle, distribution, etc. of stones in order to identify the principles of facade molding of stonework of the 5th to 7th centuries of the Silla Dynasty. First, the uniformity of the size of the stones of the stone foundations of the Silla Dynasty was low at -0.8 to 4.1. This means that stones of various sizes were used, from small stones to large stone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large stones in stonework of the Silla Dynasty appeared evenly regardless of height. This was common in the stonework of the Silla Dynasty, regardless of structural classification such as wells and mountain fortresses. It is thought that the Silla people did not only pursue practicality and efficiency in stone construction, but also considered design elements. Second, the proportional deviation of the stones of the stone walls of the Silla Dynasty was high, ranging from 0.861 to 1.515. This means that the stonework of the Silla Dynasty did not use only long flagstone-shaped stones, but used a mixture of long and short stones. Third, the shape average of the stones of the stonework of the Silla Dynasty was low at 0.45, and the shape deviation was high at the maximum of 0.15. This means that the stones as a whole have irregular shapes, and each stone has a high difference in shape. Fourth, the angle deviation of the stones of the Silla Dynasty was 4.3 to 16.2, and the average angle was 2. This means that the angle of each stone on the stone axis of the Silla Dynasty is tilted to the left and right. Fifth,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tone size, slenderness ratio, shape, and angle in the stone axes of the Silla Dynasty. In the case of stone axes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one size and slenderne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one size and shape. It can be said that the stones of the Joseon Dynasty were relatively standardized, but the Silla Dynasty showed the beauty of moderation by keeping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becoming one with the material.

우리나라 고농서(古農書)에 나타난 한(旱)·수해(水害)와 그 대책(對策)에 관한 고찰(考察)(2)

  • Jang, Gwon-Yeol;Choe, Gyu-Hong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7 no.2
    • /
    • pp.204-207
    • /
    • 1992
  •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三國時代) 천년 동안에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나타난 농업재해(農業災害)에 관한 기록을 본바 한해(旱害)와 수해(水害)에 대한 기록이 제일 많고, 한해(旱害)에 대한 기록이 수해(水害)에 대한 기록이 수해(水害)에 대한 기록보다 두드러지게 많았다. 한해(旱害)에 대한 기록은 고구려 시대에 11회(回), 백제시대에 20회(回), 신라시대는 연대(年代)도 길어서 통일(統一)신라 이전에 22회(回) 그리고 통일신라 이후에 23회(回) 등 100회(回)에 가까운 한해(旱害)에 대한 기록을 볼 수 있다. 수해(水害)에 대한 기록은 한해(早害)에 대한 기록보다 적으나 고구려 시대에 5회(回), 백제시대에 3회(回), 그리고 신라시대에는 15회(回)의 수해(水害)(대수(大水))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한해(早害)나 수해(水害)로 인하여 흉년(凶年)을 당했을 때, 특히 한해(旱害)에 대한 재해(災害)를 입었을 때에는 국가적(國家的)인 대책(對策)을 세워 기아민(飢餓民)의 구호(救護)에 힘을 기울였다는 기록은 얼마든지 있다. 여기에는 기우제(祈雨祭)를 지내여 민심(民心)을 수습하고 국가(國家)에서 비축(備蓄)하고 있었던 양곡(糧穀)으로 구호(救護)하였고 그 시대(時代)가 이천 년 전인 고구려, 백제, 신라의 건국 초기부터 라는 것을 볼 때 이들 구호(救護) 대책(對策)의 시행(施行)이 이천 년 전(前)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Astronomical Calendar and Restoration Design of Clepsydra in the Silla era (신라시대 천문역법(天文曆法)과 물시계(漏刻) 복원연구)

  • Lee, Yong-Sam;Jeong, Jang-Hae;Kim, Sang-Hyuk;Lee, Yong-Bo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5 no.3
    • /
    • pp.299-320
    • /
    • 2008
  • We study on the astronomical calendars that was used in the Silla era. The calendars are deduced from the records in Samguksagi. They were influenced from calendaric system of Tang Dynasty, which are Lin duk calendar(麟德曆), Ta yen calendar(大衍曆) and Sun myung calendar(宣明曆). We analyse them in detail according to the time and duration of use. Water clock system of Unified Silla was used four water vessels for supplying water. We found the model from documents on ancient water clock that are appeared in the old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istorical records. We have assumed the model of Unified Silla clepsydra is similar type with Chinese records during Tang dynasty and with Japanese reconstructed water clock in Temple Asoka. After fluid dynamic experiment, we decide the suitable diameter of supplying pipe and volume of the vessels used in the clepsydra. We introduce the experimental instruments and methods for accomplishing the clock. We designed and reconstructed the water clock of Unified Silla and float rods for measuring time, that is based on the Silla's calendaric system.

신라시대 섬유직물의 분석고찰 -천마총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육영수;김상용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9 no.1
    • /
    • pp.4-14
    • /
    • 1976
  • 천마총출토유물의 직물류 20여편을 화학적 및 물리적 시험분석을 통하여 그 사용섬유, 직물의 밀도, 구성계의 섬도, 조직, 염색상태등을 조사하므로서 그 직물의 신라시대 당시의 명칭 또는 품질의 정도와 염색기술등을 추정하여 문헌상의 기술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The Investigation silk fabrics and sericulture on Silla periods (신라시대 비단과 양잠에 대한 연구)

  • Lee, Kwang-Woo;Lee, Jun-Hee;Seok, ee-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23-23
    • /
    • 2011
  • 신라는 유잠국을 거쳐 새로운 비단이라는 신라(新羅)로 국호를 변경한다. 신라 뽕나무와 비단의 행방을 �O는다면 실크로드의 출발점이 한반도의 신라의 땅이라는 추정에 의거하여 1995년부터 조사를 하였다. 특히 삼국사기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한반도의 지명을 방문하여 조사하는 과정에서 삼국사기의 내용이 전혀 한반도에는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1. 신라는 한반도에 없었다. 최근 한학자이신 이중재님이 발표한 논문과 책자를 기초로 조사 검정을 하는 중에 고구려, 신라 백제가 한반도에 없었다는 사실을 확인 하였다. 2. 중국고금지명대사전(1931)을 중국 청도에서 섬유공장장으로 근무하는 정윤화친구의 도움으로 구입하여 이중재의 책의 내용을 검정하였다. 그러므로 신라의 비단과 양잠을 한반도에서 확인하는 것은 잘못된 사실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3. 삼국사기의 내용을 중국고금지명사전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그동안 의문으로 되어 있는 임라설, 가야설, 고구려 신라 백제의 강역, 문익점 선생의 최초의 목화에 대한 사실 등 모든 사실을 잘못된 내용이라는 것을 확인 검정하였고, 현재의 한반도의 역사는 식민주의 역사학자들이 한반도의 역사를 왜곡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4. 한반도에서는 고려시대 이전에는 나라 형태의 국가는 없었고, 조선시대부터 국가의 형태가 성립되었다.

  • PDF

An Illustration of ‘茶’(tea) Inscription in Epigraphs’ (금석문(金石文)에 나타난 ‘차(茶)’ 자소고(字小考))

  • Lee, Hu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3 no.1
    • /
    • pp.7-16
    • /
    • 1988
  • An epigraph is an inscription mainly on a metal or stone monument, but some cases on bones or tortoise carapaces, ceramics, and coins. The '茶' inscriptions in 251 epigraphs in Korea are on 16 monuments, one tile, and one ceramic. By kingdom 5 belongs to shilla and 13 to Korea. The first '茶' inscription in on the Changsung-Tap of Borimsa Temple in Changhung-Kun, Chullanam-Do, which was established in 884 A.D. Religiously most of them are related to Buddism. Tea was most valued among valuables like gold, perlume, beads, etc. and so bestowed by kings. The study of epigraphs shows that our tea culture had most prospered diring the Kingdoms of Shilla and Korea.

  • PDF

역사속 과학인물-우리나라 최초의 수학자 부도(1700년전 .신라시대)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5 s.348
    • /
    • pp.68-70
    • /
    • 1998
  • 부도는 삼국시대 신라초기의 인물로 한국최초의 수학자라고 볼 수 있다. 부도는 1천7백 전 지금의 조달청과 비슷한 물장고사무를 맡았는데 그때는 화폐를 사용하지 않아 당대 최고의 계산능력을 지닌 사람을 인정을 받은 인물이다. 귀족아닌 서민으로 6두품이라는 최고의 벼슬에 오른 부도는 「삼국사기」에 '가난하지만 아첨하는 일이 없이 문서와 수확에 익숙해 임금이 불러 문장고 사무를 맡겼다'라고 기록되어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