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경독성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33초

흰쥐 신경교종세포에서 카드뮴 세포독성에 대한 키토산의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hitosan on the Cadmium Cytotoxicity in Rat Glioma Cells)

  • 백용아;이정래;김강득;김혜원;이한솔;허정무;오재민;최민규;정연태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63-69
    • /
    • 2004
  • Casapse-3 protease is known as a key role of apoptotic enzyme, and caspase-3 activity is a central event that occurs upstream of DNA fragmentation during apoptosi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hitosan pretreatment inhibits cadmium-induced apoptosis by attenuating the activity of caspase-3. We also analyzed the protective effect of chitosan on DNA fragmentation induced by cadmium. Cadmium toxicity was examined by DNA fragmentation and nuclear condensation with Hoechst stain. Caspase-3 activities were increased cadmium treated group for 3 hours compared with control. When chitosan (150 mg/ml) was pretreated at 30 min before cadmium treatment, cadmium cytotoxicity was suppres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evaluated by DNA fragmentation and caspase activity.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 that the protective effect of chitosan pretreatment against cadmium-induced cytotoxicity is mediated through inhibition of caspase-3 protease activation and DNA fragmentation.

시스플라틴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청각유모세포 사멸 효과 (The Effect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Cisplatin on the Death of Sensory Hair Cells.)

  • 이정한;박찬희;박래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42-549
    • /
    • 2008
  • Cisplatin은 임상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종양 치료에 사용되는 중요한 항암제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cisplatin은 이독성, 신장독성, 골수독성, 위장독성 및 말초신경독성 등의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용이 제한적이다. Cisplatin에 의한 청각장애에서 organ of Corti 외측 유모세포(outer hair cells) 손상이 유발한다. Cisplatin에 의한 세포독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pro-inflammatory cytokine과 관련된 청각세포사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 연구에서 cisplatin은 청각세포주 HEI-OC1 세포와 렛트 cochlear explant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 $IL-1{\beta}$ 및 IL-6의 유전자 발현과 분비를 현저히 증가시켰다. 이들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organ of Corti 청각유모세포에 직접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외측 및 내측 유모세포와 배열을 파괴하였다.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TNF-{\alpha}$를 cisplatin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immunocytochemistry를 통하여 관찰 한 결과 organ of Corti에서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됨을 관찰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중화항체를 처리하여 cisplatin에 의한 세포독성이 현저히 감소됨을 HEI-OC1 세포와 청각유모세포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GSH, NAC와 같은 항산화제를 처리하여 세포독성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cisplatin에 의한 청각유모세포의 죽음에서 $TNF-{\alpha}$, $IL-1{\beta}$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병리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천마 추출액이 Scopolamine으로 유발된 기억력 감퇴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strodia elata Extracts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Rats)

  • 김진호;추한나;박은혜;정종길;김경옥;김정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95-599
    • /
    • 2013
  • 알츠하이머병은 신경세포가 점차적으로 퇴화되는 질환으로 특히 해마와 기저쪽 앞뇌의 뇌조직이 위축되어 점진적으로 기억력을 잃어간다. 본 연구는 scopolamine(1 mg/kg, 7일 동안 1일 1회)으로 유발된 수컷 Sprague-Dawley 흰쥐 해마의 신경독성에 대한 천마 물 추출액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동물(n=25)은 5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마다 5마리씩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정상군(Nor), scopolamine으로 유발한 다음 생리식염수를 20일(C-20)과 30일(C-30) 동안 투여한 대조군, scopolamine으로 유발한 다음 천마 추출액(200 mg/kg)을 20일(G-20)과 30일(G-30) 동안 투여한 실험군으로 구분하였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해마의 신경세포 핵은 G-20과 G-30에 비하여 C-20과 C-30에서 보다 응축되었거나 위축되어 있었다. 해마의 CA1과 CA3의 세포밀도를 조사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해마 주변의 뇌세포를 PAS로 염색한 결과 amyloid ${\beta}$ 단백질을 함유한 PAS-양성물질이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천마 물추출액은 scopolamine으로 유발된 신경 독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천궁(Cnidii Rhizoma)의 메탄올 추출물이 GABA 및 Glycine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CNIDII RHIZOMA ON THE FUNCTION OF RECEPTORS FOR GABA AND GLYCINE)

  • 이종태;이긍호;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5-66
    • /
    • 2005
  • 천궁의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진정 작용을 밝히기 위하여 staircase test를 시행하였으며, 근육이완 효과를 검색하기 위하여 rotarod test를 시행하였다. 진정 작용의 기전 구명을 위하여 GABA 및 glycine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인 picrotoxin, yohimbine, isoniazid, strychnine 등의 약물을 이용하여 발작 유도에 걸리는 시간을 비교 관찰하였다. 또한 생체에서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rwin의 행동시험 및 신경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MTT test를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Staircase 실험에서 천궁 추출물을 10mg/kg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 때 climbing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rearing수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42%의 감소를 보였다. 2. 30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 때, climbing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rearing수에서는 51%의 감소를 유발하였다. 3. 근육이완 작용을 탐색하기 위한 rotarod 실험에서는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천궁 추출물의 투여는 picrotoxin, isoniazid, yohimbine에 의한 발작에서는 큰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으나, strychnine에 의한 발작 유도시간은 41%의 증가를 유발하였다. 5. 일반 행동에서도 특이한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으며, 신경세포에 적용했을 때 특이한 독성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천궁의 메탄을 수용액 추출물은 현저한 진정 작용을 유발하며, 그 작용 기전으로서 glycine의 작용을 증가시켜 chloride ion의 세포내 유입으로 인한 억제성 신경전도를 유도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근육이완 작용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이한 생체독성도 유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향후 치과임상에서 진정요법의 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흰쥐 astrocyte에 있어서 $amyloid-{\beta}$에 의한 독성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천축황(天竺黃)의 영향 (Effects of Bombusae concretio Salicea on $Amyloid-{\beta}$-induced Neuronal Cell Toxic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Cultured Rat Astrocytes)

  • 이우헌;정지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81-391
    • /
    • 1998
  • 천축황(天竺黃)은 한의학에서 청풍열(淸風熱)과 치담(治痰)하는 효능으로 중풍과 불어증(不語症)을 치료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축황(天竺黃)이 실험적인 치매(Alzheimer Disease; AD)를 유발시키는 물질로 알려진 $amyloid-{\beta}\;(A{\beta}\;peptide)$를 흰쥐의 신경세포의 일종인 astrocyte에 처리하여 그 세포독성과 보호효과 및 세포막 지질의 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천축황(天竺黃)은 $A{\beta}$에 의한 신경세포에 대한 손상을 억제하여 세포증식을 촉진하여 예방 및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막 지질의 과산화의 지표인 malondialdehyde (MDA)생성이 $A{\beta}$처리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세포막 파괴에 의한 뇌세포 파괴의 전형적인 현상이 천축황(天竺黃)의 전(前)처리와 후(後)처리로 크게 감소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들은 천축황(天竺黃)이 신경세포의 하나인 astrocyte에 대한 보호효과와 세포막지질의 과산화 저해 및 $A{\beta}$처리와 같은 치매유발 독성에 대한 적응능력 향상을 통한 뇌신경의 보호효과를 주는 것으로 노인성 치매 등 임상적 응용에 그 효과가 기대된다.

  • PDF

클로르페나피르 음독 후 발생한 독성 시신경병증 1예 (Toxic Optic Neuropathy Caused by Chlorfenapyr Poisoning)

  • 박수진;정재욱;강용구;전보영;손병재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97-1102
    • /
    • 2018
  • 목적: 클로르페나피르 음독 후 중추신경계 손상을 동반한 독성 시신경병증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4세 여자가 7일 전부터의 양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내원 2주 전 자살 목적으로 클로르페나피르 한 모금을 음독했고, 직후 근처 병원에서 위세척을 시행하였다. 초기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안전수지 30 cm, 좌안 안전수동이었다. 양안 동공은 5.0 mm로 커져 있었고, 빛에 대한 반응은 느렸으며 좌안에는 상대구심동공운동장애가 관찰되었다. 안저검사에서 양안 시신경유두부종이 관찰되었고, 뇌자기공명영상에서 양안 시신경과 속섬유막, 뇌량, 중소뇌각, 뇌간 등 백질 신경로를 따라 양쪽에 대칭적인 고강도신호가 관찰되었다. 클로르페나피르 중독으로 인한 독성 시신경병증으로 진단 후, 고용량 스테로이드치료를 3일간 시행하였으나 양안 최대교정시력은 광각무로 악화되었다. 3개월 후, 안저검사에서 양안 시신경위축이 관찰되었고,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망막신경섬유층 및 신경절세포-내망상세포층 두께가 감소하였다. 결론: 매우 적은 양이라도 클로르페나피르에 노출되면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잠복기를 거쳐 심각한 시신경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겠다.

Xanthine Oxidase Inhibitor가 저산소성-허혈성 뇌손상이 유도된 신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Xanthine Oxidase Inhibitor on Cerebral Hypoxia-Ischemia in Neonatal Rats)

  • 최대호;오연균;박승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6호
    • /
    • pp.732-742
    • /
    • 2002
  • 목 적: 저산소-허혈에 대한 신경독성의 규명 및 xanthine oxidase inhibitor인 allopurinol의 저산소성-허혈 유도에 미치는 방어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신생쥐에 우측 총경동맥을 결찰 및 8% O2의 노출로 허혈 및 저산소 상태를 만든 후 저산소성-허혈이 12-72시간 동안 대뇌의 neuron과 astrocyt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신경독성을 규명하고, 또한 xanthine oxidase inhibitor인 allopurinol이 저산소성-허혈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저산소성-허혈 유도 15분 전에 150 mg/kg의 allopurinol을 복강 투여한 다음 투여 후 14일 후에 신생쥐를 희생하여 이의 뇌 조직으로부터 순수분리 배양한 신경 세포에 대하여 세포의 수적 변화와 생존율을 비롯하여 LDH와 단백질합성 및 PKC를 조사하였다. 결 과 : 1) 저산소성-허혈은 저산소-허혈 유도 직후부터 72시간 동안 시간경과에 비례하여 신생쥐의 대뇌 neurons의 수와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2) 저산소성-허혈은 저산소-허혈 유도 직후부터 72시간 동안 시간경과에 비례하여 신생쥐의 대뇌 astrocyte의수와 세포생존율을 다소 감소시켰다. 3) 저산소-허혈 유도 14일 후 neuron의 수와 세포 생존율 및 단백질합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LDH는 매우 증가하였다. 4) 저산소-허혈 유도 직전 allopurinol 처리에 의하여 neuron의 수와 세포생존율 및 단백질합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LDH치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5) 배양된 neuron에 대한 PKC 조사에 있어서 허혈 유도 10분에 현저한 PKC치의 증가를 보였으며, allopurinol의 전 처리는 허혈 유도에 의한 PKC치의 증가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결 론 : 저산소성-허혈은 신생쥐의 대뇌 신경세포에 독성효과를 나타냈으며 활성산소 제거제인 allopurinol은 세포수 및 세포생존률의 증가에 의한 신경세포의 손상보호를 나타내었고, 단백질합성 증가, LDH치 및 PKC치의 감소로 세포손상에 대한 효과적 방어도 관찰할 수 있었다.

PC12 세포 신경전달물질 방출 저해제 S9940이 신경세포 돌기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about Neurite Extension of S9940, and Inhibitor of Exocytosis in PC12 Cells)

  • 이윤식;박기인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349-356
    • /
    • 1998
  • We identified S9940, a novel microbial metabolite from Streptomyces spp., to inhibit the release of neurotransmitter from PC12 cells. S9940 is an inhibitor of trifiated norepinephrine ([$^{3}H$]-NE) release in high $K^+$ buffer solution containing ionomycin, indicating that S9940 inhibits neurotransmitter release after the influx of $Ca^{2+}$ ions.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S9940 on $\beta-glucuronidase$ release from guinea pig neurophils and the effect on the neurite extension of PC12 cells and rat hippocampal neurons. As a result, S9940 inhibited $\beta-glucuronidase$ release: when treated with $5{\mu}g/ml$ of S9940, which prevented [$^{3}H$]-NE release, the inhibition of neurite extension for both PC12 cells and rat hippocampal neurons was observed.

  • PDF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에 미치는 징코라이드의 영향 (Ginkgolides Attenuate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 김소라;전미희;김영중
    • 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20-726
    • /
    • 1996
  •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L-glutamate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could be attenuated by diterpene constituents of Ginkgo biloba leaves, ginkgolides A, B and C. At the concentration of 100 nM, ginkgolides up-regulated the activity of glutathione reductase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exposed to 100 ${\mu}$M glutamate. Furthermore, ginkgolides increased the content of reduced glutathione in glutamate-treated cortical cells. However, ginkgolides showed little effect in reducing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Ginkgolides did, however, markedly block the production of malondialdehyde, a byproduct of lipid peroxidation in glutamate-treated rat cortical cells.

  • PDF

빌로바라이드가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에 미치는 영향 (Bilobalide Attenuates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 김소라;장영표;성상현;이흠숙;문애리;김영중
    • 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1-116
    • /
    • 1997
  •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L-glutamate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could be attenuated by sesquiterpene constituent of Ginkgo biloba leaves, bilobalide. At the c oncentration of 100 nM, Bilobalide elevated the combined levels of reduced/oxidized glutathione in rat cortical cells exposed to 100 ${\mu}$M glutamate. Furthermore, bilobalide promoted a reduction in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glutamate-treated cells. Finally, bilobalide marked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malondialdehyde. a measure of lipid peroxidation, in glutamate-treated rat cortical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