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경조절인자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GENETIC CONTROL MECHANISM AND MOLECULAR BASIS OF NEURODEVELOPMENT (유전인자 조절기전과 신경발달의 분자 생물학적 특성)

  • Joung, Yoo-Soo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6 no.1
    • /
    • pp.5-14
    • /
    • 2005
  • There has been an enormous progress in understanding of how genes contribute to both normal and abnormal development. Also many laboratory works are exploring the intricacies of how to develop in the human central nervous system.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cortical development gives essential insight into the pathogenesis of many genetic and acqured developmental psychiatric disorders, including autism, schizophrenia, and teaming disorder. Genes have been implicated in an ever-increasing number of disorders. Advance in genetics have begun to clarify the molecular basis of not only single-gene disorders, but also more complex phenotypes.

  • PDF

ATP-Induced Apoptosis of Human Luteinized Granulosa Cells: a Role of Mitochondria

  • 김미란;박동욱;김영아;조태섭;황경주;민철기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10a
    • /
    • pp.32-36
    • /
    • 2001
  • 난소의 재형성 과정은 난소 내 여러 조절인자들에 의해 조절되는 성장 및 퇴행 과정을 반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황체는 주기적 성장과 퇴행을 보이며 과립세포의 세포자멸사 (apoptosis)를 통해 황체의 퇴행이 일어나게 된다지. 이러한 세포자멸사 과정은 난소의 정상 생리에 매우 중요하다. ATP 는 자율신경으로부터 세포외 유출을 통해 분비되어 근육 수축, 신경전달체계, 외분비 및 내분비 호르몬의 분비, 면역반응, 염증, 혈소판 응집, 동통 및 심장기능의 조절 등 매우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작용은 세포 표변에 존재하는 purinoceptor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TP는 일반적으로 세포 내에서는 에너지원으로서 작용하나 세포외부에 존재하는 ATP의 경우에는 조절물질로 작용하여 어떤 세포에 있어서는 세포용해를 일으키기도 하며, 어떤 세포에서는 세포자멸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세포 내에 존재하는 ATP는 세포의 주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살아있는 세포에서는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반면 세포 외에 존재하는 ATP는 말초신경계 혹은 중추신경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고 있다. (중략)

  • PDF

Transcriptional Regulatory Motif identification in Cell Cycl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세포 주기상의 전사 조절 모티프 탐색)

  • 이제근;정제균;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295-297
    • /
    • 2004
  • 생체 내의 모든 기능은 유전자 발현에 의해 결정된다. 유전자 발현은 않은 인자들에 의해 조절되며, 이러한 조절 과정에 따라 유전자 발현량이 결정되는 것이다. 세포 주기 역시 유전자 발현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모에서 세포 주기의 각 단계와 관련된 유전자들의 분석을 통해서 세포주기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사 조절 모티프들이 무엇인지를 찾아보았다. 주요 모티프의 추출은 인공신경망 모델을 학습하고. 입출력 에러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 결과 MCB 등 기존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세포주기에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모티프들이 높은 점수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외에 세포주기의 각 단계에서 유전자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다른 모티프들도 예측해볼 수 있었다.

  • PDF

Screening of Potential Compounds Promoting BDNF Production in Noradrenergic Locus Coeruleus Neurons (노르아드레날린성 신경세포에서의 BDNF 생산 증진 물질 탐색)

  • 전홍성
    • KSBB Journal
    • /
    • v.18 no.3
    • /
    • pp.207-210
    • /
    • 2003
  • The locus coeruleus (LC) contains about half of the total number of noradrenergic neurons in the brain and those noradrenergic neurons from the LC innervate entire brain regions. The LC is a major common target region in several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uch as Alzheimer's, Pakinson's and Huntington's diseases. The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regulate neuronal cell survival and differentia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neurons, including LC noradrenergic neurons. In this study, various small molecules and growth factors were tested as candidates to promote the production of BDNF in LC noradrenergic neuronal cells. The molecules tested include neuropeptides, cytokines, growth factors, neurotransmitters, and intracellular signaling agents. Four small molecules or growth factors, FGF8b, BMP-4, forskolin, and dibutyryl cGMP, were found to increase the release of BDNF in LC noradrenergic neurons. Especially, BMP-4 significantly enhanced BDNF production over 2.5-fold in LC noradrenergic neurons.

Prediction of river water quality factor at Oncheoncheon Basin using RNN algorithm (RNN 알고리즘을 이용한 온천천의 하천수질 인자 예측)

  • Lim, Heesung;An, Hyu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9-39
    • /
    • 2019
  • 인구의 도시 집중화로 인하여 다량의 생활용수의 사용에 따라 하천의 자정능력을 초과하여 오염을 유발시키고 있다. 이에 도시하천들의 오염은 점점 심해져 경제적으로 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하천오염 문제를 과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농도 측정 및 데이터 축척을 통한 오염예측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며,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정보 공개시스템에서는 하천수질 자동측정망을 설치하여 시간 단위로 오염물질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온천천의 하천수질 데이터는 계속 쌓여가고 있는데 이 데이터를 활용해서 하천수질 인자 예측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환신경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일 단위의 하천수질 인자 예측을 시도하였다. 순환신경망은 인공신경망의 발전된 형태인 시계열 학습에 강한 RNN,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한 일단위 하천수질 인자 예측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앞서 시간 단위로 쌓여있는 데이터를 평균 내어 일 단위로 변경하였고 이 데이터를 가지고 일 단위 하천수질 인자 예측을 진행하였다. 연구에는 Google에서 개발한 딥러닝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인 텐서플로우를 활용하여 DO, 탁도 등 항목을 예측하였다. 하천오염의 학습과 예측을 위해 대상지로는 부산지역 온천천의 부곡교, 세병교, 이섭교 관측소를 선택하였다. 연구를 위해 DO, 탁도 등 자료 수집은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정보 공개시스템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모형의 학습을 위해 입력자료로는 하천수질 인자 자료를 이용하였고, 자료의 학습에는 2014년~2017년 4년간의 자료를 학습자료로 사용하였고, 2018년 1년간의 자료는 모형의 검증을 위해 사용하였다. RNN,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분석 시 은닉층의 개수, 반복시행횟수, sequence length 등의 값을 조절하여 하천수질 인자 예측을 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R^2$(r square)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신호 전달 체계에 있어서의 Phospholipase C에 대한 연구

  • 민도식;김재호;이영한;서판길;류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27-27
    • /
    • 1992
  • 많은 홀몬, 성장인자 및 신경 전달물질들은 각각에 대한 세포막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Phospholipase C (PLC)를 활성화시키므로서 신호를 세포내로 전달하여 세포의 성장, 대사, 신경 흥분, 수축 및 분비 등의 생리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신호 전달의 중심 효소인 PLC는 현재까지의 효소 분리, 유전자 클로닝 등의 방법으로 3가지 Class에 적어도 8종유의 등위효소(Isozyme)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등위효소에 특이적인 조절 물질을 선별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새로운 동위효소의 분리 및 규명과 이 동위효소들에 대한 과발현 및 발현 세포주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PDF

시상하부 GnRH 뉴런의 신경내분비학적 연구

  • 김경진
    • The Zoological Society Korea : Newsletter
    • /
    • v.16 no.1
    • /
    • pp.17-50
    • /
    • 1999
  • 시상하부에 극히 적은 수로 존재하는 신경분비세포인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뉴런은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생식과 발생 과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GnRH 뉴런은 배아 발생과정 중에 후판에서 유래하여 시상하부의 여러 영역으로 이동하며, 생후와 사춘기를 거치면서 분화를 계속한다. GnRH 뉴런에서 합성, 분비되는 1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작은 신경호르몬인 GnRH는 맥동적으로 분비되어 뇌하수체 성선자극 세포막에 존재하는 GnRH 수용체와 결합한 후 일련의 신호전달과정을 거쳐 성선자극호르몬의 합성과 분비를 제어하게 된다. GnRH의 합성과 분비는 글루탐산, 노르에피네프린, GABA와 같은 각종 신경입력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한 액성 피드백 신호에 의해 조절되나 이들의 GnRH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GnRH 뉴런의 분화와 발생에는 다양한 신경영양인자들이 영향을 미치나 그 분자생물학적 기작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논단에서는 신경호르몬인 GnRH와 그 수용체에 관하여 최근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Follow-Up Study after Discontinuation of Antiepileptic Drug Therapy in Children with Well-Controlled Epilepsy : The Factors that Influence Recurrence (항전간제로 조절된 간질 환아에서 약물 중지 후 추적 관찰 - 재발위험인자)

  • Chung, Sa Jun;Chung, Hye Jeon;Choi, Young Mi;Cho, Eu 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5 no.12
    • /
    • pp.1559-1570
    • /
    • 2002
  • Purpose : There has been no exact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n to discontinue antiepileptic drugs(AEDs) in children with well-controlled epilepsy for a long period. This study is about the risk factors of relapse after withdrawal of AEDs in seizure(Sz)-free patients to show a guideline for discontinuation of AEDs. Methods : One hundred and sixty-nine children were diagnosed as epileptic at the Pediatric Dept. of Kyung-Hee Univ. between 1993 to 1998, in whom AEDs had been withdrawn after at least two years of Sz-free period. Univariate analysis using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using Cox-proportional hazard model were performed for sixteen risk factors. Results : Forty-nine of the 169 patients(28.9%) had recurrence of Szs. The mean follow-up after withdrawal of AEDs was 4.1 years, mean treatment period was 4.1 years, and the mean Sz-free period was 3.3 years. Factor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relapse were young age at onset, symptomatic Sz, Sz type in West and Lennox-Gastaut syndrome, neurologic deficit, longer Sz-controlling period, shorter total treatment period, number of AEDs used(more than one drug), age at withdrawal of AEDs, and Sz-free period less than two years in univariate analysis using Kaplan-Meier mothod. From multivariate analysis, the factors indicating a significantly higher relapse risk were pre-treatment period after first Sz attack, Sz-controlling period, Sz-free period, number of AEDs used, neurologic abnormalities. Conclusion : For epileptic children who were Sz-free for more than two years, and were more than six-years-old, the discontinuation of AEDs should be considered positively, according to age of onset, Sz type, age at withdrawal of AEDs, total treatment period, Sz-controlling period, number of AEDs used, etiology, neurologic deficit, and the wishes of the patients and the their parents.

Effects of swimming on functional recovery an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 expression after sciatic crushed nerve injury in rats

  • Lee Myoung-Hwa;Byun Yong-Hyun;Yoon Bum-Chul;Kim Chang-Ju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v.16 no.2
    • /
    • pp.128-139
    • /
    • 2004
  • 말초신경은 외상이나 질병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손상되기 쉬우며, 손상의 정도가 심하거나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에는 심각한 기능 소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영이 말초신경손상후 운동기능의 회복과 뇌유인성 신경영양인자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 좌골신경에 압박 손상을 가하고 수영을 적용한 후 보행궤적분석 (walking track analysis)과 역전사연쇄반응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좌골신경 압박손상된 쥐는 특징적인 보행패턴을 나타내어 좌골신경기능지수 (sciatic function index, SFI)가 현저히 낮아졌으며, BDNF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좌골신경 압박 손상후 수영을 한 쥐에서는 SFI가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BDNF mRNA의 발현은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말초신경손상후 수영이 BDNF mRNA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기능 회복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PDF

Inflenece of Some Factors on the Secretion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in the lsolated Rat Heart (흰쥐의 적출심장에서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유리에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 김성주;김학열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4 no.1
    • /
    • pp.8-19
    • /
    • 1991
  •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의 유리기전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고자, 흰쥐의 적출심장 관류모형을 사용하여 연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심방을 확장시켰을 때 ANP의 유리는 촉진되었다. 그러나 과용량을 부하하면 확장기간보다 회복기간에 ANP의 유리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2. Epinephrine과 phenylephrine을 주입하면 ANP의 유리 량이 증가했으나, isoproterenol을 주입하면 심박수와 우심방 내압이 현저하게 증가했는데도 ANP의 유리량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3. 미주신경을 자극하면 심박수의 현저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ANP의 유리량은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볼 때 결론적으로, 심방의 용량부하에 의해 심방근의 신장수용체가 자극을 받아 ANP의 유리가 촉진되는 것은 분명하고, 심방근이 확장할 때 보다는 확장 후 다시 원래의 길이로 환원될 때 ANP가 유리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ANP의 유리에 대한 adrenergic조절은 o-receptor가 관련되어 있으며 심박수와 심방내압이 ANP의 유리를 변화시키는 데는 반드시 필수적인 인자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특히 미주신경의 자극으로도 ANP의 유리가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새로이 발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