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화석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백악기 영동층군에서 산출된 구과류 화석의 특징과 고기후적 의미

  • Seo Ji-Hye;Kim Jong-H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239-244
    • /
    • 2006
  • 충청북도 영동 지역에 분포하는 영동층군은 옥천변성대에 있는 소규모 퇴적분지중의 하나이다. 영동층군의 지질과 고생물에 관한 연구는 옥천변성대의 조구조운동과 관련한 퇴적분지 발달 규명과 아울러 경상분지와의 상호대비가 가능케 함으로써 이 시기의 한반도의 지질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김규봉 등, 1986). 영동층군의 층서고생물학적 연구는 김규봉 등(1986), 전희영 등(1993), 최성자 등(1995)등의 연구가 있다. Shimamura (1927)는 영동층군에서 케이로레피드과(Cherolepidiaceae)에 속하는 식물화석의 산출을 처음 보고하였다. 이후 전희영 등(1993), 최성자 등(1995)이 영동층군에서 케이로레피드과에 속하는 식물화석을 다시 보고함으로써 영동층군에서 식물화석이 많이 산출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화석의 연구에 중점을 두고 야외지질조사를 통하여 영동층군의 기존 화석산지와 새로운 화석산지로부터 많은 식물 화석을 채집하였다. 식물 화석은 모두 인상화석으로 보존되었으며 세일층의 층리면에 평행하게 밀집된 상태로 나타나지만 대부분 파편상으로 나타난다. 식물화석은 고환경이나 고생태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과거의 기후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시자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케이로레피드과의 식물은 백악기의 대표적인 고기후의 지시자로서 잘 알려져 있다. 케이로레피드과의 식물은 분류상 구과류에 속하며 백악기에 걸쳐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는 화석이다. 본 연구는 영동층군에서 산출된 구과류 화석을 대상으로 고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산출화석의 특징을 기재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산출화석의 고식물학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산출 화석의 특징과 지질학적 특징을 통해 중생대 백악기 영동지역의 고기후를 해석함으로써 고기후적 및 고생태학적 의미를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에서는 시스템 등급에 영향을 준다. 향후에는 더욱 더 다양한 상호의존 모델들이 정량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진행하였다. 줄여서 보다 더 정확하고, 지능적인 규칙구성요소 추출 방법론을 제시하고 구현하여 지식관리자의 규칙습득에 대한 부담을 줄여 주고자 한다.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을 거치도록 되어있다. 교통주제도는 국가의 교통정책결정과 관련분야의 기초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ITS 노드/링크 기본지도로 활용되는 등 교통 분야의 중요한 지리정보로서 구축되고 있다..20{\pm}0.37L$, 72시간에 $1.33{\pm}0.3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F=6.153, P=0.004),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은 수술 후 72시간에서 실험군이 $1.90{\pm}0.61L$, 대조군이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20, P=0.01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40, P=0.016). 6) 대상자의 술 후 폐환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폐환기능의 차이를 보면, 실험군의 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48시간에 남자($1.78{\pm}0.61L$)가 여자($1.27{\pm}0.45L$)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t=2.170, P=0.042), 72시간에도 역시 남자($2.1

  • PDF

Diversity of Fossil Woods from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에서 산출된 화석목재의 다양성)

  • Kim, Jong-He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6 no.1
    • /
    • pp.51-58
    • /
    • 2015
  • In order to understand the broad outline and palaeobotanical significances, the fossil woods from the Korean Peninsula were integrat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s. Types and diversity of them are gradually increasing from Mesozoic to Cenozoic, especially increased sharply in Cenozoic. During the Early Mesozoic, six conifer taxa belonging to four genera were described, which corresponds to about 6% of the Daedong flora. Those of the Late Mesozoic are all conifers, consisting of fifteen taxa belonging to seven genera, which corresponds to about 29% of the Nakdong flora. During the Neogene, thirty four taxa belong to sixteen families were described. Those woods mostly consist of dicotyledon and have the greatest diversity compared to other geologic eras, which corresponds to about 83% of the Janggi flora. It is inferred that such a rapid increase of the silicified wood fossils in Neogene are due to the abundant presence of dicotyledon in floral composition and of pyroclastic rocks in strata, which are appropriate for preserving wood as fossils.

남포층군의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중생대 초기의 곤충화석

  • Nam, Gi-Su;Kim, Seok-Hwan;O, Gyeong-Seok;Lee, Jae-Seong;Kim, Jong-H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99-100
    • /
    • 2010
  • 충남 서부에 위치한 보령 지역은 트라이아스기 후기로 알려진 육성 기원의 남포층군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남포층군은 하부로부터 하조층, 아미산층, 조계리층, 백운사층 및 성주리층으로 구분된다. 남포층군에서 산출되는 화석의 대부분은 식물 화석이며, 기타 이매패 화석, 어류 화석, 곤충의 유충 화석, 패갑류(conchostracans) 등의 화석이 산출되고 있지만, 양적으로 극히 적다. 이들 화석 중에서 체계적으로 연구가 된 것은 식물 화석뿐이고, 나머지 화석들은 전문 연구가의 부재 등에 의해 극히 미미한 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번의 연구를 통해서 아미산층에서 채집된 곤충화석은 모두 107점이고, 그중에서 유충 화석이 94점, 날개 화석이 14점이다. 이들의 분류학적 연구 결과, 아미산층의 곤충화석군은 소시목, 강도래목, 날도래목,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바퀴벌레목, 벌목, 매미목을 비롯한 8목 11종에 이르는 유시류의 곤충들로 구성된다. 이들은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곤충화석 중 시대적으로 가장 오래된 화석이다. 유충 화석은 모두 수서 곤충의 유충화석이다. 이들의 유충은 수중생활에 적응하여 지상생활을 하는 성충과 형태적으로 큰 차이가 있는 불완전변태류 또는 외시류이다. 날개 화석은 수서곤충의 성충의 날개이고 일부는 육상 생활을 하는 곤충의 날개가 포함되어 있다. 아미산층에서 나온 곤충화석에는 육상에서 생활하는 매미목과 바퀴목도 있는데 이들은 불완전변태류에 속한다. 그러나, 똑같은 육상생활자이면서도 벌목은 완전변태류 또는 내시류에 속하는 것도 있다. 따라서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곤충화석군에는 불완전변태류와 완전변태류가 섞여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은 실제로 같은 시대에 비슷한 장소에서 함께 생활을 했던 생물군집이지만, 서로 살던 장소가 다른 집단들이 섞여 있다는 것은 육상생활자의 일부가 죽은 후 수류에 의해 퇴적분지로 유입되어 매몰된 혼합집단으로 볼 수 있다. 현생의 하루살이목, 강도래목 등은 대표적인 유수성 곤충이고, 잠자리, 노린재 등은 대표적인 정수성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이 지층에 밀집하여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살던 장소에서 많은 퇴적물의 유입에 따른 급격한 매몰에 의해 화석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동아시아의 중생대 초기에서 보고된 곤충 화석은 양적으로도 수적으로도 그리 많지 않다. 그중에서 일본의 Mine에서 보고된 화석군이 가장 대표적이며 바퀴류(Blattaria)와 딱정벌레(Coleoptera)의 화석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지만, 아미산층 곤충화석군과의 공통종은 한 종도 없다. 아미산층의 곤충화석군은 비록 다양성은 쥐라기의 곤충상에 비해 떨어지지만 조성적으로는 쥐라기의 곤충상에 매우 유사하다. 육상에 사는 곤충이 화석으로 보존되기 어렵다는 것을 감안하면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곤충화석은 학술적으로 매우 귀중하고 큰 의미가 있다. 보령 지역의 곤충화석은 중생대의 쥐라기와 백악기를 거쳐 현재로 이어지는 곤충 진화사의 잃어버린 고리를 이어줄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 PDF

부산광역시 서구 두도.암남공원 자연사 유산의 산출상

  • Kim, Hang-Mu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55-57
    • /
    • 2010
  • 부산 서구 두도(Doodo Islet 頭島)공원과 인접 암남(岩南)공원일대는 후기 백악기 (약 8,000만년 전) 유천층군의 다대포층(多大浦層)이 분포되어 있으며 이 층의 쇄설성퇴적암으로부터 공룡알 공룡알둥지 조각류 공룡 배아(embryo)화석 육식공룡과 초식공룡의 싸움터 유적 초식공룡의 피부화석 직경 30mm의 알(공룡?)화석 공룡골화석 새화석 나자식물 둥치화석 양치식물 잎과 목편 인상화석 등 동식물 화석이 대량으로 쏟아져 나왔고(발견자 : 필자와 한석운 공동), 종유석 해식동굴 해식애 해안단구 파식대지 풍화혈 구조 Stacks과 Stumps 해안자갈과 모래 등 지형자연사 유적과 장군산 등 후기 백악기의 화산 자연산 유적이 즐비하여 이곳은 국가적 보물로 평가되고 있다. 아래에 이들 자연사 유산을 기록으로 남길까 한다.

  • PDF

Albizia Fruit Fossils from the Miocene Duho Formation of Yeonil Group in the Pohang Basin, Korea (포항 분지의 마이오세 연일층군의 두호층에서 산출된 Albizia의 열매 화석)

  • Kim, Jong-Heon;Lee, Seong-Bok;An, Ji-Min;Lee, Hye-In;Hong, Han-So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1
    • /
    • pp.10-18
    • /
    • 2009
  • Two fruit fossils of Albizia miokalkora were collected from the Miocene Duho Formation of Yeonil Group in the northern Pohang Beach and Changpodong, Gyeongsangbug-do, Korea. The legume is flat and long and has 7 rounded seeds. Although the legume fossils are preserved as impression, they show their whole shape well. It is considered that the fossil Albizia might have flourished in a warm temperate climate in East Asia. This discovery is the second record of Albizia from the Neogene of Korea.

Determining Effect of Oyster Shell on Cadmium Extractability and Mechanism of Immobilization in Arable Soil (농경지 토양에서 패화석에 의한 카드뮴의 용출성 및 부동화 기작 구명)

  • Hong, Chang-Oh;Noh, Yong-Dong;Kim, Sang-Yoon;Kim, Pil-J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3 no.4
    • /
    • pp.245-253
    • /
    • 2014
  • BACKGROUND: Oyster shell(OS) is alkaline with pH 9.8, porous, and has high concentration of $CaCO_3$. It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of lime fertilizer to immobilize cadmium(Cd) in heavy metal contaminated arable soil.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compare effects of calcium(Ca) materials [OS and $Ca(OH)_2$] on Cd extractability in contaminated soil and determined mechanisms of Cd immobilization with OS. METHODS AND RESULTS: Both Ca materials were added at the rates of 0, 0.1, 0.2, 0.4, and 0.8% (wt Ca wt-1) in Cd contaminated soil and the mixtures were incubated at $25^{\circ}C$ for 4 weeks. Both Ca materials increased pH and negative charge of soil with increasing Ca addition and decreased 1N $NH_4OAc$ extractable Cd concentration. 0.1 N HCl extractable Cd concentration markedly decreased with addition of OS. 1 N $NH_4OAc$ extractable Cd concentration was related with pH and net negative charge of soil, but not with 0.1 N HCl extractable Cd concentration. We assumed that Cd immobilization with $Ca(OH)_2$ was mainly attributed to Cd adsorption resulted from increase in pH-induced negative charge of soil.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s and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EDS)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mechanism of Cd immobilization with OS. There was no visible precipitation on surface of both Ca materials. However, Cd was detected in innerlayer of OS by EDS analyses but not in that of $Ca(OH)_2$.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Cd immobilization with OS was different from that with $Ca(OH)_2$. OS might adsorbed interlayer of oyster shell or have other chemical reactions.

Discussion on the Metasequoia Fosslis from the Miocene Keumkwandong Formation of the Janggi Group, Korea (포항분지의 마이오세 장기층군의 금광동층에서 산출된 메타세콰이아(Metasequoia) 화석에 대한 고찰)

  • Kim, Jong-Heon;Choi, Seung-I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4
    • /
    • pp.319-327
    • /
    • 2008
  • A paleobotanical study of the Metasequoia has been carried out from the Miocene Keumkwangdong Formation of the non-marine Janggi Group in the Pohang Basin. As a result of this study, deciduous leafy shoots mostly belong to a single species of Metasequoia occidentalis.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its opposite leaves with decurrent base, and by its presence of scale leaf at base of petiole. This species is common in the Korean Tertiary floras in Miocene age, yet it has not been recorded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Miocene. Based on the distribution and ecology of extant Metasequoia. it is considered that the Metasequoia might have flourished in the fluvial plains as swamp forest.

Conifer Fossils from the Lower Cretaceous Youngdong Group and Their Paleoclimatic Implication (하부 백악계 영동층군에서 산출된 구과류 화석과 고기후적 의미)

  • Seo, Ji-Hye;Kim, Jong-He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4
    • /
    • pp.444-453
    • /
    • 2009
  • A large number of fossil plants were collected from the Lower Cretaceous Youngdong Group in the Youngdong area of Chungcheongbug-do, Korea. Youngdong flora consists of 5 genera and 6 species, such as Frenelopsis cf. alata, Pseudofrenelopsis cf. parceramosa, P. cf. varians, Brachyphyllum cf. vulgare, Pagiophyllum sp., and Classostrobus sp., including the male and female cones of Pseudofrenelopsis first occurred in the study area. All of them belong to conifers of Cheirolepidiaceae. It is presumed that Youngdong flora might have flourished under the arid subtropical climate during the middle-late Early Cretace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