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인간상태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Useful Plant Resources in Myanmar (미얀마 유용식물자원 수집 및 전시 활용)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7-47
    • /
    • 2019
  • 미얀마 Indo-Burma 지역은 13,500종의 식물종이 분포하고 있는 생물다양성 핫스팟이다. 북부 산악지역에서 남부의 망그로브 지역에 이르는 다양한 특성의 생태계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풍부한 생물 다양성은 인간에 의해 인위적인 간섭, 개발, 모노크림 재배와 같은 지속적인 삼림 벌채로 위협 받고 있다. Dprovidedc와 Krupnick (2018년)은 123과 472종의 미얀마 약용식물을 학명, 영명, 미얀마 식물명 그리고 미얀마 현지에서 쓰이고 있는 약용식물의 활용 및 보존 상태를 종합적으로 정리했다. 이 중 약 13%가 보존 상태에 대한 평가를 받았으며 IUCN의 멸종 위기 종 목록(IUCN2017)에 등재되었다. 비록, 전국에 다양한 식물 및 생물 다양성이 분포되어 있지만, 미얀마는 여전히 지속 가능한 관리와 사용을 위한 인적자원과 시설이 부족하다. 국립수목원(KNA)은 2013년부터 미얀마 천연자원환경보전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MONREC)와 미얀마 산림과학원(Forest Research Institute, FRI)과 함께 미얀마 보호지역 및 Saggaing 지역 내 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공동 현장조사, 연구 및 출판 등의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국립수목원(KNA)는 약용으로 가치가 있는 미얀마 식물 생체를 수집, 현지외 보전 중이며 이중 65과 326종의 식물 생체를 국립수목원(KNA)에 있는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에 보존과 교육 목적으로 전시 중이다. 이 기증은 미얀마에서 식물생체를 국외로 반출한 첫 번째 사례이며 국립수목원(KNA)은 2008년 독일에서 열대식물을 기증받은 사례 다음으로 두 번째로 외국 정부의 공식적인 대량 식물 도입 사례이다. 도입한 식물 중 Santalum album L. 과 Amorphop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 은 IUCN Red List of Threated Spiences (IUCN2017)에 취약(Vulnerable, VU), 관심필요(Least Concern, LC)로 분류되어 있다. 국립수목원 (KNA)는 2019년 6월 17일 개최된 "2019 아태지역 산림주간 및 28차 아태지역 산림위원회"에 참가하여 미얀마 도입식물 전시회를 개최 하였고, 국내 최초로 Amorphop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의 Leaf Cycle을 타임랩스 촬영하여 국립수목원 웹진(10월 호) 과 YouTube에 연구성과를 홍보하고 있다. 또한 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는 2,700여종의 미얀마, 라오스 등 무한한 가치를 지닌 열대식물의 수집 보전으로 기초 응용 연구기반을 구축하여 국민들에게 열대식물의 중요성과 잠재적인 자원가치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 PDF

The Study for Flora of Vascular Plants of Deokjeokdo (Incheon) (덕적도(인천)의 관속식물상 조사 연구)

  • Beck, Eun-Ho;Moon, Ae-Ra;Park, Jeong-Mi;Jang, Chang-G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8 no.3
    • /
    • pp.158-171
    • /
    • 2010
  • The flora of Deokjeok Island was investigated 35 times from September 2007 to September 2008. Based on voucher specimens, the study indicated that this area consisted of 535 taxa in total; 108 families, 320 genera, 480 species, 2 subspecies, 45 varieties and 8 forms were present. Compositae and Graminae were the first and second most common families surveyed in the region, respectively. Among the more remarkable examples found were four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ix taxa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National Arboretum, and 55 taxa of specific plants that have been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urthermore, 50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and they occupied 17.9% of the total in the surveyed area. Although some parts of the investigated region were disturbed by human impact, the ecological status was comparatively well preserved. However, the area where the remarkable plants were discovered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protected. Since the propor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human habitation area was considerably high and the spreading of these plants seems consistent, it is expected that the ecosystem of this area may become critically unstable in near future.

Presumed Will of Pause or Stop of Meaningless Life Extension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Kim, Pill S.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13 no.2
    • /
    • pp.285-308
    • /
    • 2012
  • The Korean supreme court said that Mrs Kim who was in a persistent vegetative state had a right to die if she had a presumed will or assumption of dying against Severance hospital in 2009. Presumed would be vague and can not be subjective to conjecture though, the court had a developed trial on the case. I recommend the higher valued notion such as the 'right to decide on the life extension' is more logical than assumptive will. To achieve this recommendation, I will search right to life, right to decision, human dignity and find the good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conclusion, I will announce that if PVS patients without advanced directives aren't able to express their will and no one could not assume their right to die in spite of meaningless life extension. So only the due and strict procedure about the extinction of meaningless PVS patients will allow them to sacrifice themselves or remove life extension ventilators. Also active euthanasia would be possible under the strict procedure of making advanced directives and the act of helping active euthanasia additionally, the crime of abetting suicide would not be executed in the legal scope.

  • PDF

Maintenance Plan through the vegetation monitoring of artifical wetland (인공습지의 식생 모니터링을 통한 유지관리 방안)

  • Lee, Daewung;Kim, Jungwook;Hong, Seungjin;Jung, Juyoung;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9-629
    • /
    • 2015
  • 습지는 다양한 생태계가 형성되어있고, 토양과 물의 정화기능, 폭우방지 및 홍수 완화 등 인간이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중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습지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습지 조성 후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습지의 생태환경을 모니터링 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내섬(남한강), 옥포지구(낙동강), 세도지구(금강) 3개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생태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비내섬 습지는 천이초기단계에서 개척자식물이 유입되는 등 향후 천이도중상태의 이차초지로 천이될 것으로 판단되며, 옥포지구 습지는 안정된 천이과정을 보이고 있으나, 안정화 단계에 도달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세도지구 습지는 인위적 교란요인이 적기 때문에 미소입지별로 식생천이에 따라 다양한 식생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 향후 봄, 여름이 추가된 사계절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식물상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면 더 정량적인 식성천이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Zum Verhältnis zwischen Sein und Wesen in der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 In der ontologische Anthropologie bei Edith Stein - (철학적 인간학에서 존재와 본질의 문제 - 에디트 슈타인의 존재론적 인간학을 중심으로 -)

  • Lee, Eun-young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17
    • /
    • pp.275-301
    • /
    • 2011
  • Die Einzelwissenschaften, zum Beispiel, die Biologie, die Psychologie, Soziologie behandeln heuzutage den Menschen. Aber sie alle behandeln den Menschen nach ihren eigenen Gesichtpunkten. Infolgedessen $k{\ddot{o}}nnen$ die Einzelwissenschaften den ganzen Menschen als den Menschen nicht $ber{\ddot{u}}ksichtigen$. Jhre Anthropologien $m{\ddot{u}}{\ss}en$ daher weitgehend $beschr{\ddot{a}}nkt$ bleiben. Dagegen entwickelte Max Scheler im letzten Jahrhundert eine neue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Seine Anthropologie ist wirklich neu und grundgehend. Diese Anthropologie bestimmt den Menschen als Geist, Freiheit, Person. Aber Max Scheler betont allzusehr "den Geist" in seiner philosophischen Anthropologie und infolgedessen distanzierter sich vom "Leben" in seinem $Menschenverst{\ddot{a}}ndnis$. Die Verfasserin sieht hier in dieser philosophischen Anthropologie einen Dualismus zwischen den Geist und das leben. Und Verfasserin findet eine Integration von Geist und Leben in der ontologischen Anthropologie bei Edith Stein. Diese ontologische Anthropologie charakterisiert sich $folgenderma{\ss}en$. 1. Es ist eine Anthropologie des "$Ge{\ddot{o}}ffnet$-Seins." 2. Es ist eine Anthropologie des "$Gef{\ddot{u}}hlt$-Seins." 3. Es ist eine Anthropologie des "Einheits-Seins." Die Verfasserin behauptet infolgedessen die ontologische Anthropologie bei Edith Stein sei eine geeignete und $sachm{\ddot{a}}{\ss}ige$ Anthropologie.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Hydro-seral Stages in the East Coastal Lagoons, Korea (동해안 석호에서 수생천이계열에 따른 식생구조의 변화)

  • Kim, Hyoe-Young;Kim, Mi-Hee;Choi, Hee-Kyung;Lyang, Doo-Yong;Shin, Eun-Joo;Lee, Kyu-Song;Yi, Hoon-Bo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2 no.3
    • /
    • pp.129-144
    • /
    • 2010
  • We have studied the changes of the environmental and vegetational factors according to the hydro-seral stages in the shoreline of the lagoons, Korea. We have divided seral stages into 7 stages from open water stage to the stratified forest stage considering as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body, dominance of submerged and emergent plant, and development of the shrub, subtree and tree layer. According to the successional stage, water depth gradually decreased and water quality changed from seawater to brackish water and from brackish water to fresh water, organic matter in a soil layer gradually increased, and the litter layer grew up. As the development of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life-form of the vascular plants changed as follows; open water ${\rightarrow}$ submerged plant and floating-leaved plant ${\rightarrow}$ emergent plant and submerged plant ${\rightarrow}$ emergent plant ${\rightarrow}$ emergent plant, mesophyte and scrub ${\rightarrow}$ mesophyte. In the late seral stage, the 3 different forest types were established by the water retention or drainage and nutrient accumulation of the soil layer. Salix dominant forest developed in the wetted sites, the forest type dominated by Pinus thunbergii, Carex pumila and mesophytes developed in the well drained sites causing by sand substrate, and the forest type dominated by the planted or ruderals such as Pinus densiflora, Robinia psedo-acacia, Festuca ovina, Setaria viridis ect. developed in the sites composed of forest soil introduced by artificial reclamation.

자연의 나노구조표면 소개와 응용

  • Im, Hyeon-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86-86
    • /
    • 2013
  • 자연은 인류가 삶은 유지하는 터전이다. 자연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1.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아니하고 세상에 스스로 존재하거나 우주에 저절로 이루어지는 모든 존재나 상태, 2.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아니하고 저절로 생겨난 산, 강, 바다, 식물, 동물 따위의 존재. 또는 그것들이 이루는 지리적 지질적 환경"의 의미를 갖는다고 풀이되어 있다. 이러한 자연에는 인간이 배울 많은 지혜로움이 존재한다. 최근 이러한 자연의 지혜로움을 배워 공학적으로 응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나노/마이크로 구조를 가지면 고유의 고효율/고기능 특성을 구현하는 자연의 표면을 배우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연잎의 자기세정, 나방 눈의 반사방지, 몰포나비 날개의 구조색, 게코발바닥의 건식접착, 나미브사막 딱정벌레의 안개포집 등이 대표적인 나노/마이크로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기능성 자연표면의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자연의 나노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기능성 표면과 이들이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uspended Material in the Ocean(Review) (해양의 미소현탁물질(종설))

  • Choe, Sang
    • 한국해양학회지
    • /
    • v.3 no.2
    • /
    • pp.63-72
    • /
    • 1968
  • 해양에 있어서의 생물체의 에너지 순환, 즉 해양에 있어서의 생산체계에서 이중 먼저 기초생산체계만이라도 그 전상을 파악하자는 일은 먼 옛날부터 해양생물학자들의 진지하고도 끊임없는 추구대상이었다. 해양에는 막대한 양의 바닷물이 잠겨있고, 이곳에는 엄청난 양의 생명체가 함양되어 있으며, 이것들은 피포식자-포식자의 계열에서 어떠한 균형상태를 이루고 있는가하는 문제는 극히 흥미가 진진한 문제이다. 해양에 함양되는 무수한 생명체들은 간단없이 명멸, 소장만을 거듭하고 있다는 시적인 형용과 연상은 한층 더 구체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향은 또한 근래의 세계인구의 격증에 대비하는 인간의 식량조달의 필요상, 해양이 지닌 잠재적인 식량생산의 여력을 재평가하자는 기운에서 한층 더 박차가 가해졌었다. 식량생산의 보고로서 해양에 주어진 책무는 크기만 하다. 해양에 잠겨있는 막대한 양의 바닷물은 긴 년월에 걸쳐 자연이 조제한 훌륭한 하나의 배양액이라고 불수 있고, 이것의 다각적인 이용개발은 지금부터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근래에 이르러 각종기구 및 측기의 발달에 따라 해양의 물리, 화학 및 생물학적인 미세구조가 점차적으로 해명됨에 따라 해양학에 있어서의 고전적이고 전통적인 개념에 수정을 강요하는 사태가 적지않게 일어나고 있다. 해양의 기초생산체계에 대한 개념도 크게 비약하고 있으며, 해양에 있어서의 식물플랭크톤->동물플랭크톤->소형동물->어류를 연결하는 일방통행적인 식물연쇄개념을 크게 확대하고 비약시키지 아니하면 안될 여러 가지 사실이 들어나고 있다. 해양의 생물생산계의 기초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식물플랭크톤, 데트리타스 (detritus)등을 포함한 미소현탁물이라는 것은 틀림이 없으나, 이것들이 생명물질 기워니 아니드라도 물리현상으로 일어나는 기포를 매개로 하여 생성할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여기서는 이러한 해양의 미소현탁물에 관한 연구에 대해서 그 의의와 연구결과를 요약 소개하여 해양학도들의 참고로 한다. 이 종설을 꾸미는데 Jorgensen(1962), riley(1963), Parsons(1963), 서택(1966)등의 같은 토픽스에 관한 종설을 많이 참고로 한 것을 부기한다.

  • PDF

Genetic variation in populations of the Korean endemic Eranthis byunsanensis (Ranunculaceae) (한국 특산식물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의 유전적 변이)

  • So, Soonku;Lee, Byongsoon;Park, Ki-Ryo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2 no.4
    • /
    • pp.253-259
    • /
    • 2012
  • The genetic variation in populations of Eranthis byunsanensis, an endemic and rare species of Korea, was studied using starch gel electrophoresis. All five known populations were sampled for allozyme electrophoresis of nine enzymes coded by 10 loci. The overall genetic variation of E. byunsanensis population was shown to be considerably high within the populations (A = 2.4, P = 90.0, $H_E$ = 0.311). A positive $F_{IS}$ value of E. byunsanensis indicated an overall deficiency of heterozygotes, and a low $F_{ST}$ value (0.131) showed little differentiation among populations. The high genetic variation, less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populations, and a significant amount of heterozygote deficiency propose the hypothesis that they have an experience of recent isolation and fragmentation of their habitat. Thus, the rate of gene flow has been drastically reduced, and the rate of inbreeding in E. byunsanensis populations has increased. Current habitats in Mai-san and Naro-do are vulnerable due to their small population size and the levels of anthropogenic activity in the region constantly threatening survival of this species. Because of the high genetic variation and low levels of differentiation among populations in E. byunsanensis, it is not issue which populations have a priority for protection, but we may concern the plan to maintain population continuously and diminish the rate of inbreeding.

Basic Studies on the Plant Ecosystem for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Masan District (마산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한 식물생태계의 기초연구)

  • 이경재;이명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3 no.1
    • /
    • pp.79-94
    • /
    • 198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iv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Masan District. It included the actual vegetation the degree of human disturbance of vegetation, plant biomass and biomass production. The natural vegetation was nonexistent and the major plant communities of the secondary forest was P. thunbergii-Q. acutissima and Quercus forest. P. thunbergii-Q. acutissima community area was 29.2% of Masan District and the secondary forest and the afforestation area was 48% and 13% of Masan District respectively. The ecological diversity of the plant community was high value in Q. acutissima- P. thunbergii, Q.aliena and Carpinus laxiflora-Q.variabilis communicty. As the investigation of the ecological succession in Masan Forest, P. thunbergii community is edaphic climax and mixed forest will be changed gradually dominant species of Quercus species. It was implied that Genus Quercus hadnever beenso easily taken ever by the Genus Pinus which forms the edaphic climax at vast areas of forest land. In the degree of human disturbance of vegetation, the degree 7 (secondary forest 1) was 52.8% and the green spaces in Masan cover 65%, which nongreen spaces 35 %. Total amount of plant biomass produced from Masan District was estimated to be 160, 470.95 tons. Annual Production of dry matter biomass amounts to be 32,940.64 tons. Estimated amount for O$_2$produced annually from the vegetated area in Masan was 34,856 t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