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말단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44초

경락추적을 위한 피내 알시안 블루 주입방법 (Intradermal Alcian-Blue Injection Method to Trace Acupuncture Meridians)

  • 성백경;김민수;오가이;강대인;소광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12
    • /
    • 2008
  • 목적 : 본 논문에서는 경락을 추적하기 위한 피내(皮內) 알시안 블루(Alcian blue) 염색 방법을 기술한다. 방법 : 1% 알시안 블루 용액을 31게이지 바늘이 달린 0.5mL 인슐린 주사기를 사용하여 경혈 지점에 피내 주사한 후 실체 현미경하에서 수술, 관찰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조직을 레이저 공초점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 알시안 블루로 염색되고 피하로 이어지는 실 모양 구조물을 관찰하였다. 이 조직 내에서 특징적인 막대모양 핵 배열 및 $1-2{\mu}m$크기의 데옥시리보핵산 입자가 관찰되었다. 또한 경혈 조직 내에서 풍부한 모세혈관총 및 말초신경 말단, 그리고 약 $300{\mu}m$크기의 소체형 구조물을 확인하였다. 결론 : 경혈 지점의 피내에서 발견된 특징적 실 모양 구조물 및 소체형 구조물은 각각 표층 봉한관 및 소체로 판단된다.

시상하부 조각에서 내재성 카테콜아민의 분비에 대한 포도당의 조절작용 (Glucose Modulation of Release of Endogenous Catecholamines from Hypothalamic Fragments in Vitro)

  • 정전섭;황형식;위명복;송동근;김용식;김영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3-188
    • /
    • 1993
  • 시상하부 조각에서 카테콜아민의 분비에 대한 포도당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카테콜아민의 기초분비는 포도당의 농도$(5{\sim}30mM)$에 반비례하였다. Tetrodotoxin $(10\;{\mu}M)$의 존재하에서 카테콜아민의 기초분비에 대한 포도당의 억제 작용은 대부분 유지되었으나, 도파민에 대한 30 mM 포도당의 억제 작용은 거의 봉쇄되었다. Tetrodotoxin $(10\;{\mu}M)$과 desipramine $(3\;{\mu}M)$의 존재하에서는 카테콜아민의 기초분비에 대한 포도당의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포도당이 transsynaptic action 뿐 아니라 카테콜아민 신경세포 말단에 대한 직접 작용을 통하여 카테콜아민의 분비를 조절할 것임을 시사한다. 카테콜아민의 분비에 대한 포도당의 조절작용은 당뇨상태에서의 시상하부 카테콜아민 대사의 변화를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설명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Zebrafish에서 인간 KCNE1 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Human KCNE1 Gene in Zebrafish)

  • 박현정;유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24-52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zebrafish에 인간의 KCNE1 유전자가 삽입된 형광단백질 vector를 microinjection하고, 그 발현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양 말단에 제한효소(EcoRΙ, BamHΙ) site를 넣어 제작한 primer들로 genomic DNA에서 KCNE1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그 결과는 약 402 bp 크기의 DNA band였고 이 PCR 산물을 형광단백질 vector인 pPB-CMVp-EF1-GreenPuro 속에 클로닝하여 pPB-CMVp-hKCNE1-EF1-GreenPuro plasmid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형광 vector를 zebrafish 수정란에 microinjection하였고, 부화된 치어에서 RT-PCR과 DNA sequencing을 통해 GFP 및 hKCNE1의 발현을 최종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QT 연장증후군(LQTs)에 대한 동물 모델로써 신경자극 전도, 유전자 치료, 유용 유전자 클로닝을 위한 기술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천성 고혈압흰쥐에서 Endothelin과 Neuropeptide Y에 의한 심혈관계 반응에 Enalapril 장기처치가 미치는 영향 (Long-Term Treatment with Enalapril Depresses Endothelin and Neuropeptide Y-induced Vasoactive Actio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김권배;손의동;김중영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9-60
    • /
    • 1992
  • 선천성 고혈압 흰쥐(SHR)에서 endothelin-1(ET)과 neuropeptide Y(NPY) 투여에 의한 심혈관계 반응에 미치는 enallapril 장기처치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생후 6주의 SHR에 enalapril(3 mg/kg/day)을 6주간 투여하였을 때 고혈압 발현이 현저히 억제되었다(이하 enalapril 처치군). Enalapril 처치군에서 ET 및 NPY에 의한 승압반응이 현저히 억제되었지만, ET 측뇌실투여에 의한 혈압상승 및 NPY측뇌실 투여로 야기되는 혈압하강효과에는 영향이 없었다. 뇌척수제거 흰쥐에서 전기적 자극으로 야기되는 빈맥효과는 enalapril처치나 ET투여로 억제되었는데, ET의 작은 ${\alpha}_2$-수용체 길항제인 yohimbine 전처치로 봉쇄되었다. SHR의 적출 대동맥에서 전기자극 빈도수에 따르는 수축반응이 ET 전처치로 항진되었으나 NPY 전처치로는 차이가 없었다. 전기자극 빈도수에 따른 수축반응은 enalapril투여한 군의 것이 투여하지 않은 군의 것에 비하여 약화되었다. ET투여에 의한 혈중 norepinephrine의 증가작용이 enalapril처치로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감소작용이 뇌척수제거 흰쥐에서 현저하였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고혈압흰쥐에 enalapril을 장기처치함으로써 고혈압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는 ET 및 NPY에 의한 승압반응 및 교감신경말단의 신경전달과정의 억제가 관여될 수도 있을 것 같다.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뇌로부터 phospholipase D 활성 억제 단백질의 정제 및 특성 규명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ins Inhibiting Phospholipase D Activity from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rain)

  • 서정수;김은희;황은영;김남득;김동선;이형호;정준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0-37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넙치, Pafalichthys olivaceus 뇌 조직에서 인지질가수분해효소 D (phospholipase D, PLD) 활성의 특성 규명 및 이 활성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넙치 뇌 조직에서 PLD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이 활성은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비스인산염 (phosphatidyl-inositol 4,5-bisphos-phate, $PIP_2$)에 대해서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나, ADP-rebosylation factor (ARF)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PLD 억제물은 넙치 뇌 조직의 세포질 분획물을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칼럼을 통하여 분리 정제하였고, 그 억제물의 분자크기 및 기작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마지막 chromatography을 통하여 여섯 개의 억제를 나타내는 분획물을 얻었으며, 이 중 두 개의 분획물인 IIA IIB는 $PIP_2$-phosphatase activities를 나타내었다. 이 중 IIA 분획물은 면역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inositolpolyphosphate 5-phosphatase family로 알려져 있는 신경말단 단백질인 synaptojanin으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IIB fraction은 Superose 12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을 통하여 158-kDa의 크기로 확인되었으며, 이것은 면역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synaptojanin과는 별개의 단백질로 판명되었다. 또한, IIB 분획물은 $PIP_2$ phosphatase activity 확인 실험에서 대사산물로서 phosphatidylinositol phosphate (PIP)만을 생성하였다. 이 결과는 IIB 분획물이 $PIP_2$의 4혹은 5 위치의 인산 (phosphate)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가수분해시킨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넙치 뇌 조직에는 다양한 형태의 $PIP_2$-phosphatases가 존재하며, 이들은 $PIP_2$-의존적인 PLD 활성의 억제조절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흰쥐 치수에서 Er:YAG laser에 의한 노출손상에 따른 조직학적 변화 및 CGRP 단백질의 발현 (A HISTOLOGICAL CHANGES AND CGRP EXPRESSION AFTER EXPOSURE INJURY BY ER:YAG LASER IN DENTAL PULP OF RAT)

  • 양재호;박종태;김규탁;김상봉;이난영;이상호;김흥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7
    • /
    • 2008
  • 본 연구는 Er:YAG laser에 의한 치수의 초기 조직반응과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함유 신경섬유의 발현을 비교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Er:YAG laser와 conventional bur를 이용하여 상악 제1대구치의 교합면에 와동을 형성하였다. 와동형성 후 48시간 후에 조직을 처리하여 hematoxylin-eosin 염색과 CGRP 면역조직화학을 시행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onventional bur를 이용하여 삭제한 경우, 상아질 바닥면은 균열이 없는 평면의 균일한 모양을 보였으며, Er:YAG laser의 경우에는 상아질의 면은 bur에 비해서 파동형의 불규칙적인 형태와 바닥면에서 상아세관의 주행방향을 따라 미세한 균열을 보였다. 2. Er:YAG laser에 의해 손상 받은 치수에서는 혈관확장과 노출된 치수의 손상부위를 따라 bur에서 손상 받은 치수보다 더 많은 염증세포의 침윤과 상아모세포층의 파괴를 보였다. 3. 노출손상 후에 치수신경 말단에서 CGRP 발현은 bur와 laser군 모두에서 손상을 받지 않은 정상 치수에 비해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그 증가된 정도는 laser의 경우에서 더 강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Er:YAG laser가 치수손상을 최소화하여 적용되면 치아우식 제거와 와동형성과 같은 여러 수복치료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Kinesin Light Chain (KLC)의 Tetratricopeptide Repeat (TPR) 도메인을 통한 Scaffold 단백질 WAVE1과 Kinesin 1의 결합 (The Scaffolding Protein WAVE1 Associates with Kinesin 1 through the Tetratricopeptide Repeat (TPR) Domain of the Kinesin Light Chain (KLC))

  • 장원희;정영주;엄상화;석대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63-969
    • /
    • 2016
  • Kinesin superfamily proteins (KIFs)은 세포 내 소기관이나 단백질복합체를 미세소관을 따라 운반하는 모터단백질이다. Kinesin 1은 경쇄단위체(light chain subunit)를 통하여 결합함으로써 세포 내 소기관, 신경소포, 신경전달물질수용체, 신호전달단백질, mRNA 등 다양한 운반체를 운반하는 KIFs의 한 종류이다. Kinesin light chains (KLCs)은 모터기능이 없는 단위체로서 kinesin heavy chains (KHCs) 이량체와 결합하여 kinesin 1을 구성한다. KLCs은 여러 단백질과 결합하지만 아직 결합단백질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KLC1의 tetratricopeptide repeat (TPR) 영역과 결합하는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효모 two-hybrid 탐색을 수행한 결과 Wiskott-Aldrich syndrome의 원인단백질이며 액틴 세포골격 조절단백질인 WASP/WAVE family의 하나인 WAVE1을 분리하였다. WAVE1은 KLC1의 TPR 영역을 포함한 부위와 결합하지만 KHCs인 KIF5A, KIF5B, KIF5C와는 결합하지 않았다. 또한 KLC1은 WAVE1의 C-말단에 존재하는 verprolin/cofilin/acidic (VCA) 도메인과 결합하였으며, 다른 WAVE isoform인 WAVE2와 WAVE3과도 결합하였다. HEK-293T 세포에 WAVE1과 KLC1을 동시에 발현시켰을 때 두 단백질이 세포 내에서 같은 부위에 존재하며, WAVE1을 면역침강한 결과 KLC1뿐만 아니라 KIF5B가 같이 침강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kinesin 1이 WAVE 단백질복합체 혹은 WAVE로 덮여있는 운반체를 운반함을 시사한다.

Saccharomyces cerevisiae 표면 발현을 이용한 붉바리 신경괴사 바이러스 외피단백질의 생산 (Production of Red-spotted Grouper Nervous Necrosis Virus (RGNNV) Capsid Protein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Surface Display)

  • 박미례;서승석;황진익;김동균;박종범;정영재;이택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995-1000
    • /
    • 2014
  • 바이러스 분리 및 검출 측면에서의 해양바이러스 연구는 높은 빈도의 돌연변이와 유전적 다양성 때문에 한계가 있어 왔다. 현재 해양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 ELISA를 기반으로 하는 혈청학적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다. 혈청학적 방법은 항체의 질과 고도로 정제된 정확한 항원을 요구한다. 최근에 바이러스 외피단백질을 항원으로 이용하고자하는 새로운 실험시스템이 yeast surface display (YSD)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붉바리 신경괴사 바이러스(RGNNV)의 외피단백질 유전자를 YSD와 HA-tagg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현시키고 정제하였다. 2개의 RGNNV 외피단백질 유전자 조각(RGNNV1 및 RGNNV2)을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합성하였고, 효모 발현 벡터인 pCTCON로 클로닝하였다. 효모 strain EBY100에서의 RGNNV 외피단백질의 발현은 발현벡터에 의해 코드되는 C-말단의 c-myc tags를 인지하는 형광표지된 항체를 이용하여 flow cytometry로 검출되었다. 발현된 RGNNV 외피단백질은 ${\beta}$-mercaptoethanol 처리 후 Aga1과 Aga2 사이의 이황화결합 절단에 의해 효모표면으로부터 분리되었다. Anti-HA 항체를 사용한 Western blots을 수행하였을 때 각 RGNNV 외피단백질이 정해진 크기에서 검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YSD와 HA-tagging 시스템이 재조합 RGNNV 외피단백질의 발현과 정제에 적용가능함을 나타낸다.

크론병과 병발한 결절성경화증 1예 (Tuberous Sclerosis Complex with Crohn's Disease)

  • 김민희;이윤진;김재영;이윤영;강준원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4-287
    • /
    • 2018
  • 결절성경화증은 두 개의 유전자 TSC1 (Encoding hamartin, 9q34)과 TSC2 (Encoding tuberin, 16p13) 중 하나의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상염색체 우성 질환이다. 위 유전자에 문제가 생기면 종양 억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과오종이 생기며 뇌, 신장, 심장, 눈, 폐, 기타 다른 기관들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성 질환이다. 크론병은 명확하게 밝혀 지지 않은 만성 면역 매개성 질환이다. 이는 유전적 소견이 있는 소화관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에 대한 우리 몸의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위 두 개의 질환이 동시에 발병하는 경우는 없었으나, 본 저자들은 결절성경화증 환자가 크론병을 앓고 있는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2세 남자 환아가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시 결절성경화증에서 보이는 피부 병변이 보였다. 안저 검사 결과 오른쪽 망막에 과오종이 발견되었다. 뇌자기공명영상에서 뇌실막밑거대세포 별아교세포종이 나타났고 결절성경화증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혈액검사 결과 적혈구 침강 속도와 C-반응성 단백질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모든 근위 결장 및 상행 결장, 회맹판, 말단 회장의 혈류 증가로 벽이 두꺼워져 있었다. 대장 내시경 검사 결과 회장, 회맹판 및 맹장의 불연속 궤양과 염증 소견이 보여 크론병으로 진단되었다. 환아는 뇌실막밑거대세포 별아교세포종의 치료를 위해 everolimus를 경구 투여 하였으나 크론병이 악화되어 사용과 중단을 반복하였다. 결절성경화증에서 크론병의 병발이 가능하고 뇌실막밑거대세포 별아교세포종의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크론병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보툴리눔 독소를 이용한 치은과다노출증의 치료 고찰 (Treatment of gummy smile using botulinum toxin: a review)

  • 명양호;우건철;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2호
    • /
    • pp.61-72
    • /
    • 2021
  • 아름다운 미소는 좌우 대칭을 이루며 2 - 3 mm 치은을 보이는 상태를 일컫는다. 과다한 치은노출은 "거미 스마일"로 불리며 미적 장애로 인식되어 왔는데 원인으로는 지연맹출, 상악의 과도한 수직성장, 윗입술의 과도한 움직임 또는 짧은 윗입술로 등으로 보고되어왔다. 한편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세균에서 생성된 외독소인 보툴리눔 독소는 투여된 부위의 신경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의 유리를 막아서 근육 수축을 약화시켜 윗입술 과잉 운동으로 인한 치은과다노출증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주목 받고있다. 현재까지 입술 주변 근육에 보툴리눔 독소를 주입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아직 표준화 된 연구 방법과 치료 방법이 없어 치료 효과에 대한 논란이었다. 본 종설의 목적은 이러한 지난 과거의 연구들에서 적응증을 선택하기 위한 요소 및 보툴리눔 독소 치료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치은과다노출증에서 보툴리눔 독소 주사의 최적의 용량과 최적의 주사부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