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규전원구성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6 seconds

Portfolio Analysis on the New Power Generation Sources of the Sixth Basic Plan for Long Term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포트폴리오 이론을 활용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신규전원구성 비교 연구)

  • Kim, Juhan;Kim, Jinsoo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3 no.4
    • /
    • pp.583-615
    • /
    • 2014
  • Including the rolling black out in 2011, Korea has suffered from rapid increase of electricity consumption and demand forecasting failure for last five years. In addition, because of the Fukushima disaster, high fuel prices, and introduction of new generation sources such as renewables, the uncertainty on a power supply strategy increases. Consequently, a stable power supply becomes the new agenda and a revisino of strategy for new power generation sources is needed. In the light of this, we appraises the sixth basic plan for long term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considering the changes of foreign and domestic conditions. We also simulate a strategy for the new power generation sources using a portfolio analysis method. As results, a diversity of power generation sources will increase and the share of renewable power generation will be surged on the assumptions of a cost reduction of renewable power sources and an increase of fuel costs. Particularly, on the range of a risk level(standard deviation) from 0.06 and 0.09, the efficient frontier has the most various power sources. Besides, the existing power plan is not efficient so that an improvement is needed. Lastly, the development of an electricity storage system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is necessary to make a stable and efficient power supply condition.

A Study on how to configure Factor on the Power Planning (전원구성시 가중치 부여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Tae-Young;Lee, Jung-In;Kim, Kang-Won;Kang, Dong-Joo;Kim, Balho-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571_572
    • /
    • 2009
  • 전력수요는 시시각각 변한다. 또한 첨두수요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의 증가에 따른 발전용량도 증가하여야 한다. 발전용량의 증가를 위해서는 전원계획을 통한 신규 발전소를 건설하여야 한다. 신규발전소를 건설함에 있어서는 송전선 및 여러 가지 조건들을 고려하여 건설하여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는 부하가 집중되어 있는 수도권과 발전기가 집중되어 있는 비수도권으로 크게 구분되어 진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북상조류의 발생과 송전선의 제약도 크게 걸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규발전소를 수도권 근처에 건설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신규발전소의 수도권 유치를 위해 전원계획시 가중치를 부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총발전비용과 비계량 지표를 이용하여 객관적인 가중치를 부여방법에 대해 논하고 있다.

  • PDF

Generation capacity constitution outlook of Korea using WADE Economic Model (WADE Economic Model에 의한 우리나라 전원구성)

  • Kim, Y.H.;Son, H.S.;Lee, W.G.;Lee, S.J.;Oh, S.H.;Woo, S.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65-66
    • /
    • 2007
  • 현재 수립된 3차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전원구성을 WADE Economic Model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이고 기존 대형발전소의 보완 역할이 기대되는 분산형전원으로 우리나라의 전원을 구성하였다. 즉, WADE Economic Model로서 신규수요를 CG(Centralized Generation) 및 DE(Decentralized Energy)의 담당비율에 따라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3차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전원구성을 WADE Economic Model에 의한 시나리오로 전원을 구성한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Improvement and Verification of TMFT Power Circuit Design (전술다기능단말기(TMFT)의 전원회로 설계 개선 및 검증)

  • Kim, Jin-Sung;Kim, Byung-Jun;Kim, By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2
    • /
    • pp.357-362
    • /
    • 2020
  • The TMFT, a sub-system of TINC, provides voice call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multimedia services to individual users. At the time of development in 2011, the power circuit of the TMFT was designed to electrical power supply to each device via a charger IC. However, the newly improved power supply circuit allows power to be supplied to each device through the PMIC without configuring the charger IC separately. In this paper, the power circuit design structure of TMFT applied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the improved power circuit design structure were compared. And we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whether the improved power circuit can be applied to TMFT. The experimental method was verified by directly comparing the current consumption test, charge time comparison test, and rising temperature test during charging each of before and after improvement terminals.

Method about Selecting FACTS Installation Location to Prevent Voltage Instability in Metropolitan Area (대규모 상정고장에 의한 수도권 전압안정도 확보를 위한 병렬 FACTS 설치위치 선정 방안)

  • Oh, Seung-Chan;Noh, Hyeok-Jin;Park, Bohyun;Choi, Jin-San;Lee, Byong-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241-242
    • /
    • 2015
  • 한국전력계통은 전체 계통부하의 약 40%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반면 발전설비의 경우 설비용량의 약 20%가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설비용량의 대부분은 복합 발전소로 구성되어 있다. 향후 동해안 지역의 경우 신한울 원자력 발전소 등 대규모 기저발 전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발전설비의 증가에 따라 전력을 수도권으로 수송하기 위한 송전설비계획도 수립되어 있는 상황으로 위와 같은 계통의 특성이 더욱 심화된다. 2018년의 경우 신한울 원전이 동해안 지역에 신규 투입될 예정이다. 그러나 송전설비계획에 따른 신규 송전선은 이보다 다소 늦은 시기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동해안으로부터 수도권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765kV 송전선 고장의 파급효과가 매우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수도권의 복합이 대부분 정지한 off-peak 부하 상태에서 상정고장이 발생할 경우, 수도권 지역의 전압불안정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2018년도 계통상황을 기반으로 동해안 765kV 상정고장 상황을 고려하여 수도권 전압안정도를 확보하기 위한 병렬 FACTS설비 투입 개소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위 방안을 적용한 선정 결과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a Safe Power System Operation Despite to an Increase of Nuclear Plants (원자력 발전기 확대에 따른 계통 안정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Lee, Ha-Lim;Chun, Young-Hwan;Han, Tae-Ky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306-307
    • /
    • 2011
  • 제 4차 전력 수급 기본 계획에 의하면 2022년 계통에는 총 32기의 원자력 설비와 신재생 설비 용량의 약38%를 차지하는 풍력 설비가 신규 도입 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하지만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원은 화력 설비에 비해서 부하추종 능력이 저조하여 이 두 설비의 비율을 높이면 계통 운영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22년 off-peak 계통 상황에서의 원자력 설비 32기가 모두 연계되었을 때, 계통 주파수의 안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계통에서 사용하는 각종 정수를 추정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주파수 분석 시뮬레이션 tool을 통해 주파수 변화를 모의 하였다. 최종적으로 2022년 계통에서의 최적 전원 설비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Optimal Capacity of Pumped Storage Power Plant in the 3rd Basic Plan for Long-Term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제3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의 적정 양수발전기 규모 검토)

  • Park, Marn-Geun;Yang, Sung-Bae;Ryu, Heon-S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1b
    • /
    • pp.231-233
    • /
    • 2007
  • 구조개편 이후 전력수급계획 수립여건이 한전의 독점적 계책에서 사업자 건설의향으로 전환됨에 따라 신규설비 건설계획은 수익성 위주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기저선비(원자력, 석탄화력) 운전효율성 항상 차원에서 건설되던 양수설비의 적정 설비규모를 계통 공급신뢰도 측면, 에너지 이응 효율성 향상 측면, 전력시장에서의 경제성 측면에서 검토하여 최적전원구성(Best Fuel Mix) 유도론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Future Plan for Smart Grid System (스마트그리드 전개방향의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So-Hee;Park, Hyun-Seok;Rho, Dae-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58-61
    • /
    • 2010
  • 스마트그리드는 Modern Grid Initiative와 미국 에너지성인 DOE(Department of Energy)에 의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발전, 송전, 배전 및 수용가로부터 발생하는 수많은 혁신적인 신규기술 및 설비들을 통합할 수 있는 망"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장래의 스마트그리드의 전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지역(또는 수용가군)을 대상으로 분산전원과 전력저장장치로 구성된 마이크로그리드를 중심으로 정보와 에너지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계통을 스마트그리드의 모델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Home Energy Saving System for Smart Grid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홈 에너지 절감 시스템의 IEC 국제표준화 및 구현)

  • Choi, Kwang-Soon;Lee, Sang-Won;Park, Young-Choong;Jung, Kwang-M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C no.12
    • /
    • pp.1222-1229
    • /
    • 2012
  • For the reduction of electric energy consumption and its efficient use at homes or buildings, a new work item proposal for new architecture and functional requirements of Energy Saving System (ESS) was proposed to IEC TC 100 and accepted as a new project, IEC PT 62654 in 2009. Recently, the final ballot for publication passed without negative votes and IEC TS 62654 was finally published in August 2012. For the verification of this standard, Prototype of ESS system composed of an ESS server, ESS clients, and portable ESS terminal were especially implemented in parallel with the standardization. Electric Power Control and Management (EPCM) protocol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ESS server and clients was also implemented, which supports self-configuration of ESS network,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remote power control, and additional functions for intelligent energy saving services.

A Study on the Power Supply and Demand Policy to Minimize Social Cost in Competitive Market (경쟁시장 하에서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전력수급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Kwon, Byung-Hun;Song, Byung Gun;Kang, Seung-Ji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4 no.4
    • /
    • pp.817-838
    • /
    • 2005
  • In this paper, the resource adequacy as well as the optimum fuel mix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the regulation body, the government agency, determine the reliability index as well as the optimum portfolio of the fuel mix during the planning horizon. Here, the resourc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goods such as demand-side management, renewable resources are assigned in advance. Also, the optimum portfolio is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economic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public acceptance, regional supply and demand, etc. Second, the government announces the required amount of each fuel-type new resources during the planning horizon and the market participants bid to the government based on their own estimated fixed cost. Here, the government announces the winners of the each auction by plant type and the guaranteed fixed cost is determined by the marginal auction price by plant type. Third, the energy market is run and the surplus of each plant except their cost (guaranteed fixed cost and operating cost) is withdrew by the regulatory body. Here, to induce the generators to reduce their operating cost some incentives for each generator is given based on their performance. The performance is determined by the mechanism of the performance-based regulation (PBR). Here the free-riding performance should be subtracted to guarantee the transparent competition. Although the suggested mechanism looks like very regulated one, it provides two mechanism of the competition. That is, one is in the resource construction auction and the other is in the energy spot market. Also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method are it guarantee the proper resource adequacy as well as the desired fuel mix. However, this mechanism should be sustained during the transient period of the deregulation only. Therefore, generation resource planning procedure and market mechanisms are suggested to minimize possible stranded cos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