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품유통체계

Search Result 12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친환경인증(親環境認證) 바로알기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s.64
    • /
    • pp.68-74
    • /
    • 2008
  • 친환경인증제도란 환경에 농산물(예: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산물), 친환경건축자재, 친환경건축물 등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인증제도입니다. 농약의 환경보전 기능을 증대시키고, 농업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임으로 일반농산물을 친환경농산물로 허위 또는 둔갑표시하는 것으로부터 생산자.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유통과정에서의 신뢰구축으로 친환경농산물 생산과 공급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 동안 증산위주의 고투입농법에 의존해 온 결과 농업환경이 약화되어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을 위협하고 지나친 농약사용은 토양미생물, 천적감소 등 생태계 교란, 수질오염 및 농산물의 농약잔류문제를 야기하는 등 관련 국제규범이 제정됨으로써 환경보전 및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제고에 적극적인 대응 필요에 만들어 졌습니다.

  • PDF

How do Merchandisers in Large Retailers Purchase Agriculture Products? (대형유통업체 구매담당자의 농산물 구매 행태에 관한 연구)

  • Woo, Young-Mun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16 no.5
    • /
    • pp.123-140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large distributors' trade features with local suppliers and their direct purchase features through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targeting some MDs(Merchandisers) in large retailers responsible for buying fresh foods (agricultural, fishery, livestock and proceeded products). As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survey targeting the large purchase MDs, it was found that when they select local suppliers, they importantly consider the factors of stable products supply, the quality management, the aggressive management attitude, the affordable (cheap) price, and the suggestion of differentiated goods in order. Concerning their direct purchases in local places, their preference toward the direct-purchase traders were higher than that toward vendors and whole markets as their existing major traders. Among the traders for direct purchase, they preferred farm corporations (including agricultural corporations) the most, and followed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and the unit agricultural cooperative in order. Regarding to the trades with suppliers, when they set the trade price, the merchandisers (MDs) of large distributors preferred long-term trades over 2 years, and utilized the factors of market rate(50.9%), production cost(31.2%) and sale price in the same industry(18.0%). For the local distribution organizations to aggressively counteract the changes of distribution environment in the consumption places, it needs some strategies to organize the agricultural production, to expand the production size and to specialize the distribution channels. And the supply system's continuality and stability are required, so it needs to establish the counteract system enabling to supply all year round through the link of production organizations. Additionally, as an effort to intensify the market negotiation ability, it should collect various market information from the consumption places.

  • PDF

2008년 하반기 AI 예찰 시행 계획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v.63 no.9
    • /
    • pp.42-51
    • /
    • 2008
  • AI방역체계가 상시방역체계로 전환됨에 따라 상시방역 예찰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최근 2008년도 하반기 AI예찰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시행계획에 따르면 예찰기간은 8월부터 오는 12월까지이며 과거 발생지역인 13개 시.군을 포함해 올해 발생지역 19개시군 및 야생조류에서 항체항원이 분리된 5개 지역을 집중관리지역으로 임상예찰이 중점적으로 시행된다. 또 종오리 및 육용오리 농가들의 경우 분기별로 검사를 실시하며 전국 철새도래지 41개소에 대해서는 매월 포획 및 분변검사를 실시하다. 또 재래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가금류에 대한 검사와 함께 집중 관리지역 및 철새도래지 인근 돼지 사육농가에 대해서도 AI 검사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종오리 농장의 경우 전국 84개소에 대해 매일 1회 전화조사 및 사료.음수 섭취량과 산란을 저하 등의 일지를 작성 매월 실적을 방역당국에 제출해야 한다. 또 종오리 농장 및 육용오리 농장은 9월 마지막주에서 10월 둘째주에 1차, 12월 10일-12월 31일까지 2차로 채혈검사가 실시된다. 이와 함께 전국 철새도래지 등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모니터링 검사와 함께 포획검사도 실시된다. 재래시장 유통 가금류에 대해서는 전국 80여개 상설시장에서 시료를 채취해 검사를 실시하고 위험지역 및 철새도래지 반경 15km 이내의 돼지농장도 검사대상에 포함된다. 이 밖에도 관산용 및 전시용 조류 사육농가에 대한 검사도 실시되며 2006년부터 올해까지 HPAI가 발생됐던 국가에서 수입된 가축사료용 수입 원료에 대해서도 항원 검사를 실시한다.

  • PDF

See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Improvement of Medicinal Crop Seeds (약용작물 종자 생산 및 보급체계 개선)

  • Jang, Woo Whan;Park, Jae Sang;Rubenecia, Maria. Rosnah Ultra.;Park, Chung Beom;Ahn, Young Sup;Lee, Sang Chul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31 no.4
    • /
    • pp.286-294
    • /
    • 2013
  • Increasing concern for the health, well-being, and income of the people has expectedly brought continuous increase in the industrial value of medicinal plants in recent years as these are also used in foods and cosmetics. However, Korea's increased import of these products from China due to the FTA contract causes negative effects on its industrial value. In this regard, various measures for medicinal crop seed development and production, organization and expansion of circulation and forest land use deregulation are needed to promote the agricultural food industry including medicinal plants. As a measure, first, a database of medicinal plants should be built that can help to promote the national medicinal industry and the seed management system. Second, agricultural productivity should be enhanced via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varieties of high quality medicinal plants. Third, there should be a good practice of the system maintenance for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medicinal crop seeds. Fourth,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of medicinal plants should be established by standardization of high quality seeds. Nowadays, the consumption pattern of medicinal crops is changing from direct ingestion to cosmetics, drugs, and food and this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Consequently, the increased production of medicinal crops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policy a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response to this trend of the positive change of industrialization.

감마선조사 생약재(H-113)의 산화적 생체손상 억제효과 안정성 평가

  • Oh, Heon;Jung, Woo-Hee;Jung, Il-Yoon;Cheon, Eui-Hyun;Cho, S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03.1-103
    • /
    • 2003
  • 건조 생약재의 위생화 수단으로 방사선 조사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감마선 조사 생약의 효능 변화유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 시료와 비조사 시료가 생체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방사선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감마선 조사(10 kGy) 생약재(H-113) 및 비조사 생약재(H-113) 추출물을 처리하여 배양한 사람 림프구에 방사선을 조사한 후, 단세포전기영동(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comet assay)을 수행하여 DNA 상해 경감정도를 관찰하였다. 또한 방사선 조사 및 비조사 생약재(H-113)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에 8 Gy의 감마선을 조사한 후, 간에서 지질과산화 정도를 비교·관찰하였다. 한편 DPPH 라디칼과 hydroxyl 라디칼 소거효과를 시험관내에서 상호 비교하였다. 감마선 조사 생약재(H-113)는 단세포전기영동, 지질과산화, DPPH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시험에서 비조사 생약재 (H-113)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어 효능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는 생약재의 여러 가지 고유 효능 중 일부의 안정성을 확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감마선 조사 생약재의 고유 효능의 안정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얻는다면 생약재의 위생화 수단으로 감마선 조사 기술의 이용이 실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esent Status on the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Program of South Korea and Its Improvement (한국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프로그램 현황과 개선)

  • Lee, Mi-Gyung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4 no.3
    • /
    • pp.219-226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overall status of the monitoring program for pesticide residues in foods of South Korea. Further propositions for its improvement were made, and from this study, the status on this progra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South Korea,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is responsible for overall control of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Depending on the time of monitoring (sampling at distribution or production step), the government agency responsible for monitoring is different: MFDS, Regional Offices of Food and Drug Safety and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monitoring of foods at the distribution step, while th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NAQS) and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monitoring of foods in the production step (partially at sale and distribution steps). According to purpose of monitoring, domestic monitoring programs could be divided into two types: MFDS's "Residue Survey" and NAQS's "National Residue Survey" are conducted mainly for risk assessment purposes and various monitoring programs by the Regional Offices of Food and Drug Safety and local governments are conducted mainly for regulation purposes. For imported foods,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at both steps of customs clearance and distribution: the MFDS and the Regional Offices of Food and Drug Safety are responsible for the former, and for the latter, local governments are also responsible. However, it appeared that systematic and consistent monitoring programs are not being conducted for imported foods at the distribution step. Based on the information described above and mor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d in this paper, the following proposals for improving the monitoring program were forwarded: i) further clarification of monitoring program purpose, ii) strengthening of the monitoring program for imported foods, iii) providing the public with monitoring results by publication of an annual report and database. It is thought that exhaustive review on the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program and efforts for its improvement are needed in order to assure both food safety and the success of the recently begun positive list system (PLS).

Color Modeling of Milled Rice by Milling Degree (도정도에 따른 쌀의 칼라 모델링)

  • Kim, Oui-Woung;Kim, Hoon;Lee, Se-Eun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2 no.2
    • /
    • pp.141-145
    • /
    • 2005
  •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lling degree and color of milled rice, an empirical whiteness model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milling degree from $0\%\;to\;20\%$ using paddy of three different varieties of Chuchung, Nampyong and Odae. The values of determination coefficient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whiteness were 0.990, 0.877, respectively, and the whiteness model was proved to be quite applicable. The relationships between whiteness values and color factors in several color systems were tested to select useful color factors for development of convenient whiteness meter. The whiteness value of milled rice according to degree of milling could be converted into b and Hunter whiteness in Lab color system. B in RGB color system at high values of determination coefficient were 0.990, 0.985, and 0.989, respectively.

식품산업육성정책

  • 김영찬
    • Food Industry
    • /
    • s.179
    • /
    • pp.10-73
    • /
    • 2004
  • 우리나라의 식품산업은 2002년도에 약 36조3천8백억원의 매출을 기록하여, 국내총생산(GDP)의 $5.9\%$를 차지하고 있으며, 제조업 총생산액의 $20.3\%$를 차지하여 국내제조업의 견인차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제조업별 부가가치 순위는 전자, 화학, 자동차산업에 이어 4위를 점하고 있으며, 고용유발계수도 평균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식품산업은 모든 소비재 중 생존을 위해 없어서는 안된다는 점에서 특별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식품산업은 약 18,000업소가 생산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나 종업원 10인 이하 사업장이 $78.1\%$를 차지하며, 상위 47개 사업장이 식품산업 총 매출액의 $52\%$를 점유하고 있는 영세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측면에서 보면 그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규제중심의 행정에 치우쳐 산업진흥을 위한 특별한 지원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식품산업의 구조적 영세성은 식품산업이 갖는 경제적 측면 이외에 특별한 위치 즉, 국민보건분야에 있어서의 중대성과 함께 산업으로서의 발전을 위한 국가차원의 전략적 지원이 필요한 분야이다. 이와 함께 식품산업은 BT분야에 있어 적용가능성이 높고, 성공확률이 높아 국가의 지원이 우선적으로 배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장에서는 식품산업의 생산$\cdot$수출입현황, 식품산업의 경제적 위치를 분석하여 중요성을 부각하였다. 국내외 식품산업지원정책의 파악을 위하여 식품안전관련 법령의 소개와 산업지원을 위한 산자부 등 관련부처의 지원정책을 제시하였으며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가의 바이오 기능식품을 중심으로 한 정부의 BT 지원정책을 소개하였다. 이와함께 우리나라의 식품산업의 연구개발 동향을 분석하고, 미국, 유럽, 일본의 식품산업의 중점 연구개발동향을 소개하였다. 상기의 식품산업분석, 지원정책, 외국의 BT지원 사례 등을 참조하여 우리 식품산업의 환경분석과 문제점을 제시하였으며 전망을 분석하였다. 식품산업 정책의 개선방향으로서 제도의 개선, 위해평가 수행체계의 도입, 식품유통의 효율화 기반조성 및 지원, 산업지원을 위한 추진정책, BT산업으로서 식품산업의 진흥책 강구 등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Assessment of Consumer's Food Safety Perceptions and Practices (소비자의 식품안전 인지도와 안전행동 평가)

  • Park, Ji-Yeon;Choi, Eun-Hui;Choi, Jung-Hwa;Shim, Sang-Kook;Park, Hyung-Soo;Park, Ki-Hwan;Moon, Hye-Kyung;Ryu, Kyung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4 no.1
    • /
    • pp.1-11
    • /
    • 2009
  • Consumers are very concerned about food safety as the risk with food increa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consumers on food safety in order to collect som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nsumer education program. Total 500 consumers were asked to answer for survey constituted with 6 questions of generic information, 4 of food safety perceptions and 8 of food safety practices from June to July, 2006.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51.8%) were unsatisfied with the food safety management of government while the individual practices on food safety were satisfactory. Especially, most respondents (98.7%) checked the expiration date of food when they purchased and 97% of respondents were washed hands before food preparation. The higher food safety perception, the better food safety practices of consum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s on food safety hazards and the principles of sanitation management are necessary for safe food handling and perception on food safety.

호박분말을 첨가한 라면의 저장 안정성에 대한 연구

  • Byeon, Jang-Won;Park, Jin-Gwan;Lee, Chi-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37-342
    • /
    • 2006
  • 호박 분말을 첨가한 라면의 $\beta$-carotene의 함량 정량 결과 호박분말을 첨가할수록 $\beta$-carotene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총균수 검사에서는 제조 후 44일까지는 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58일째부터 호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그 총균수의 검출이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공기 중의 미생물의 오염과 상온 상태의 호박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영양성분 등에 의하여 균이 성장할 수 있는 최대의 생육 조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관능 검사에서 가장 선호도가 좋았던 호박 분말을 2.5% 첨가한 라면은 과산화물가가 기준치에 도달하는 기간을 120일(약 4개월)로 추측할 수 있었다. TBA value의 실험에서는 2.5% 호박 분말이 첨가된 라면의 산패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이것을 줄이기 위해 완전한 밀봉 포장이 이루어진다면 산패의 속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호박을 첨가한 라면의 저장 안정성에 대한 연구 결과 호박을 첨가하면 할수록 라면의 저장성이 떨어진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러한 원인으로는 호박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영양성분과 라면과의 결합시 호박에 함유된 $\beta$-carotene 이외의 다른 물질들에 의해서 저장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관 시의 문제점으로써 포장상태를 들 수 있는데 포장상태가 완전한 밀봉상태가 아닌 비닐팩을 이용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호박 라면의 공기와의 접촉을 촉진한 계기가 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여러 가지 미생물들의 활성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또한 지질의 산패를 가속화시킨 결과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호박 라면 제조시 이러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시킬 수 있는 포장재료를 선택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0.05), 맛,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자체를 악하다고 볼 수 없고 더구나 구원을 이 세상에서의 이탈로 볼 수 없다. 진정한 구원이란 원래 하나님이 보시기에 아름다웠던 그 세상으로의 회복을 포함한다. 이런 면에서 하나님 주권 신앙 하에서 구원이란 전 인격적인 구원, 전 우주적인 구원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성도는 세상의 삶과 학문, 예술, 정치, 경제, 사회를 포함한 모든 분야를 하나님의 뜻 가운데서 그 원래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회복시키는 일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자체가 이를 주도하기는 사실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형유통점이 영업행위를 영업시간제한에서부터 출점제한에 이르기까지 규제하는 건은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대형유통점이 국가경제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긍정적인가에 대해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에 의한 시장개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합당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체계적인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향후 가장 시급한 과제는 시장개방 이후 지난 10년간 대형유통점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광범위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책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i와 K. pneumoniae가 존재하며 확산 중임을 시사한다. 앞으로 CTX-M형 ESBL의 만연과 변종 CTX-M형 ESBL의 출연을 감시하기 위한 정기적인 연구와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A2-1, B1-1, B2-1의 경우, 강우 일수 감소 이전과 연 유출량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유사량과 영양물질 부하량은 다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