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경망 모델선정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Weak-linked Neurons Elimination Method based Neural Network Models for Bankruptcy Prediction (약체연결뉴런 제거법에 의한 부도예측용 인공신경망 모형에 관한 연구)

  • 손동우;이웅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0.05a
    • /
    • pp.115-121
    • /
    • 2000
  • 본 연구는 인공신경망 모형에서 최적 입력 변수를 선정하기 위하여 새로운 선처리 기법인 약체연결뉴런 제거법을 제안하고 그 예측력의 우월성을 순수 인공신경망과 의사결정트리로 선처리한 인공신경망 모델과 각각 비교했으며, 그 결과를 보면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약체연결뉴런 제거법에 의해 입력변수 선정과정을 거친 모델의 성과가 순수 인공신경망이나 의사결정트리로 선처리한 인공신경망 모델에 비해 예측적중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Neural Network Model for Selecting a Piling Method of Building Construction (건축공사 말뚝공법 선정을 위한 신경망 모델 개발)

  • Cheon Bong-Ho;Koo Choong-Wan;Um Ik-Joon;Koo Ky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4.11a
    • /
    • pp.317-322
    • /
    • 2004
  • As a construction project in urban area tends to be high-rise and huge, the importance of the project's underground work, in terms of the cost and the schedule, is gradually increasing. It's extremely significant to choose a proper filing method, at the stage of underground work. However, in piling work many change orders have been occurred since a piling method is experientially selected based on uncertain information and many earth factors to consider. It has effects on the cost and the schedule of the project. In this study, we have suggested a decision model for piling method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and verify the suitable piling method in design and pre-construction phase of a project. Based on historical data, a neural network model has already proven to be efficient. The tests of the model for selecting a suitable piling method have progressed exactly with the data of 150 piling works which were done room 2000 to 2004 in Korea. The optimization or the developed neural network model has progressed with the data for teaming. The validity of the neural network model has been verified.

  • PDF

On Learning and Structure of Cerebellum Model Linear Associator Network(II) -Learing Simulation & Engineering Application- (소뇌모델 선형조합 신경망의 구조 및 학습기능 연구(II) -학습 시뮬레이션 및 응용-)

  • Hwang, H.;Baek, P.K.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5 no.3
    • /
    • pp.199-206
    • /
    • 1990
  • 연구 I에서 수행한 소뇌모델 선형조합 신경망(CMLAN)의 분석 결과와 제안된 능률적 학습 알고리즘들에 의거하여 이차원 비선형 함수치의 출력 모의시험과 팔의 형태에 따라 두개의 목적치를 갖는 2 자유도 머니퓨레이터의 동작지령 산출 모의시험을 행하였다. 특히 2 자유도 머니퓨레이터의 경우, 작업공간에 적절한 입력네트의 변수를 선정하고 하나의 입력공간을 공유하는 두개의 세부 소뇌모델 선형조합 신경망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로써 팔의 형태와 목적 지점에 따라 네트를 선정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제안한 학습 알고리즘의 성능 및 CMLAN의 학습에 따른 효과를 학습이득에 따라 컴퓨터로 모의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잘 알려진 신경망인 BACK-PROPAGATION 다층(Multi-Layer) 신경망과 함수연결 신경망(Functional Link Net)을 이용한 모의시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CMLAN의 학습 능률성은 학습에 소요되는 컴퓨터의 cpu시간과 학습 중의시스템의 최대 편차와 RMS 편차의 변이도 및 최종 시스템 수렴치로서 나타내었다.

  • PDF

FMM Model-based Feature Selection Technique for Face Detection (얼굴 패턴 검출 문제에서 FMM모델 기반의 특징 선정기법)

  • Cho, Il-Gook;Kim, H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706-70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다단계 필터와 복합형 신경망을 사용하는 얼굴 검출 시스템에서 FMM 모델을 이용한 특징선정 기법을 소개한다. 색상, 모션 및 명암을 이용한 다단계 필터는 검출 대상 영역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시스템의 실시간 검출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신경망을 이용한 특징추출 단계에서는 대상영역의 기본 특징으로부터 일련의 특징지도를 생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패턴 분류 신경망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특징집합이 지나치게 커짐으로써 신경망의 규모와 계산량이 방대해지는 단정을 갖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FMM 모델의 수정된 특성으로부터 특징과 각 클래스에 대한 상호 연관도 요소를 정의하고, 이로부터 특징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함으로써 성능의 저하 없이 최적의 특징집합을 선정하는 방법론을 소개한다.

  • PD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Electric Power Demand Forecast using a Season and Weather Informations (계절 및 날씨 정보를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전력수요 예측 알고리즘 개발)

  • Kim, Meekyeong;Hong, Chuleu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3 no.1
    • /
    • pp.71-78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the new electric power demand forecast model which is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considers time and weather factors. Time factors are selected by measuring the autocorrelation coefficients of load demand in summer and winter seasons. Weather factors are selected by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important weather factors are temperature and dew point becaus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se factors and load demand are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factors such as humidities, air pressures and wind speed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using time and seasonal weather factors improves the load demand forecasts to a great extent.

(Tuning Learning Rate in Neural Network Using Sugeno Fuzzy Model) (Sugeno 퍼지 모델을 이용한 신경망의 학습률 조정)

  • 라혁주;서재용;김성주;전흥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3.05a
    • /
    • pp.77-80
    • /
    • 2003
  • 신경망의 퍼셉트론 학습법에는 이진 또는 연속 활성화 함수가 사용된다. 초기 연결강도는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며, 목표치와 실제 출력과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즉 구해진 오차는 학습률에 따라서 다음 단계의 연결강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런 경우 학습률이 너무 크면 수렴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반대로 너무 작게 선정하면 학습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런 이유로 능동적인 학습률의 변화는 신경망의 퍼셉트론 학습법에 중요한 관건이 리며, 주어진 문제를 최적으로 학습을 위해서는 결국 상황에 따른 적절한 학습률 조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률 조정에 퍼지 모델을 적용하는 신경망 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에 의한 학습은 오차의 변화에 따라 학습률을 조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연결강도를 능동적으로 변화시켜 효과적인 학습 결과를 얻었다. 학습률 변화는 'Sugeno 퍼지 모델'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A Hand Gesture Recognition Method Using a Hybrid Neural Network (복합형 신경망을 이용한 손동작 인식기법)

  • Lee, Joseph-S.;Cho, Il-Gook;Kim, H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59-6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CNN 모델과 WFMM 신경망의 특성을 상호 결합한 손동작 인식기법을 제안한다. 특징 추출 모듈로 사용된 CNN 모델은 움직임 정보에 기초한 특징지도상에서 특징의 위치 이동이나 왜곡에 의한 성능 저하를 개선시키는 계층간 연결구조를 갖는다. WFMM 신경망에 기반한 패턴 분류 모듈은 간결하고 강력한 학습기능을 지원하며, 학습된 신경망은 분류 능력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추가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이 패턴 분류 모델은 학습패턴으로부터 특징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는, 이른바 특징 선정 기법을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모델의 동작 특성과 학습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손동작 인식문제에 적용한 실험을 통하여 이론의 타당성을 평가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Speech Parameters for Speech Recognition Neural Network (음성 인식 신경망을 위한 음성 파라키터들의 성능 비교)

  • Kim, Ki-Seok;Im, Eun-Jin;Hwang, Hee-Yu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3
    • /
    • pp.61-66
    • /
    • 1992
  •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that uses neural network model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but the main trend was finding the neural network models and learning rules appropriate to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However, the choice of the input speech parameter for the neural network as well as neural network model itself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of the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neural network. In this paper we select 6 speech parameters from surveys of the speech recognition papers which uses neural networks, and analyze the performance for the same data and the same neural network model. We use 8 sets of 9 Korean plosives and 18 sets of 8 Korean vowels. We use recurrent neural network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6 speech parameters while the number of nodes is constant. The delta cepstrum of linear predictive coefficients showed best result and the recognition rates are 95.1% for the vowels and 100.0% for plosives.

  • PDF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neural network models applied to wind turbine condition diagnosis (풍력터빈 상태진단에 적용된 다양한 신경망 모델의 유효성 비교)

  • Manh-Tuan Ngo;Changhyun Kim;Minh-Chau Dinh;Minwon Par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8 no.5
    • /
    • pp.77-87
    • /
    • 2023
  • Wind turbines playing a critical role in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ccurately assessing their operational status is crucial for maximizing energy production and minimizing downtime.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neural network models for wind turbine condition diagnosis, evaluating their effectiveness using a dataset containing sensor measurements and historical turbine data. The study utilized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data, collected from 2 MW doubly-fed induction generator-based wind turbine system (Model HQ2000), for the analysis. Various neural network models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 long short-term memory,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were built, considering factors like activation function and hidden layers. Symmetric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were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Based on the evaluation, conclusions were drawn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 neural network models for wind turbine condition diagnosis. The research results guide model selection for wind turbine condition diagnosis, contributing to improved reliability and efficiency through advanced neural network-based techniques and identify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further advancements.

Site Selection Method by AHP-base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for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AHP 기반의 인공신경망 모델을 활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후보지 선정 방안)

  • Kim, Gyoo-Bum;Choi, Myoung-Rak;Seo, Min-H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4
    • /
    • pp.741-753
    • /
    • 2018
  • Local drought in South Korea has recently increased interest in the efficient use of groundwater and then induces a growing need to introduce artificial recharge of groundwater that stores water in sedimentary layer. In order to evaluate the potential artificial recharge sites in the alluvial basin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an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odel consisting of three primary and seven secondary factor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n the AHP model, adding candidate sites changes final evaluation score through a mathematical calculation process. By contrast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lways provides an unchanged score for each candidate area. Therefore, the score can be used as a selection criterion for artificial recharge sites. It is concluded that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recharge is relatively low if the score of the ANN model is less than about 1.5. Further studies and field surveys on the other regions in Korea will lead to draw out a more applicable AN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