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품섭취제한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식품영양과 콜레스테롤

  • Han, Ye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49-70
    • /
    • 1995
  • 콜레스테롤은 성호르몬, 스테로이드 호르몬, 비타민 D, 담즙산 및 다른 체내화합물에 존재하는 생명에 필수적인 물질이며, 특히 세포막에는 이의 안정적인 기능수행을 위해 일정량의 콜레스테롤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우리의 몸안에는 완전히 음식물의 섭취에 의한 공급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필요에 따라 체조직의 온전한 기능수행을 위해 즉시 이용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콜레스테롤이 존재한다. 따라서 체내에서 자체적으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은 음식물을 통해 흡수되는 양보다 일반적으로 훨씬 높다. 매일 우리의 체내에서는 약 1,500mg 정도의 콜레스테롤이 합성되는데, 주로 간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소장세포에서도 일부 합성이 이루어진다. 식단(食單)의 구성에 따라 물론 차이는 있으나, 우리가 매일 음식물을 통해 섭취하는 콜레스테롤의 양은 평균 300~700mg 정도이다 .이중 소장을 통해 흡수될 수 있는 양은 50% 정도에 불과하여 대부분 식사를 통해 흡수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은 실제적인 의미에서 그리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건강한 사람은 혈액내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항상 정상적인 범위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기능적인 체내 Feed-back 기작을 유지하고 있다. 음식물을 통한 식이(食餌)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이 많을 경우에는 이 물질의 장관(腸管)내 흡수율이 낮아지고, 체내 콜레스테롤의 합성량 역시 저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대부분의 건강한 사람은 음식물을 통한 많은 양의 식이 콜레스테롤 섭취에 대해 효율적으로 보상하는 체내기작을 갖게 되어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필요 이상 높아지는 것을 막게 된다. 물로 s이러한 보상작용(補償作用)은 사람에 따라 일정하지는 않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건강한 사람들의 약 60%정도는 하루에 3개 정도의 달걀에 포함되어 있는 양 정도의 콜레스테롤을 추가적으로 보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데, 이는 달걀 이외의 음식물에서도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양을 감안할 때 하루 총 1,000~1,500mg에 해당하는 양이다. 뿐만 아니라 이중 일부 사람들은 일반적인 식단 하에서 6개의 달걀을 추가하여 섭취하여도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아지지 않는다고 한다. 여러 나라에서 아직도 일률적으로 권장되는, 음식물을 통한 일당 콜레스테롤 섭취량을 최고 300mg으로 제한해야 한다는 것은 건강인에 있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생리적인 피이드-백 기작으로 말미암아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키지 못하거나 미미한 정도에 불과하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정상적인 범위인 180~240 mg/dl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건강인에게도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된 달걀이나 기타 축산물을 이용한 식품의 지속적인 섭취를 적극 피하도록 권장하는 것은 국민보건상 별로 큰 위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로 말미암아 국민 건강상 문제점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연구보고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동물성 콜레스테롤 다량 함유식품인 달걀, 우유, 유제품 및 육류 등의 섭취를 꺼리게 되면 이들 식품들이 영양생리학상 매우 중요한 양질의 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중요한 필수 영양소의 공급상태를 뚜렷히 감소시키게 된다. 병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높은 사람은 관상성 심장병의 발병 내지는 심장경색에 의한 사망에 대한 통계학적 위험성이 증가된다. 고콜레스테롤 혈증(청, 중년층의 경우 260mg /dl 이상) 환자중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 음식물을 통한 다량의 콜레스테롤 섭취에 의해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아진 것이 아니고, 주로 유전적인 콜레스테롤 대사 결함에 그 원인이 있다고 한다. 이런 환자들의 경우에는 콜레스테롤 및 지방함량이 낮은 음식물만 계속적으로 섭취한다고해서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만족할만한 정도까지 낮출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주로 의학적 약물투여에 의한 치료법을 적용한다. 식이성 고콜레스테롤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에 있어서는 음식물의 섭취방법을 조절해 줄 필요가 있는데, 가장 효과적인 식이요법은 체중을 정상적인 수준으로 조절하는데 있다. 이러한 환자의 경우는 지방을 통한 열량 섭취량을 총열량의 30% 정도 수준까지 감소시키는 것이 좋으며, 팔미틴산의 함량이 높은 지방의 섭취는 가능하면 삼가는 것이 좋다. 단순 및 고도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지방의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한 포인트 정도 낮추는데 추가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단순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올리브 기름이 특히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대한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하는데, 이는 오로지 혈액내 LDL-Cholesterol을 감소시키는 작용에 기인한다. 이에 반해 고도 불포화지방산인 리놀산은 저밀도지단백질 부분 외에도 심장 보호성(心臟 保護性) HDL-부분까지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특수하게 리놀산을 강화시켜 제조한 마아가린이나 이와 유사한 기름을 이용한 리놀산 강화식품의 섭취는 이러한 이유 외에도 일정한 부작용이 알려져 있어 더 이상 강하게 추천되지 않고 있다. 만일 이러한 식이조절에도 불구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원하는 정도까지 떨어지지 않을 경우, 물론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최저로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을 꾸준히 시도해 봐야 하나 일반적으로 미미한 정도의 효과만을 가져온다. 유전 및 식이와 관계되는 사항 외에도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은 나이, 성별, 스포츠, 흡연, 스트레스 및 음주 등과 같은 요인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다. 물론 현재까지 과도하게 증가된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킴으로써 전체 국민의 사망률을 현저하게 낮추고 평균수명을 연장시켰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단독 식이 요법을 통한 해당 연구들이 현재까지 뚜렷한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약품의 투여로 심장경색 및 이로 인한 사망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는 보고는 여러 연구결과들에서 보여주고 있으나, 그대신 다른 질병 및 암에 의한 사망률 역시 동시에 증가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말미암아 콜레스테롤 저하요법에 있어서 본래의 치료목적 이외의 위험성에도 항상 주의해야할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주지해야 한다.

  • PDF

Binding of Iron by Vegetable Fiber (식이섬유의 철분결합력에 관한 in vitro 연구)

  • 계수경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3 no.4
    • /
    • pp.472-477
    • /
    • 1997
  • Iron was bound to neutral detergent fiber (NDF) obtained from 15 kinds of vegetables commonly consumed in Korea. Iron binding capacity of NDF ranged from 37.83% to 85.51%, and it increased as the pH increased and reached to the maximum at pH 7 in all vegetables. The amount of Fe bound to NDF increased as the Fe concentration increased.

  • PDF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Dietary Intake Status and Dental Caries in the Dept. of Dental Hygiene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식이섭취실태와 치아우식증과의 상관관계 연구)

  • Yoon, Mi-Sook;Jung, Eun-Ju;Youn, Hye-Jeo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2 no.2
    • /
    • pp.79-8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it as useful basic data for improving oral health and for developing educational guidelines, by surveying the intake frequency in cariogenic food and the dietary intake status in detergent food through dietary life diary of some female undergraduates, and by researching into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factor and dental caries. It allowed dietary life diary for 5 days to be recorded targeting female undergraduates for the Dept. of Dental Hygiene, selected dietary life diary of 66 people without omission of record, and used it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food intake status, it was indicated to be 12.82 for cariogenic food intake frequency, 256.36 for caries incidence available time and 8.32 for detergent food intake frequency. 2. As a result of surveying in order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cariogenic food intake frequency, detergent food intake frequency & cariogenic light-meal intake frequency and dental caries by dividing group with caries and group with non-caries, the group with caries was indicated to be a little higher than the group with non-caries.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n't indicated. 3. In the correlation between dietary intake status and dental caries, it was indicated that the more rise in cariogenic food intake frequency leads to the more rise in detergent food intake frequency and even in total light-meal intake frequency, but wasn't shown correlation with dental caries. In light of the above results, many limitations were indicated in finding and analyzing the dental caries incidence level and cause just with a method through surveying dietary intake. However, given the more in cariogenic food intake frequency and detergent food intake frequency, the possibility of dental caries incidence could be predicted.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Intervention between Calorie Restriction Diet and Food Selective Method according to Yin and Yang Constitution in Obese Woman (열량제한식과 체질식에 따른 비만 여성의 체중감량 효과)

  • Sim, Seon-Ha;Hur, Bons-Soo;Hong, Kyung Hee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28 no.2
    • /
    • pp.302-312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nstitutional diets in comparison with general low calorie diets in obese women. The subjects were 52 adult obese women that participated in a calorie restriction diet program (control group, n=16) or a constitutional diet program (experimental group, n=36) for 8 weeks.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lassified as negative (Yin) or positive (Yang) constitution. The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cused on the calorie restriction diet (300~400 kcal reduction per day) for the control group, whereas, for a constitutional diet without calorie restrictions was allow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Daily intakes of nutrient and food were assessed using a 24 hr recall method. Body measurements and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fter 8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eight, body fat, BMI,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Energy intake increased from 1,679.6 kcal to 1,810.6 kcal along with significant increase in protein, carbohydrate, fiber, calcium, phosphorus, iron, zinc,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B_2$, niacin and vitamin C in the experimental group. Calcium intake increased from 54.0% to 72.4% of DRI in the experimental group. Hemoglobi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but were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blood glucos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conclusion, consumption of a constitutional diet without calorie restrictions for 8 weeks was effective for weight reduction with improvement of blood glucose,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Effect of Exercise and Diet Control Program for Obese Children (비만아동을 위한 운동 및 식이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 오승호;김유섭;이성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2
    • /
    • pp.214-224
    • /
    • 1996
  • 본 연구는 비만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 및 식이 요법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8~12세의 비만아동(체지방 $36.1\pm1.3%)과$ $정상아동(18.9\pm1.3%)$ 각각 5명이었으며 3일간 실험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대조기간(Control : C)을 거친후 1주간은 운동은 부하하되 에너지는 제한하지 않는 운동기간(Exercise without energy deficit : EEN)와 다음 1주간은 비만아동만을 대상으로 운동부하와 동시에 에너지를 제한하는 에너지 제한 운동기간(Exercise with energy deficit : EED)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운동강도는 60~75%HRmax이었으며 에너지 제한량은 493kcal/day이었다. 각 실험 조건별 대사에너지 섭취량, 체중, 체성분, 체내 보유 에너지, 에너지 소비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체지방량은 생체 전기저항 지방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변 및 소변으로의 에너지 손실량으로부터 측정한 1일 평균 대사 에너지량(ME)은 정상아동이 대조기간(C) 및 운동기간(EEN)별로 각각 $1802\pm50kcal$$1771\pm72kcal이었고$ 비만아동이 대조기간(C) 및 운동기간(EEN) 및 에너지 제한 운동기간(EED)별로 각각 $2152\pm138kcal,$ $1861\pm138kcal$$1368\pm87kcal이었다.$ 대조기간(C)에 비만 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 대사에너지량(ME)이 높았으나 무지방조직(LBM) kg당 섭취량은 정상아동이 79kcal이며 비만아동이 70kcal로 오히려 비만아동의 경우가 낮았다. 대체로 운동에 의해 에너지 섭취량은 감소되었다. 동일한 운동 부하로 정상아동 및 비만아동의 체중은 각각 $1.00\pm0.20kg$$1.24\pm0.22kg씩$ 감소되어 정상아동에 비하여 비만아동의 체중감소가 더 많았다. 비만아동에서 에너지 제한(493kcal)으로 인한 체중감소량은 0.52kg이었고 체지방조직량(FM)은 0.46kg이었다. 운동기간(EEN)중 체성분 변동량으로부터 산출한 1일 1인당 체내 에너지 변동량은 정상아동이 1092kcal, 비만아동이 1270kcal 감소디어 비만아동의 에너지 소모량이 더 많았다. 비만아동에 있어 에너지제한 운동기간(EEN)에 정상아동이 $2863\pm58kcal,$ 비만아동이 $3131\pm158kcal이었으며,$ 에너지 제한 운동기간(EED)에 비만아동은 $3153\pm151kcal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본 실험에 적용한 운동 프로그램은 체중 감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나 일부 부지방조직(LBM)의 감소를 동반하는 것으로 보아 다소 운동 부하량이 과도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에너지 제한량(500kcal)은 체중감소에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이후 비만아동의 체중조절에 본 실험의 에너지제한 운동 프로그램중 운동 부하량만을 다소 줄여 적용하면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된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Eating Habits, Dietary Intake Patterns, and Nutrient Intakes Betwe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Atopic Dermatitis (일부 초등학생의 아토피피부염 유무에 따른 식습관, 식품섭취양상 및 영양소섭취상태 비교 연구)

  • Park, Nam-Suk;Jeon, Eu-Sun;Kim, Young-Nam;Cho, Kyung-Dong;Baek, Ok-Hee;Lee, Bog-Hie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11
    • /
    • pp.1543-1550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eating habits, dietary intake patterns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atopic dermatitis by questionnaire during July, 2008. A total 388 subjects of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 atopic group, n=65, NG: non-atopic group, n=323) in Seoul and Ulsan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and atopy-related food frequency. One-day 24 hour recall was collected to estimate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for food frequency analysis and by t-test for nutrient intakes. Atopy-related foods included milk, buckwheat, beef, pork, chicken, crab, egg, mackerel, peach, and tomato. From the findings, AG had a more irregular eating habit than NG (p<0.05). In case of food frequency, AG tended to consume more atopy-related foods than NG (p>0.05). The nutrient intakes of A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G (p<0.05), but only intake of animal iron in AG was higher than NG (p<0.05). NG consumed more protein than AG (p<0.05). Although milk was a noted hypersensitive allergic food, frequency and the amount of milk intak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In conclusion, atopic children had eaten more atopy-related foods and less nutrient intak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on good nutrition and guide atopic children and their parents.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vitamin A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비타민 A)

  • Kim, Yuri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5 no.2
    • /
    • pp.201-210
    • /
    • 2022
  • Vitamin A (Vit A) is a lipid-soluble vitamin required for diverse normal body functions, including good vision, reproduction, growth, development, and cellular differentiati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Vit A have been demonstrated for the treatments of inflammation, low immunity, and cancer. The present review discusses the scientific evidence for establishing the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 for Vit A, issues caused by unit change of Vit A, and suggestions for the 2025 KDRI revision. Due to the changes in the standard bodyweight observed in several age groups, the 2020 KDRI had minor revisions as compared to the 2015 KDRI. In the 2015 KDRI, the Vit A unit has changed from retinol equivalent (RE) to retinol activity equivalent (RAE) and the activity of carotenoids became half with RAE compared to RE due to this unit change. Since the Vit A intake of Koreans relies heavily on plant-based carotenoids, the dietary intake of Vit A in Koreans a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RAE was much lower than values obtained with RE. The analysis for Vit A intake by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nly reflects intakes of retinol and beta-carotene.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include the consumption of other provitamin A, such as alpha-carotene and beta-cryptoxanthin. Moreover, assessing the amounts of Vit A in foods should be customized to Korean diets since there are seasonal variations in the carotenoid concentration of plants. Moreover, other factors such as age- and sex-specific intake data and considerations of baseline micronutrient status, body mass index, and dietary patterns should be considered for developing more precise KDRI. In particular, the Vit A requirement needs to be met by consuming diverse foods, including animal foods.

Effects of Fasting-refeeding on Rat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Activity and Lipogenesis : Influence of Food Restriction during Refeeding (절식-재급여가 흰쥐 지방조직의 Lipoprotein Lipaseghkf성과 지방합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재급여시 식이섭취 제한효과)

  • 이재준;정정수;김진걸;최병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3
    • /
    • pp.471-478
    • /
    • 2000
  • 본 연구는 절식 및 재급여가 Sprague-Dawley 계통 수컷 흰쥐(55마리)의 지방조직내 LPL 활성과 지방합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아울러 재급여하는 동안 다양한 식이섭취 제한이 LPLghkf성과 지방합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도 조사하였다. 대조군(5마리)은 무제한 식이를 급여하였으며 실험 첫날 식이섭취 상태에서 바로 희생시켰으며, 그 외의 모든 쥐는 2일간 절식시켰다. 2일 절식 후 그중 5마리의 쥐를 희생하여 절식군으로 두었으며, 나머지 쥐(45마리)는 절식 후 식이를 재급여하였는데, 이때 재급여하는 동안 식이섭취 제한 효과를 보기 위해 ad libitum group, 20% food restricted group(ad libitum group의 80%) 및 40% food restricted group(ad libitum group의 60%)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재급여 후 7일, 14일 및 21일 째 되는 날 각각 희생하였다. 지방조직의 지방합성은 포도당이 총 지방으로 변한 양으로 측정하였다. 체중과 지방조직의 무게는 재급여 후 ad libitum group은 5일만에, 20% food restricted group은 14일만에 대조군 수준에 도달하였다. 재급여시 40% food restricted group의 체중과 지방조직의 무게는 재급여 후 21일째가 되도록 대조군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식이 재급여 후 21일 때 ad libitum group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p<0.05). HDL-콜레스테롤함량은 재급여시 40% food restricted group가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p<0.05). 그러나 HDL-C/TC비율과 중성지방함량은 처리군간에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절식 후 지방조직내 지방합성량과 LPL(HR-LPL과 TE-LPL)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희 저하되었다. (p<0.05). 재급여 후 21일째 ad libitum group의 지방합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p<0.05). 그러나 40% food restricted group의 지방합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p<0.05). HR-LPL과 TE-LPLghkf성은 재급여시 ad libitum group과 20% food re-stricted group은 대조군 수준에 도달하였으나, 40% food restricted group은 재급여 후 21일째가 되도록 대조군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절식 후 식이를 재급여할 경우 식이섭취 제한은 LPLghkf성이 증가되는 것을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예방할 수 있으며, 지방 조직내 지방축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해 준다.

  • PDF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Assessment of Food·Nutrient Intakes among Adult Visitors of a Public Health Center in Korea (일부 보건소 내원자의 대사증후군 발현과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 Jeong, Won-Hoon;Jin, Bok-Hee;Hwang, Eu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1 no.2
    • /
    • pp.205-212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MS) and assess nutrient intake level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MS risk facto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12 adults consisting of 271 men and 241 women aged 30 and over, who visited a public health center for a medical check up. The diagnosis of MS subjects was adapted from the NCEP-ATPIII guidelines and the WHO Asia-Pacific Area criteria for obesity. The MS group was defined as subjects displaying three or more risk factors, and the non MS group was defined as those displaying two or less risk factors. A dietary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number of subjects displaying MS syndrome factors was 158 (30.9%), broken down into, 89 men and 69 women. Regarding risk factors in the MS group, the prevalence of waist circumference was 40.5%, hypertension 34.2%, hyperglycemia 31.0%, low HDL-cholesterol 24.7%, and hypertriglycemia 19.6%. BMI, sistolic blood pressure, blood glocose, blood triglyceride, and blood HCL-cholesterol of the M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non MS group. Male subjects in the MS group reported high intakes of cereals, sugar, fruits, meat and poultry, oil and fats, and beverages and total food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non MS group. Women in the MS group reported high intakes of meat and poultry, milk and dairy products, beverages, and seasonings, and total food intake was higher compared to the non MS group. Dietary diversity score (DDS) was 3.82~4.04, which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groups. In men, dietary variety score (DVS) was 16.3 in the MS group and 19.4 in the non MS group, whereas in women, the DVS was 15.2 in the non MS group and 17.0 in the MS group. In GMVDF pattern, 11111 pattern was 30.7%, followed by 01111 for men and 11101 for women. Calorie, fat, and cholesterol intakes in men as well as, calorie, fat, and folate intakes in women in the MS group were higher compared to the non MS group. Intakes of protein, P, Fe, Na, vitamin $B_1$, vitamin $B_2$, niacin, vitamin E, and Zn were higher than the KDRIs. On the other hand, intakes of Ca, K, fiber, vitamin $B_2$, and vitamin C were below the KDRIs. Intakes of lipids, animal food, Na, and cholesterol in the MS group were higher compared to the non MS group, whereas intake of dietary fiber was lower. Our results indicate that continuous, systematic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must implemented to reduc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S.

The Changes of Dietary Intakes in the Defectors from North Korea (탈북 귀순자들의 영양소 섭취변화에 관한 연구)

  • 조여원;홍주영;임정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v.2 no.4
    • /
    • pp.470-476
    • /
    • 1997
  • 본 연구는 북한 식량사정의 실상과 탈북자들의 북한에서의 영양상태 및 남한에서의 정착 후 영양섭취 변화와 이에 따른 건강상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탈북한 일가족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탈북직후와 4개월 후 의료기관에서 검진한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이들의 체위는 남한의 평균 체위보다 매우 왜소하였으며. 4개월동안 평균 4.5kg 정도의 체중이 증가하였다. 이들의 식생활은 북한에서 주로 감자, 강냉이밥, 강냉이로 만든 국수, 산나물등 식물성 식품위주의 식사였으나 남한에서는 동물성 식품의 섭취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북에서 이들의 평균 열량섭취량은 한국인 영양권장량에 비교할 때 50% 정도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남한에서도 열량섭취는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양소의 섭취는 북한과 비교할 때 남한에서 증가를 보였고, 특히 콜레스테롤 섭취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탈북직후의 이들 혈중 알부민, 포토당,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농도는 대부분 정상이었으며, 혈액의 지질농도도 정상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북한 식량난은 더욱 심각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나 이들의 거주할 당시의 북한에서는 하루 2끼 식사에 강냉이를 주로 하는밥이나 죽, 그리고 나물 등을 주로 먹은 것으로 나타났다. 명절은 김일성 생일, 김정일 생일, 8.15해방절, 조국 해방전쟁 승리일등이 있고, 이런 명절에서는 설탕, 밀가루등 특별배급이 추가되나 특별한 명절음식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북한에는 양념이 매우 귀하며, 특히 고춧가루가 귀해서 주로 백김치를 담가서 먹고 있었다. 현재 북한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쌀, 잡곡류, 고기 그리고 참깨 등의 양념류와 의약품 및 비누 등을 제시하였다. 현재 자료수집이 극도로 제한된 상황에서 북한 주민들의 정확한 식이섭취 상태와 영양상태 판정은 불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가 극히 소수이고, 실제로 이들이 북한에서 소외된 계층이었으므로 본 연구결과가 북한의 사정을 정확히 대표한다고 할 수는 없으나 이들의 조사가 앞으로 북한주민의 영양상태를 판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앞으로 통일에 대비하여 북한 주민들의 식생활의 양상과 정확한 영양상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