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채집

검색결과 567건 처리시간 0.025초

외국인의 한반도 식물 채집행적과 지명 재고(III): Tomijiro Uchiyama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III) - with respect to T. Uchiyama -)

  • 김휘;최병희;장진성;장계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3-215
    • /
    • 2007
  • 일본인 전문식물재집자인 T. Uchiyama는 1900년과 1902년 두 번에 걸쳐 한반도의 식물채집을 실시하였다. T. Uchiyama의 수집물은 일본인으로서는 최초의 한반도 식물에 대한 채집활동의 결과로 생각되며, 당시 채집된 식물표본은 T. Nakai에 의해 Flora Koreana와 H. $L{\acute{e}}veill{\acute{e}}$ 연구 재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동경대학 식물표본관에 소장된 T. Uchiyama의 채집표본과 문헌을 중심으로 당시의 채집 경로와 일정을 확인하여 채집일과 장소를 날짜순으로 정리하였으며 표본에 채집자에 의해 직접 기록된 자료와 Nakai에 의해 표기된 지명을 제공하였다. 문헌을 근간으로 추정된 전체 채집 표본수는 약 1.674개로 확인되나 현재 동경대학 표본관에 소장된 표본은 200여점에 불과하여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표본의 2/3는 두 번째 채집인 1902년에 수집되었으며, Nakai는 이중 41개의 표본을 새로 기재한 종의 기준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외국인의 한반도 식물 채집행적과 지명 재고(IV): Tstomu Ishidoya 석호곡면(石戶谷勉) (Reexamination of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IV) - with respect to T. Ishidoya)

  • 장진성;장계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0-104
    • /
    • 2010
  • 일본 식물분류학자이자 생약학자인 Tstomu Ishidoya (1891-1958)는 1911년부터 1943년까지 한반도에서 식물 조사 및 채집을 하였으며, 그의 채집물은 후에 T. Nakai의 연구에 사용되었다. Ishidoya는 총독부 임업 기사로 있었던 1912년부터 1923년까지 한반도에서 활발히 식물채집을 하였다. Nakai는 문헌에 Ishdioya의 표본 번호를 6,487번대까지 인용하였는데, 이우철 교수가 일본 동경대학(東京大學)(TI)과 경도대학(京都大學)(KYO), 일본국립과학박물관(日本國立科學博物館)(TNS) 식물표본관에서 한반도 채집 표본으로 정리한 것은 1,350여점이다. Nakai는 Ishidoya표본의 채집지명을 일어 발음화하여 영문으로 기록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 소장 표본 기록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http://www.nature.go.kr)의 표본, 그리고 Ishidoya와 Nakai의 문헌을 중심으로 당시의 채집경로와 일정 등 173개 지역을 Nakai가 표기한 지명과 함께 채집일 순으로 정리하였다.

외국인의 한반도 식물 채집행적과 지명 재고(II): Takenoshin Nakai (中井益之進)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II) - with respect to T. Nakai -)

  • 김휘;장계선;장진성;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7-255
    • /
    • 2006
  • 일본인 식물학자 T. Nakai는 1909년 이후 1940년까지 직접 한반도의 식물채집을 실시하였고 그의 저서 Flora Koreana 이후 한반도 식물 연구의 독보적인 학자였다. 특히, Nakai의 한반도 채집표본은 한반도 식물연구의 중요한 자료로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문헌에 언급된 한반도내 채집지명이 Nakai의 표기방식으로 인하여 정확한 소재지가 불명확하거나 확인되지 않고 있어, 대부분 국내 학자들과 일본 학자들도 Nakai의 표기지명으로는 정확한 지명을 알 수가 없다. Nakai의 채집에 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채집경로를 정리한 문헌이 없어 본 연구는 Nakai의 한반도 채집경로 및 일정을 정리하였다. 특히, 채집일과 장소를 날짜순으로 정리하였으며 Nakai가 표본레이블에 제시한 한자 지명을 동시에 제시하였다.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수목원 수우(樹友)표본관(SNUA)에 소장된 채집표본을 근간으로 한 이창복교수의 채집기록 (Field records of Dr. Tchang-Bok Lee based on herbarium specimens deposited at SNUA)

  • 장진성;김휘;전정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55-472
    • /
    • 2003
  • 수우(樹友) 이창복교수는 1946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하여 1984년 퇴임하기까지 우리 나라 식물분류학계의 기반을 다지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특히, 1952년부터 1984년까지 33년간 남한지역에서 약 7만여 점의 표본을 채집하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수우(樹友)표본관(SNUA)의 근간을 확립하여 체계적인 국내 최대의 표본관으로 발전시켰다. 시기별 주요 채집 활동으로 1950년대는 소지 식별을 위한 채집과 박사학위 논문연구를 위한 채집, 1960년대는 1920-1930년에 걸쳐 일본학자인 T. Nakai가 채집한 희귀식물에 대한 분포 확인차원의 채집을 시도한 시기였고, 1970년대와 1984년까지 학술조사 목적으로 특정지역의 식물상을 조사하는 채집이 주를 이루었다. 이창복교수는 참나무속과 싸리속 표본에 대한 채집과 기타 목본, 희귀식물과 관련된 수집을 직접 현장에서 식물을 확인하고 확증 표본 확보에 주력하여 현재 SNUA의 소장표본이 전국 주요 지역 식물상의 대표성을 가지는데 많은 공헌을 하였다. 특히 이창복교수의 1950년 후반에서 1960년 초반에 걸쳐 채집하여 연구한 아시아산 낙엽성 참나무속에 대한 결과는 많은 관련 연구에 근간이 되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표본을 제외한 기타 채집기록이 별로 남아 있지 않아 주요 채집지와 채집 날짜 이외에 조사와 채집의 목적을 명확하게 검증하기 어렵다.

서식환경에 따른 모기 분포조사(2016-2018) (Seasonal Distribution of Mosquitoes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 (2016-2018))

  • 박근호;김성일;조성우;조선란;이승주;김현경;구현나;이욱교;조신형;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81-392
    • /
    • 2018
  • 3년간(2016-2018년) 청주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의 발생분포를 채집지 3곳(주거지와 철새도래지, 축사)에서 2종의 트랩(BL트랩과 BG트랩)을 이용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주거지에서 가장 많이 채집된 모기 종은 빨간집모기였으며, 철새도래지와 축사에서는 금빛숲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철새도래지와 주거지에서는 BG트랩이 BL트랩보다 모기가 더 많이 채집되었으나 축사에서는 BL트랩에서 더 많은 모기가 채집되었다. 빨간집모기와 흰줄숲모기, 큰검정들모기는 BG트랩에서 많이 채집되었고 금빛숲모기, 얼룩날개모기류, 동양집모기는 비교적 BL트랩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채집된 모기를 분류 동정한 결과 2016년에는 10종 22,679개체가 채집되었고, 2017년에는 8종 6,502개체가 채집되어 2016년보다 3.49배 감소하였다. 2018년에는 6,803개체가 채집되어 2016년보다 3.33배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강수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기상조건과 여러 변인들(채집지역과 모기종류, 트랩종류)에 의한 모기밀도와의 관련성을 비교한 결과 특정 관련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채집된 모기의 병원체 감염을 확인한 결과, 2016년도 축사에서 채집한 금빛숲모기 2개 pool, 2018년에 축사에서 채집한 빨간집모기 1개의 pool에서 차오양바이러스(chaoyang virus)가 검출되어 각각 0.088와 0.147의 최소감염율(MIR)을 보였다. 2017년에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V. L. Komarov의 북한(北韓) 채집지명(採集地名)에 대한 연구(硏究) (II) - T. Nakai의 Flora Koreana vol. II를 중심으로 - (Reexamination on V. L. Komarov's collection sites in North Korea (II) - mainly based on Nakai's Flora Koreana vol. II -)

  • 장진성;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7-41
    • /
    • 2004
  • T. Nakai는 1911년 Flora Koreana vol. II에 러시아 식물분류학자인 V. L. Komarov의 1897년 북한 채집 표본을 120여점 인용하였다. Nakai가 언급한 북한의 지명은 약 65개로서 Komarov의 채집지명의 상당 부분에 해당된다. Nakai가 언급한 지명은 러시아발음에 근간을 두고 로마자로 표기하였는데 최근 혹은 과거 지도에서 정확한 채집지명을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는 Flora Koreana II에 기재된 채집지명을 과거 발표된 러시아와 일본 번역서인 만주식물지와 표본레이블 등의 자료를 근간으로 Nakai가 언급한 원명과, 한자 지명, 현재 지명의 로마자표기, 위도와 경도, 출처의 페이지 등을 도표로 제시하여 정리하였다.

T. Mori의 한반도 채집지역 및 채집품 (T. Mori's collections and resolving place names in Korea)

  • 김휘;장계선;길희영;박수경;장진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40-353
    • /
    • 2012
  • 일본 박물학자, Tamezo Mori(1884-1964)는 1909년부터 1916년까지 약 8년간 한반도의 식물 채집을 시도하였다. Mori의 한반도 관련 문헌 및 표본레이블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채집행적을 정리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채집이외 주요 채집은 1911년 8월 제주도, 1912년 제주도와 경상남도, 전라남도 남부지역, 1913년 백두산과 함경북도 지역, 1916년 낭림산과 평안남도 채집이 대표적이다. 문헌에 기록된 지명은 전체 31개이다. 채집품은 동경대학(TI)에 소장된 966개가 확인되며 이중 11개가 holotype, 23개가 syntype, 12개가 paratype이다.

1930년대 교토대학의 한반도 채집과 지명 정리: G. Koidzumi, J. Ohwi, S. Kitamura (A gazetteer of three Japanese plant taxonomists (G. Koidzumi, J. Ohwi, and S. Kitamura) of Kyoto University in Korea during 1930s)

  • 장계선;박수경;김휘;장진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9-331
    • /
    • 2013
  • Koidzumi Gen'ichi(1883-1953), Ohwi Jisaburo(1905-1977), Kitamura Siro(1906-2002) 등이 1930년에서 1935년에 걸쳐 약 5년간 실시한 한반도 식물 채집에서 얻어진 식물표본레이블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당시의 채집행적을 정리하였다. 일본 교토대학(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KYO)에 소장된 표본은 전체 2,000 점으로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채집자와 간략한 채집지명이 한자, 일본어 혹은 지역 방언으로 기록되어 있다. 교토대학였던 Koidzumi(小泉)는 주로 1932년, 1933년, 1935년의 방학동안인 7-8월에 한반도 남부의 제주도와 경상북도, 전라북도 지역과 북부의 금강산, 함경북도, 평안북도, 황해도 등에서 식물 채집을 하였다. Ohwi(大井)는 1930년과 1932년 3달 동안 주로 기존 채집자들이 시도하지 않은 지역인 함경북도의 경성군, 부령군, 회령군, 무산군과 함경남도 장진군, 신흥군과 함께 금강산에서 채집하고, 1935년에는 지리산, 제주도 등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주로 채집하였다. Kitamura(北村)는 1930년과 1932년, 1935년에 한반도 채집을 실시하였으며 제주도와 금강산, 함경남도의 원산 및 개마고원 일대의 채집 기록이 남아 있다.

한국에서 채집된 미키 박사 표본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Notes on the Dr. Miki's Specimens Collected from Korea)

  • 신현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52
    • /
    • 2006
  • 일본 오사카 자연사박물관에는 미키 박사의 수생관속식물 표본 3,600 여점이 소장되어 있다. 그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채집된 표본은 104점이었고, 이를 재동정한 결과 48종류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미키 박사와 장형두를 비롯한 14인에 의하여 1920년대에 주로 채집된 것이다. 매화마름 (Ranunculus kadzusensis), 솔잎가래 (Potamogeton pectinatus), 애기거머리말 (Zostera japonica), Ruppia truncatifolia(국명 없음), 그리고 통발속 (Utricularia species)과 같이 국내에서 멸종 위기 내지 희귀종인 수생관속식물에 대하여 분류학적 검토를 하였다. 또한, 통발 속의 Utricularia ochroleuca Hartm. 와 U. tenuicaulis Miki, Blyxa leiosperma Koidz., Najas japonica Nakai, 그리고 Rotala leptopetala Koehne 등 5종은 우리나라 미기록종이다.

강원도(江原道)에서 채집(採集)한 흰가루병균(病菌)과 기주식물(寄主植物) (Powdery Mildew Fungi and Their Host Plants from Kangwon Province)

  • 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9-246
    • /
    • 1994
  • 1989년부터 1993년까지 5년간 강원도지방에서 횐가루병균에 감염된 246종의 식물을 채집하였는데, 이는 강원도에서 알려진 피자식물 1,475종의 약 16.7%에 해당한다. 흰가루병균은 12속(屬) 83종(種)이 동정(同定)되었는데, Arthrocladiella 속이 1종, Blumeria 속이 1종, Cystotheca 속이 1종, Erysiphe 속이 25종, Leveillula 속이 1종, Microsphaera 속이 17종, Phyllactinia 속이 7종, Podosphaera 속이 3종, Sawadaia 속이 3종, Sphaerotheca 속이 9종, Uncinula 속이 10종, Uncinuliella 속이 2종 등 12속 80종이었으며, 무성세대명만 확인된 Oidium 속은 3종이었다. 각 기주식물은 대개 1종의 흰가루병균에 감염당하였으나, 물오리나무에서는 3종의 흰가루병균이 확인되었고, 갈참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뽕나무, 찔레꽃, 방가지똥 및 이고들빼기에서는 2종의 흰가루병균이 확인되었다. 한편 무궁화에서 채집된 흰가루병균은 지금까지 무궁화속 식물에서 알려진 5종의 흰가루병균과 다른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내어 별도로 기재하였으며, 국화과(科)에 속하는 쇠서나물, 미역취, 큰방가지똥, 방가지똥, 그리고 이고들빼기에서 채집된 흰가루병균은 이들 식물에서 기보고된 몇몇 Oidium spp.와 비교하여 형태학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 보고로 우리나라의 흰가루병 기주식물은 총 333종으로 늘어났으며, 총 피자식물의 약 11.4%에 해당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