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inciples of Stone Elevation Formation for Walls and Wells in the Silla Dynasty from 5th to 7th Centuries

5~7세기 신라시대 성곽과 우물에 대한 석축입면조형원리

  • Received : 2023.02.19
  • Accepted : 2023.03.16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analyzing the size, proportion, shape, angle, distribution, etc. of stones in order to identify the principles of facade molding of stonework of the 5th to 7th centuries of the Silla Dynasty. First, the uniformity of the size of the stones of the stone foundations of the Silla Dynasty was low at -0.8 to 4.1. This means that stones of various sizes were used, from small stones to large stone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large stones in stonework of the Silla Dynasty appeared evenly regardless of height. This was common in the stonework of the Silla Dynasty, regardless of structural classification such as wells and mountain fortresses. It is thought that the Silla people did not only pursue practicality and efficiency in stone construction, but also considered design elements. Second, the proportional deviation of the stones of the stone walls of the Silla Dynasty was high, ranging from 0.861 to 1.515. This means that the stonework of the Silla Dynasty did not use only long flagstone-shaped stones, but used a mixture of long and short stones. Third, the shape average of the stones of the stonework of the Silla Dynasty was low at 0.45, and the shape deviation was high at the maximum of 0.15. This means that the stones as a whole have irregular shapes, and each stone has a high difference in shape. Fourth, the angle deviation of the stones of the Silla Dynasty was 4.3 to 16.2, and the average angle was 2. This means that the angle of each stone on the stone axis of the Silla Dynasty is tilted to the left and right. Fifth,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tone size, slenderness ratio, shape, and angle in the stone axes of the Silla Dynasty. In the case of stone axes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one size and slenderne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one size and shape. It can be said that the stones of the Joseon Dynasty were relatively standardized, but the Silla Dynasty showed the beauty of moderation by keeping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becoming one with the material.

본 연구에서는 5~7세기 신라시대 석축의 입면조형원리를 규명하고자 돌의 크기, 비례, 형상, 각도, 분포 등에 대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신라시대 석축의 돌의 크기 균등도는 -0.8~4.1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작은 돌부터 큰 돌까지 다양한 규격의 돌을 사용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신라시대 석축의 큰 돌의 분포는 높이에 관계없이 균등하게 나타났다. 이는 신라시대의 석축에서 우물, 산성 등 구조적 분류와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신라인들은 석축공사에서 실용성, 효율성만을 추구한 것이 아니며, 의장적 요소를 고려했다고 생각된다. 둘째, 신라시대 석축의 돌의 비례편차는 0.861~1.515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신라시대 석축은 긴 판석형의 돌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길고 짧은 돌을 혼재하여 사용한 것을 의미한다. 셋째, 신라시대 석축의 돌의 형상평균은 0.45로 낮게 나타났으며, 형상편차는 최대 0.15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체적으로 돌은 불규칙적인 형상을 하고 있으며, 각 돌은 형상의 차이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넷째, 신라시대 석축의 돌의 각도편차는 4.3~16.2로 나타났으며, 각도의 평균은 2로 나타났다. 이는 신라시대 석축의 각 돌의 각도는 좌, 우로 기울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신라시대 석축은 돌의 크기, 세장비, 형상, 각도간의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조선시대 석축은 돌의 크기와 세장비에서 양의 상관관계, 돌의 크기와 형상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조선시대 석축은 돌이 비교적 정형화된 반면, 신라시대 석축은 재료의 본성을 지켜 입면이 재료와 하나가 됨으로써 절제의 미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재(2017). 문화유산의 진정성. 대한건축학회. 61(3): 78.
  2. 박종익(1994). 고대산성의 축조기법에 대한 연구. 영남고고학회보고서.
  3. 한양대학교 박물관(2000). 이성산성 7차 발굴조사보고서.
  4.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2002). 남한산성 발굴조사보고서.
  5. 국립문화재연구소(2008). 경복궁 소주방지 발굴조사보고서.
  6.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2005). 대전계족산성 발굴조사보고서.
  7. 국립경주문화재 연구소(2019). 경주 동궁과 월지 III 발굴조사보고서.
  8. 신라문화유산연구원(2016). 경주재매정지 -유적정비를 위한 학술발굴조사보고서-.
  9. 중원문화재연구원(2006). 보은삼년산성 -발굴정비 기초설계 보고서-.
  10. 문화재청(2008). 건축문화재 점검관리 매뉴얼.
  11. 강성빈(2022). 5~7세기 신라시대 성곽과 우물의 입면조형원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백종오(2018). 임진강 유역 삼국의 성곽과 방어체계에 관한 토론문. 경기문화재연구소.중부고고학회 학술대회. pp.150-160.
  13. 이은석(2004). 왕경의 성립과 발전.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pp.9-25.
  14. 황보은숙(2008). 신라왕경의 도시적 발달. 신라문화. 32(32): 327-358.
  15. 임석재(2005). 한국의 돌.담.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6. 손영식(2011). 한국의 성곽. 주류성.
  17. 문화재청(2020).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18. 구마겐고(Kumagengo)(2021). 点.線.面. An Graph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