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세포

검색결과 1,265건 처리시간 0.031초

식도내 천공을 합병한 식도중복증 1례 (Esophageal Duplication Complicated with Perforation)

  • 구본원;허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1호
    • /
    • pp.925-928
    • /
    • 2000
  • 식도 중복증은 매우 희귀한 식도의 양성종양으로 증상 발현도 매우 드문 질병이다. 이 질병은 태생 6주에 소화기 내강이 상피세표의 증식으로 막히게 되고 세포벽에 공포가 생겨 점차 합쳐 장의 긴축을 따라서 길게 배열되는 과정에서, 공포가 독립적으로 나타나 다른 내강을 형성하여 발생한다. 본원 흉부 외과에서는 식도 내강으로 천공된, 식도중부 및 하부에 걸쳐 발생한 관상의 식도 중복증을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과학기술계 소식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5호통권444호
    • /
    • pp.111-115
    • /
    • 2006
  • 국립과학관 기공식 가져/ 과기인 500명, 계룡산서 '과학기술인 한마음 등산대회' 열어/ 외국인 고급 과학기술인력 국내 체류 절차 간소화/ 「세계 3대 과학저널이 주목한 한국인 과학자 53인」발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종합관리체계 만든다/ 범부처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 연구 중간발표/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 개소식/ '차세대 자기공명장치' 가동/ 지재권 연구 전담할 'R&D 특허센터' 문 열어/ '핵융합연구센터' 현판식/ 'KIST 강릉분원' 준공식/ '2006년도 신규 국가지정연구실 선정 발표

  • PDF

농어 (Lateolabrax japonicus) 피부계 지지세포와 선세포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the Integumentary Supporting Cell and Gland Cell of the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Teleostei: Moronidae))

  • 이정식;김재원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417-426
    • /
    • 1999
  • 농어의 피부는 크게 상피층과 진피층으로 구분된다. 상피층은 지지세포와 단세포선들로 구성된다. 지지세포는 표면세포, 중간세포 및 기저세포로 구분된다. 선세포는 점액분비세포와 곤봉상세포로 구분되는데, 이들의 분포밀도는 곤봉상세포가 더 높다. 표면세포는 편평형 또는 입방형이며 세포질에는 조면소포체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microridge가 뚜렷하다. 표면세포들은 membrane interdigitation구조와 부착반에 의해서 다른 세포들과 연결되어 있다. 중간세포는 난형이며, 전자밀도는 다른 지지세포 보다 높다. 기저세포는 입방형이며, 세포소기관의 가운데 미토콘드리아의 발달이 현저하며, membrane interdigitation 구조들이 발달되어 있다. 점액분비세포는 막으로 싸인 다수의 분비과립들을 함유한다. 곤봉상세포의 세포질은 수질부와 피질부로 구분되는데, 수질부에서는 핵, 세포소기관, 중심공포가 관찰되며, 피질부에서는 발달된 장미세섬유들이 관찰된다. 곤봉상세포들은 잘 발달된 membrane interdigitation구조와 부착반에 의해서 다른 세포들과 연계되어 있다.

  • PDF

식이 폴리페놀 성분 resveratrol과 일반의약품의 복합처리에 의한 간 및 장관계 세포독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ytotoxic Effects of Resveratrol Treatment with Over-the-counter Drugs on the Hepatic and Intestinal Cells)

  • 김다람;김미리;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17-22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널리 섭취되는 식이 폴리페놀 화합물인 resveratrol과 일반의약품 성분 AAP, Asp 및 Ibu와의 혼용 시 일어날 수 있는 상호작용에 의한 세포독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Resveratrol은 장관계 HCT 116 세포와 간 HepG2 세포에 농도의존적인 세포활성 감소를 초래하였고 각각 113.8 및 $135.7\;{\mu}M$$IC_{50}$ 수치를 보였다. 농도별 resveratrol과 AAP, Asp 또는 Ibu를 각 세포에 24시간 복합투여하였을 때 일부 유의적인 resvertrol 독성의 감소나 증가가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10% 이내의 미미한 변화를 보였다. AAP, Asp 및 Ibu의 고농도 처리시 발생하는 세포독성에 대한 resveratrol의 효과를 HepG2 세포와 IEC-6 정상장관계 세포에서 비교하였을 때 현저한 약물 독성의 변화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HepG2 세포에 저농도의 resveratrol을 48, 72시간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인 세포증식 촉진효과가 나타났으나, AAP와 복합투여시 그 효과는 소멸되었다. 한편 일반의약품 성분과 resveratrol을 각각 순서를 달리하여 전후로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에도 현저한 독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Resveratrol과 빈번히 복용되는 일반의약품 AAP, Asp, Ibu를 여러 조합에 의해 복합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한 결과,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두드러진 독성발현 및 활성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피부 상피층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n the Integumentary Epidermis of the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Teleostei: Pleuronectidae))

  • 이정식;강주찬;백혜자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303-310
    • /
    • 2000
  • 문치가자미의 피부 상피층은 지지세포, 선세포 그리고 부속세포들로 구성된다. 지지세포는 표면세포, 중간세포 및 기저세포로 구분된다. 지지세포들의 세포질은 공통적으로 피질부와 수질부로 나누어지는때, 수질부에는 세포 소기관의 발달이 현저하며, 피질부에는 미세섬유의 발달이 뚜렷하다. 선세포들은 상피의 표면층과 중간층에 존재한다. 점액세포의 세포질은 AB-PAS에 청색으로 반응하였다. 곤봉방세포는 세포질에 원형의 중심공포와 발달된 미세섬유들을 가진다. 과립세포는 주로 중간층과 기저층에 존재하고, 세포질의 대부분은 막을 가진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들이 차지한다. 염세포는 주로 표층에 위치하며, 세포질의 대부분은 잘 발달된 미토콘드리아들이 차지한다. 색소세포는 세포질에 존재하는 함유물의 전자밀도에 따라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 PDF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피부상피층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n the Integumentary Epidermis of the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Teleostei: Pleuronectidae))

  • 김재원;진평;진영국;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2호
    • /
    • pp.121-129
    • /
    • 2002
  • 넙치의 피부 상피층은 지지세포, 선세포와 부속세포들로 구성된다. 지지세포는 표면세포, 중간세포 및 기저세포로 구분된다. 선세포는 점액세포와 곤봉상세포, 부속세포는 염세포가 관찰된다. 표면세포는 편평형 또는 입방형이며 미융기들이 잘 발달되어 있다. 지지세포는 menbrane interdigitation구조와 부착반에 의해서 다른 세포들과 잘 연결되어 있고 세포질 피질부에 당김세사가 잘 발달되어 있다. 점액세포는 타원형으로 중성다당류의 점액을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곤봉상세포는 세포질에 많은 액포와 미세섬유다발을 관찰할 수 있다. 부속세포인 염세포 세포질의 대부분이 미토콘드리아로 가득 채워져 있다.

아무르장지뱀의 위장관 내분비세포에 관한 조직화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endocrin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Amur lizard (Takydromus amurensis))

  • 이형식;이말순;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7-73
    • /
    • 1995
  • 아무르장지뱀(Takydromus amurensis)의 위장관 점막에 분포하는 내분비세포의 분포와 출현빈도 및 세포의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몇가지 도은법 및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Grimelius법에만 염색된 은호성세포(argyrophil cell)는 유문부에 다수로 십이지장에 중등도로 국한되어 출현하였다. 한편 bovine CG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에서 최고의 빈도로 전장관에 걸쳐 분포하였다. BPP면역반응세포는 소장부위에서만 동정되었다. 따라서 아무르장지뱀의 위장관 내분비세포에서 은호성세포와 bovine CG면역반응세포는 분포와 출현빈도에서 일치하지 않았다.

  • PDF

원위 요골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의 일괄 절제 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삽입물을 이용한 재건술 - 증례보고 - (Reconstruction of Distal Radius Using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Liner after Excision of Giant Cell Tumor - A Case Report -)

  • 전대근;송원석;오정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9-33
    • /
    • 2004
  • 원위 요골의 거대 세포종은 빈도가 많지는 않다. 통상적으로 골 소파술 및 골 시멘트 충전술로 치료하지만, 재발한 경우나 처음부터 골피질 파괴가 심하고 관절 침범이 있을 경우에는 일괄 절제(en bloc resection) 후 근위 비골을 이용하여 재건하는 술 식이 많이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고식적 술 식으로 치료한 후 국소 재발한 원위 요골의 거대 세포종 환자에서, 근위 비골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여도 일차 술 식 시 오염의 범위가 심하여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높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과 골수강내 고정물 및 골 시멘트를 조합하여 원위 요골을 재건한 1례를 보고 하고자 한다.

  • PDF

마우스 림프구증식과 GM-CSF생성에 미치는 Berberine의 효과 (Effects of Berberine on Lymphocyte Proliferation and GM-CSF Production in Mice.)

  • 김은영;노민희;정양숙;김형수;김광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94-69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berberine이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위하여 림프구증식과 GM-CSF생성을 보고자 하였다. 마우스 비장세포에 berberine을 작용시켰을 때 저농도에서 세포성장을 촉진함으로서 림프구증식에 자극제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GM-CSF의 생성은 berberine 단독처리에 의해서 증가됨으로서 GM-CSF생성의 증가로 인한 세포성 면역반응의 상승이 예상되고 LPS나 Con A에 의한 GM-CSF의 생성을 저해함으로서 과도한 GM-CSF생성을 중간에서 차단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앞으로의 추가적인 연구결과들이 있게 되면 임상에서의 면역요법과 항염증작용에 berberine이 이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겠다.

식도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Cyclin B1, p53의 발현과 예후 (Prognostic Significance of Cyclin B1 and p53 Expression in Patient with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김치학;조봉균;천봉권;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952-960
    • /
    • 2003
  • p53은 cyclin Bl을 통해 세포주기 중 G2-M checkpoint 이행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p53이 여러 종류의 악성종양의 생성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암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도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세포주기 조절인자인 cyclin Bl과 p53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46예의 식도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채취한 정상 편평상피, 이형성 조직과 암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이용하여 cyclin Bl과 p53의 발현을 조사하고 임상병리학적인 인자 및 생존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상피의 기저층에 있는 몇 개의 세포들에서 cyclin Bl이 발현되었다. Cyclin Bl 양성세포의 범위는 이형성증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증가하였다. Cyclin Bl의 양성율은 41.3% (19예/46예)였고 p53의 양성 발현율은 58.7% (27예/46예)였다. 임상병리학적 인자들 중 병기(p<0.05), 식도 주위 림프절 전이(p=0.05), 림프혈관 침범(p<0.05)만이 cyclin Bl의 발현과 관련이 있었고 단변량분석과 다변량분석에서 cyclin Bl의 발현은 예후불량과 관련이 있었다. p53의 발현은 cyclin Bl의 발현과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 예후와는 무관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cyclin Bl은 식도암의 생성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고 식도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cyclin Bl의 발현은 불량한 예후를 나타내며 술 후 보강 항암요법을 시행함으로써 생존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