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피복도

Search Result 37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Hydrophysical effect of vegetation cover factors on soil erosion (토양침식에 대한 식생피복 인자의 수문물리적 영향)

  • Seung Sook Shin;Sang Deog Park;Sang Jin S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3-343
    • /
    • 2023
  • 식생피복(Vegetation cover)은 대기 중의 강우와 토양 사이에서 침식으로부터 표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자유 낙하하는 강우의 물방울은 식생을 통과하면서 차단(interception), 수관통과(throughfall), 수간유하(stemflow)의 형태로 변화한다. 식생은 강우입자의 운동에너지와 수량을 감소시키고, 지표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지표유출(overland flow) 저감에 기여한다. 유출수의 흐름과정에서 식물의 줄기, 낙엽, 뿌리 등은 유속을 감소시키는 장애물로 작용하여 궁극적으로 토양침식은 감소한다. 토양침식은 식생피복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감소하며, 지수함수의 관계를 갖는다. 식생의 종류와 구조 그리고 잎의 모양 등에 따라 수문물리적인 반응이 달라진다. 캐노피를 갖는 지상식물(canopy cover plant)은 물방울의 운동에너지를 갖는 반면, 지피식물(ground cover plant)은 낙하고가 작기 때문에 운동에너지는 적으며, 특히 낙엽층은 지표면을 보호하여 토양침식의 저감효과가 더욱 크다. 산불지역의 식생피복에 따른 토양침식 측정 자료에 따르면, 강우운동에너지는 식생피복이 증가함에 따라 지상피복(canopy cover)에 의한 감소보다는 지면피복(ground cover)과 낙엽피복(litter cover)에 의한 감소효과가 상대적으로 컸다. 식생피복에 의해 차단되는 강우의 손실량보다 침투량 증가에 의한 손실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낙엽피복에 대한 강우모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낙엽의 피복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토양침식량은 감소하였다. 낙엽 피복율의 40% 이상은 토양침식량을 현격이 감소시킨 반면, 피복율의 70% 이상은 지표유출량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낙엽 피복율이 70%이상이면, 유출계수가 33%가 감소하였으나, 토양침식민감도는 94%로 크게 감소하였다.

  • PDF

A Study on Restoration Measures of Vegetation for Devastated Ridge Line Area in National Park, Korea (국립공원 능선부 훼손지 식생복원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 정승준;오구균;오장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1
    • /
    • pp.69-78
    • /
    • 2001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훼손지에서 식생복원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야생풀포기심기, 개량토포설, 환경피해도 요인을 고려하여 입지환경이 다른 2개 대상지에 실험구를 설치한 후 4년(1997년~2000년) 동안 식생피복도와 종다양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신림지대와 초원지대에서의 복원실험은 야생풀포기이식, 개량토포설, 환경피해도 요인간 상호작용효과는 없었으나, 야생풀포기이식 처리수준간에는 고도의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국립공원 능선부 훼손지의 식생복원 실험 결과 토양이 습한 산림지대에서는 야생풀포기이식 15%피복 처리수준에서 2년안에 식생피복이 이루어졌고, 종다양성은 3년만에 복원되었다. 또한 무처리구에서 3년안에 식생피복이 이루어졌으나, 종다양성은 복원되지 않았다. 바람이 많고, 토양침식이 심한 능선부 초원지대에서는 3년후에 야행풀포기이식과 30% 피복 처리수준에서 식생피복이 양호하게 이루어졌으며, 종다양성은 복원되지 않았다.

  • PDF

Analysis of Vegetation Cover Fraction on Landsat OLI using NDVI (Landsat 8 OLI영상의 NDVI를 이용한 식생피복지수 분석)

  • Choi, Seokkeun;Lee, Soungki;Wang, Bai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2 no.1
    • /
    • pp.9-17
    • /
    • 2014
  • The Vegetation cover is a significant factor to comprehend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surface for meterological and hydrological models, which measure energy in the atmosphere or predict the runoff of ground surface. Deardorff introduced vegetation cover fraction to quantitatively comprehend the vegetation cover in 1978. After Deardorff, most of previous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low-resolution or high-resolution images, but only few researches on Landsat that are in medium-resolution ima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way of calculating the vegetation cover fraction by using NDVI of Landsat images, which were hardly handled previously. For accurate vegetation cover fraction, we compared the evaluated parameters from this study with past vegetation cover fraction parameters that have been calculated for using NDVI of Landsat OLI images. The result of research was shown that NDVI is quite correlated with the vegetation fraction cover in the previous researches. In fact, RMSE of vegetation cover fraction values that obtained through the suggested parameters on this study showed the highest accuracy of 7.3% among all the cases.

A Study to Develop Monthly C Factor Database for Monthly Soil Loss Estimation (월단위 토양유실량 산정을 위한 식생피복인자 산정 방안 연구)

  • Sung, Yunsoo;Kum, Donghyuk;Lim, kyoung Jae;Kim, Jonggun;Park, Youn 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79-279
    • /
    • 2017
  • 토양유실로 인해 발생된 토사는 강우 유출수와 함께 하류로 흘러들어 하천 및 호소의 탁수문제를 야기시킨다. 토양유실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역 내 토지이용현황과 피복되어 있는 작물 등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유역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유역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므로 토양유실량 산정 및 유사거동특성을 계산하는 모형을 활용한 연구가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 모형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범용토양유실량산정공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은 5개의 인자를 사용하여 연평균 토양유실량을 산정한다. 국내의 경우 환경부에서 제정한 '표토의 침식 현황 조사에 관한 고시'에 표토침식현황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USLE 공식을 사용한다. USLE 모형을 구성하는 인자 중 식생피복인자는 작물의 생육과정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작물에 대한 획일적인 값을 제시하고 있어 밭에서 발생되는 정확한 토양유실현황을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하는 USLE 모형의 구성인자인 식생피복인자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이를 유역별 월단위 인자값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의 4대상 유역 중 대청호 유역, 소양호 유역, 주암호 유역, 임하호 유역을 선정하여 각 유역의 기후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식생피복인자를 제안하였다. 월단위 식생피복인자를 제안하기 위해 SWAT모형을 사용하여 일단위 식생피복인자를 출력하도록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구축된 인자의 지역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4대강 유역에 대한 작물 재배일정을 조사하여 모형에 반영하여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산정된 월단위 식생피복 인자는 모든 작물에 대해 작물이 파종되는 시점에서 수확되기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작물에 따라서 그리고 동일한 작물일지라도 유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월단위 식생피복인자는 토양유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표피복변화를 고려한 식생피복인자로써 정확한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 for Future Vegetation Information Using NOAA AVHRR Image and Weather Data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NOAA AVHRR 위성영상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기상자료를 이용한 미래 식생정보 예측 기법 개발)

  • Ha, Rim;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62-168
    • /
    • 2007
  • 기후변화는 강수유형, 기온상승과 일사량의 변화로 인한 증발산량의 변화, 유역 식생피복변화로 인한 지표-대기 관계의 변화와 같은 현상을 통해 지역 부존 수자원과 유출량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지표면의 76%를 차지하고 있는 식생피복은 지표와 대기 사이의 물 순환과정에서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넓은 지역에 대한 식생피복의 파악이 용이한 NOAA 위성의 AVHRR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센서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규화 식생지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를 통하여 현 식생정보를 정량화하였다. 이로부터 토지피복별 NDVI와 기상인자(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풍속, 습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기상인자로 부터 토지피복에 따른 미래 NDVI를 추정하였다.

  • PDF

Utility of Separable Evaluation of the Vegetation Cover Rates and Vegetation Vigor Using Spectral Reflectance (분광반사 특성을 이용한 식생피복율과 활력도 분리평가의 효용성)

  • Choi, Seung-Pil;Park, Jong-Sun;Kim, Hy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3 no.4
    • /
    • pp.393-399
    • /
    • 2005
  • Since vegetations are near the wavelength range in 700nm and have absorbent as well as reflective wavelength ranges, there is a much difference in terms of its reflection rate. There are currently many researches on vegetation index being conducted in order to apply the remote-sensing technology to vegetations rising their characteristics of absorbent and reflective wavelength ranges.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Perpendicular Vegetation Index (PVI) have been most commonly used. It is usually the evaporation, carbon-dioxide consumption, and chlorophyll density that represent the activity of vegetation, but chlorophyll density is the most commonly used among them. Since the red wavelength range used to obtain the NDVI and PVI has a strong extinction of chlorophyll, it is also useful to test chlorophyll density. The NDVI, in particular, is used to identify the vegetation conditions summarily, and thus, is suitable for initiative researches. Nevertheless, since these vegetation index produce mixed information of the Vegetation vigor and vegetation cover, it is essential to monitor a wavelength range that is independent from redundancy of the Vegetation vigor and vegetation cover. Although many vegetation indices have evaluated both the vegetation vigor and Vegetation cover simultaneously, this research intends to emphasize the utility of separable evaluations of the Vegetation vigor and Vegetation Cover rate through an experiment with grasses. As a result of evaluating vegetation index using spectral reflectance, a separable evaluation of the vegetation vigor and cover has been found more useful.

A Study 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NDVI with Land-Cover change in City of Sungnam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식생지수(NDVI)분포 및 변화에 관한 연구: 성남시를 중심으로)

  • 성효현;박옥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8 no.2
    • /
    • pp.275-28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the NDVI change pattern and landcover change pattern in the City of Sungnam during 1985 and 199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DVI of the level 6 and 7 is decreased and the level 5 is increased in the area where Forst area changed to the other land cover during 1985 and 1996. (2) In the area where Agricultural-Pasture changed to forest, NDVI level became higher certainly during that time. But in the area where there has been changed from Agricultural-Pasture to Urban or built-up, Agricultural-Pasture to Barren land, the level of NDVI is decreased. (3) In the Urban or built-up to other land, or built-up the level of NDVI is increased. (4) In the area where Barren land changed to other land cover, the level of NDVI is increased.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Field Surveying Vegetation Data and NDVI from KOMPSAT-2 Satellite Imagery (KOMPSAT-2 위성영상을 이용한 정규식생지수와 현장식생 자료의 비교분석)

  • Kim, Gi-Hong;Lee, Jong-Seol;Jung, Jae-Hak;Won, Sang-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4
    • /
    • pp.405-411
    • /
    • 2011
  • In this study we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KOMPSAT-2 NOVI and vegetation coverage(VC) which is investigated by fieldwork. To standardize KOMPSAT-2 NOVI, we adjusted NOVI using reference data which is atmospheric corrected MODIS NDVI. Each vegetation coverage point data was surveyed in field using portable GPS and compared with NDVI of satellite imagery. As a results, there was high level of correlation in vegetation coverage and NOVI.

Improvement of Land Cover over Asian region via Comparison of the Land Cover Data Sets (지면피복 자료들의 비교연구를 통한 아시아지역 지면피복 자료 개선)

  • Kang, Jeon-Ho;Suh, Myoung-Seok;Kwak, Chong-Heum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49-54
    • /
    • 2007
  • 고분해능복사계(AVHRR) 자료로부터 산출한 아시아지역 지면피복 분류자료들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International Geosphere Biosphere Programme: IGBP, University of Maryland: UMd)의 분류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하여 이 지역에 대한 지면피복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서로 다른 지면피복 분류 자료들의 비교를 위하여 지도 투영법을 일치시켰으며 지면피복 정의가 유사한 유형들만 비교하였다. 세 지면피복 자료에서 분류가 모두 일치하는 비율은 33.57%이고 3 자료 중 두 자료에서 분류가 일치하는 비율은 49.69%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나대지(사막), 도시 및 혼합림과 같이 식생의 생물리적 특성이 뚜렷한 유형들에서는 분류의 일치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농지, 낙엽활엽수림, 및 낙엽침엽수렴과 같이 식생의 생물리적 특성이 유사한 유형에서는 일치율이 낮게 나타났다. 분류에 사용된 기본 입력자료수, 지면피복 유형수,분류기법 및 입력 자료의 전처리 수준 등이 지면피복 분류 결과에 차이를 유발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면피복 자료들의 비교결과와 각 유형별 식생지수의 평균 계절변동 특성을 이용하여 이 지역에 대한 지면피복 분류자료를 보완하였다.

  • PDF

전남 이양-능주간 국도변 비탈면녹화 설계 및 시공 잠정지침 적용 사례연구

  • Park, Bong-Ju;No,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551-553
    • /
    • 2008
  • 식생피복율, 병충해, 출현종수 등의 항목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리핑암과 발파암에서는 녹화공법 C와 녹화공법 C-1이 가장 높은 식생피복율을 보였다. 절토부의 경우에는 녹화공법 D의 식생피복율 녹화공법 E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토부의 경우에는 녹화공법 D가 녹화공법 F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본종의 출현종수는 암지역(리핑암, 발파암), 토사지역(절토부, 성토부)에 적용한 모든 녹화공법에서 상급으로 평가되었으나, 전체종의 출현종수의 비율에 있어서는 다소의 차이가 나타났다. 식생기반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에서 토사지역 절토부의 녹화공법 E와 성토부의 녹화 공법 D의 경우는 토양경도가 다른 공법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암지역의 리핑암과 발파암에 사용된 모든 공법은 토양산도와 토양경도가 식물의 근계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이내로 조사되었다. 리핑암과 발파암에 적용된 각 공법의 경우 식생상태가 양호하였으며, 향후 주변 지역의 자연식생의 침입과 천이과정을 거치면서 식생상태가 역시 정상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토사지역의 절토부와 성토부에서는 중간 정도의 식생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향후 주변의 산림지역으로부터의 식생 구성종의 침투로 인해 식생천이가 역동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