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자극

검색결과 751건 처리시간 0.027초

침형 경피신경 전기자극법과 전통적인 경피신경 전기자극법의 교차효과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Acupuncture-Lik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nd Conventional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in Crossover Effect)

  • 권수현;배은영;신영주;이재호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9-3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cupuncture-lik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ALTENS) with conventional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C-TENS) for crossover effect in healthy subjects. Forty subjects recieved ALTENS(20 persons), C-TENS(20 persons) to one upper extremity. Each technic was applied to the motor point of the wrist extensor muscle group for twenty-minutes. With the subject placed in supine the technics were applied at 80 Hz, 2-10 mA(ALTENS) and 10 Hz, 4-12 mA(C-TENS). Results revealed: (1)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in each group(p<.05) (2)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TENS and C-TENS(p>.05). In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LTENS and C-TENS for crossover effect.

  • PDF

고빈도 경피신경전기자극의 자극강도에 따른 정상 성인여성 교감신경성 반응의 변화 (Changes in Sympathetic Nervous System Responses of Healthy Adult Women with Changes in the Stimulus Intensity of High Frequenc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 최유림;이정우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1호
    • /
    • pp.61-6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sympathetic nervous system responses of healthy adult women with changes in stimulus intensity of high frequenc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Methods: Twenty-four healthy subjects (women) received high 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forearm.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a low intensity stimulation group (n=12) and a high intensity stimulation group (n=12). The electrode attachment was arranged on the forearm of the dominant arm and the electricity stimulus time was 20 minutes. Measured items included skin conductance, pulse rate, skin temperature, and respiration rate. Each was measured at 4 times. Results: Skin conductance and skin temperature showed significant group by time interactions,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group and time effec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ime, group effect, and a group by time interaction in pulse and respiration rates. Conclusion: High frequency and high intensity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sudomotor func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Also, high frequency and low intensity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helpful for the reduction of sudomotor function via inhibi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미주신경 자극을 위한 새로운 방법 : 비침습적 TENS 적용에 대한 미주신경 자극의 치료적 효과 (New Methods of Vagus Nerve Stimulation : Therapeutic Effects of Non-Invasive Vagus Nerve Stimulation by TENS Application)

  • 권해연;문현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77-8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non-invasive vagus nerve stimulation b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pplication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of human body. Methods: Participants were seventeen healthy adults.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N-N intervals(SDNN), root mean square of successive differences(RMSSD), low frequency(LF), high frequency(HF) were compared in pre and post Mean values after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in Wilcoxon's signed-ranks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si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decreased mean value after non-invasive vagus nerve stimulation b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High frequency, low frequency, SDNN, RMSSD increased mean value in heart rate variability after intervention. But that is not significant except for SDNN. Conclusion: Non-invasive vagus stimulation b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effect on parasympathetic nerve stimulation, and then it might be effective method for autonomic nerve balance control.

간접 뜸 자극에 관한 EEG 분석 (A Study of EEG Analysis for the Moxibustion Stimulation)

  • 박동희;윤동업;조봉관;송홍복;김영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70-174
    • /
    • 2007
  • 뇌파에 관한 연구는 의학 및 공학 분야에서 많이 활성화 되어 있지만, 침구학에서의 뇌파분석에 과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져야 할 부분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침구요법 중 간접 뜸 자극에 의한 뇌파를 분석하고 자율신경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험은 간접 쑥 뜸을 인체의 중완, 신궐, 관원의 경혈 점에 자극하고, 자극 전, 자극 중, 자극 후 1시간, 그리고 자극 후 2시간 일 때의 뇌파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데이타는 Matlab 7.0을 이용하여 FFT 및 주파수 파워 스펙트럼을 적용하여 ${\alpha}$, ${\beta}$, ${\delta}$, ${\theta}$파 성분을 자극 단계별로 나누어 주파수 각 성분 비율의 변화, 그리고 진폭의 크기변화량에 대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EEG 데이터를 FFT를 적용하여 ${\alpha}$, ${\beta}$, ${\delta}$, ${\theta}$파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alpha}$파가 자극 전보다 자극 후 약 2배 정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체의 파워스펙트럼 분석에서 ${\alpha}$파, ${\beta}$파의 에너지가 전체적으로 감소하므로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와 기존 연구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간접 뜸 자극은 자율신경계의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alpha}$파의 비율적 증가로 긴장 상태나 스트레스 상태의 사람에게 안정을 가져다 줄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사이버멀미 발생 예측을 위한 대뇌 구조를 반영한 CNN 성능 분석 (Analyses on the Performance of the CNN Reflecting the Cerebral Structure for Prediction of Cybersickness Occurrence)

  • 신정훈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38-24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 멀미 발생 예측에 활용 할 CNN 기반의 신경망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신경망 구조에 대한 성능 분석을 수행한다. 특히, 대뇌 구조의 특성을 반영한 CNN을 차별적으로 구현하여 각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이버 멀미 발생 예측에 최적화된 신경망 구조의 설계와 관련한 기본적인 이론을 제시한다. 사이버 멀미 발생에는 많은 원인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원인은 뇌와 관련된 전정 기능의 장애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뇌파는 뇌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역할을 하며 외부 자극과 뇌 활동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다. 2019년에 출판된 Tony Ro의 Martijn E. Wokke 논문을 포함한 많은 연구와 실험에 의해 외부 자극과 뇌 활동으로 인한 뇌파의 변화가 입증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사이버 멀미 유발 환경에서 수집 한 뇌파 데이터를 분석하고 뇌 구조의 특성을 반영하는 사이버 멀미 예측 인공 신경망의 구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버 멀미 예측에 활용되는 CNN의 최적 성능 도출을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신경망의 기본 구조 설계에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가상현실(VR) 환경 등 대뇌 활동이 관여하는 분야에서 응용 될 신경망 구조 설계의 기초를 제공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대한 고찰 (Review of Diabetic Neuropathy)

  • 배성수;백수정;김종열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1권3호
    • /
    • pp.151-158
    • /
    • 1999
  •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환자의 자각증상이 없다하더라도 검사를 시행했을 시 신경전달속도가 떨어진다. 특히 감각신경과 자율신경의 손상이 지배적이다. 환자는 외부적인 압박에 대하여 감각이 둔하게 된다. 그로 인해 궤양이 생기고 보행과 자세조절에 문제가 생기게된다. 당뇨가 심하게 되면 환자는 가벼운 건드림조차도 통증으로 인지한다. 때로는 통증 때문에 잠을 잘 수 없기도 없다. 당뇨 치료법에는 인슐린요법, 식이요법 외에 운동치료가 당을 조절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부가적으로 생기는 통증조절에는 경피전기신경자극이 적절하다. 앞으로의 당뇨환자들의 치료접근 중 물리치료 방법에 있어서, 궤양치료, 통증치료, 신경손상의 회복, 보행조절과 자세안정, 그리고 운동치료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다채널 신경전극 어레이를 이용한 말초 신경신호의 측정 및 분석 (Recording and Analysis of Peripheral Nerve Activity Using Multi-Electrode Array)

  • 추준욱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79-285
    • /
    • 2016
  • 신경보철 의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말초 신경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의도를 인식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채널 신경전극 어레이, 전극 삽입 장치, 신경신호 증폭기로 구성된 말초 신경신호 측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마취상태에서 전극 삽입 장치를 이용하여 16 채널의 신경전극 어레이를 백서의 좌골신경에 안정적으로 삽입하였다. 수동적 관절 운동을 유도하거나 기계적 피부 자극을 인가하였을 때, 신경신호 증폭기를 통해 근육 또는 피부 감각 신경신호가 측정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별 신경 단위를 분리하기 위해 활동전위 분류방법을 제안한다. 근육의 내부 수용기들은 근방추와 골지건 기관 수용기로 구분되었으며, 피부의 외부 수용기들은 완만적응과 급속적응 수용기로 분리되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신경보철 시스템에서 말초 신경신호의 측정과 분석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Thioacetamide 유발 간성뇌장애에서 뇌파 Power Spectra (Electroencephalogram Power Spectra in Thioacetamide-induced Hepatic Encephalopathy)

  • 김지희;최원진;박정숙;이향이;하정희;이만기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3-300
    • /
    • 1996
  • 흰쥐에 thioacetamide(TAA)를 투여하면 간성뇌장애가 유발된다. 두가지 행동 상태(꼬리 접촉자극 및 미자극)와 세 단계의 신경학적 이상의 단계(정상, 약한 운동실조, 심한 운동실조)별로 뇌파를 기록하였고, 뇌파 스펙트럼 및 대역 분석을 통하여 간성뇌장애 진행동안 뇌파의 정량적인 변동을 관찰하였다. 정상 쥐에서 자극은 $theta(3.5{\sim}8\;Hz)$$gamma(30{\sim}50\;Hz)$ 대역의 power을 증가시켰다. 운동실조가 있는 쥐에서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지 못하였다. 꼬리 자극을 하는 상태에서 theta 대역의 변화는 gamma 대역의 변화 보다 더욱 일찍 관찰되었다. 신경학적 행동 단계가 심해짐에 따라서 $beta3(21{\sim}30\;Hz)$ 및 gamma 대역에서 power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간성뇌장애의 신경학적 증상은 benzodiazepine계 물질에 의하여 야기된다는 가설이 있으므로 beta power의 증가가 관찰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이 연구에서는 관찰하지 못하였다. 이 결과들로 미루어 볼때 이 연구에 사용된 스펙트럼 및 대역 분석이 간성뇌장애동안 신경학적 증상의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복합감각 기능증진 개념의 헬스케어 목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Healthcare Bathing System for Improving the Multisensory Functions)

  • 김형지;유미;진혜련;권대규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09-3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단순 세정의 개념이 아닌 복합감각 증진 개념의 헬스케어 목욕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헬스케어 감성욕조를 디자인하기 위해 우선 타입별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복합감각 자극용 전신 욕조를 개발하였고, 이 전신욕조는 감성자극용 전신욕조 월풀, 시청각 감각 자극 기능이 구비된 욕조 커버, 제어용 소형 PC, 터치패널, DMB 패널, 시각 감성 증진을 위한 칼라 가변형 LED 무드 시스템과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다. 제작된 복합감각 증진 개념의 헬스케어 욕조시스템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목욕을 하는 동안 인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목욕 상태에서의 심박변이율은 실험 중 교감신경에 비해 부교감신경이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목욕을 시작한지 15분이 경과하면 교감신경이 증가하고 부교감신경이 감소하여, 피험자가 목욕을 한지 15분일 때 가장 편안한 상태를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목욕 실험 결과 전후의 혈압이 최고 16mmHg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맥박은 증가하였다. 이것은 심장으로부터 혈액의 유출량이 많아져 혈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복합감각 증진용 헬스케어 욕조 시스템을 이용한 목욕이 혈액 순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복합감각 기능증진 헬스케어 목욕시스템의 사용성과 사용자의 생리분석을 통한 기초결과를 통해서 사용자의 생리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성과 사용자의 생리적 변화 및 감성 간의 관계를 보다 더 명확하게 밝혀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아에서 시행한 뇌파 결과 및 중추신경자극제 치료에 따른 결과 (Brain wave result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reatment result with central nervous system stimulants)

  • 임영수;심지윤;손정우;김원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24-1328
    • /
    • 2008
  • 목 적: 주의력 결핍/과잉 운동 장애(ADHD)를 진단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뇌파 결과의 차이 및 이에 따른 역학적 비교를 하고자 하였으며 뇌파의 차이에 따른 경련 발현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ADHD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중추신경자극제의 사용과 경련 발현과의 연관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주의산만을 주소로 충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및 소아정신과 외래를 내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지 고찰을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이전 경련의 병력이 없는 환아중 주의산만을 주소로 본원 신경정신과를 방문한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연령은 4세에서 17세 사이로 총 308명의 환아들 중 84명의 환아에서 뇌파를 시행하였으며 그중 남자가 72명(85.7%, 평균 연령 9.3세), 여자가 12명(14.3%, 평균 연령 8.0세)이었다. 정상뇌파소견을 보인 환아가 65명(77.4%), 이상뇌파소견을 보인 환아가 19명(22.6%)였으며 이중 경련증상을 보인 환아는 각각 1명(0.15%), 3명(15.7%)이었다. 중추신경자극제를 처방 받은 환자는 59명, 그렇지 않은 환자는 25명이었고 그중 경련증상을 보인경우는 각각 2명(3.4%), 2명(8.0%)로 나타났다. 결 론: ADHD 환아들은 임상에서는 표출되지 않으나 뇌파에서의 잠재적인 이상 소견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뇌파의 이상 소견과 추후 경련 발현 여부와는 매우 높은 연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ADHD의 치료로써 사용된 methylphenidate의 사용에 따른 경련 발현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ADHD 환아들에서 뇌파의 이상 소견이 보일 경우는 향후 경련 발현에 대한 보다 주의 깊은 추적 관찰과 함께 ADHD 환아들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