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um Verhältnis zwischen Sein und Wesen in der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 In der ontologische Anthropologie bei Edith Stein -

철학적 인간학에서 존재와 본질의 문제 - 에디트 슈타인의 존재론적 인간학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1.01.05
  • Accepted : 2011.02.15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Die Einzelwissenschaften, zum Beispiel, die Biologie, die Psychologie, Soziologie behandeln heuzutage den Menschen. Aber sie alle behandeln den Menschen nach ihren eigenen Gesichtpunkten. Infolgedessen $k{\ddot{o}}nnen$ die Einzelwissenschaften den ganzen Menschen als den Menschen nicht $ber{\ddot{u}}ksichtigen$. Jhre Anthropologien $m{\ddot{u}}{\ss}en$ daher weitgehend $beschr{\ddot{a}}nkt$ bleiben. Dagegen entwickelte Max Scheler im letzten Jahrhundert eine neue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Seine Anthropologie ist wirklich neu und grundgehend. Diese Anthropologie bestimmt den Menschen als Geist, Freiheit, Person. Aber Max Scheler betont allzusehr "den Geist" in seiner philosophischen Anthropologie und infolgedessen distanzierter sich vom "Leben" in seinem $Menschenverst{\ddot{a}}ndnis$. Die Verfasserin sieht hier in dieser philosophischen Anthropologie einen Dualismus zwischen den Geist und das leben. Und Verfasserin findet eine Integration von Geist und Leben in der ontologischen Anthropologie bei Edith Stein. Diese ontologische Anthropologie charakterisiert sich $folgenderma{\ss}en$. 1. Es ist eine Anthropologie des "$Ge{\ddot{o}}ffnet$-Seins." 2. Es ist eine Anthropologie des "$Gef{\ddot{u}}hlt$-Seins." 3. Es ist eine Anthropologie des "Einheits-Seins." Die Verfasserin behauptet infolgedessen die ontologische Anthropologie bei Edith Stein sei eine geeignete und $sachm{\ddot{a}}{\ss}ige$ Anthropologie.

현대 산업사회사회에서 인간을 다루고 있는 생물학, 의학, 심리학, 사회학 등 개별학문은 사람이 무엇인지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미리 갖고 있거나, 인간의 자명성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인간 존재의 전(全)모습을 파악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현대 철학적 인간학의 대표자인 셸러는 이러한 개별과학의 인간 이해를 경계하며, 우리가 먼저 자신을 인간으로 체험하고 이해하면서 인간 존재가 무엇인가를 앎으로써 인간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따라서 셸러의 인간관은 인간의 본질을 규명함으로써 진정한 인간다움의 면모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현대 산업사회의 비인간화에 대한 실마리를 제시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자유를 행사하는 주체이자 정신의 유일한 존재 형태가 인격이며, '인간'이 되게 하는 유일한 것은 인간의 생명에 대립하고 있는 정신임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정신을 생명의 차원에서 구별해내고 분리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고 본다. 여기에서 본 글은 동 시대의 철학자 슈타인과 셸러, 모두 현상학적 방법을 통하여 인간에 접근했던 슈타인과 셸러를 통하여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그 출발점이 있다. 그 결과 슈타인의 인간학은 첫째, '열린-존재'($Ge{\ddot{o}}ffnet$-Sein)로서의 인간학이다. 둘째, '감정-존재'($Gef{\ddot{u}}hlen$-Sein)로서의 인간학이다. 셋째, '단일-존재'(Einheit-Sein)로서의 인간학임을 밝혀낸다. 그리고 세 번째 '단일-존재'로서의 인간학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슈타인의 인간관과 셸러의 그것과의 차이성을 타진한다. 이러한 차이성을 바탕으로 본 글은 한편으로 인간의 본질적 측면과 존재적 측면을 분리시키지 않고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슈타인의 존재론적 인간관이 근대의 인간이해(이원론적 인간관)를 비판하며 등장한 현대 철학적 인간학의 기본정신에 보다 충실해 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더 나아가 슈타인의 인간관에서는 인간의 몸에서 물질적 사물과 같은 육체적인 부분까지 포함된 단일체로서의 존재가 진정한 인간 존재로 제시되는데, 바로 이 지점이 셸러보다는 좀 더 적극적으로 인간의 육체적인 부분을 강조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필자는 오늘날 인간 존엄성에 대한 여러 논의들(식물상태의 환자, 안락사, 초기배아 등), 생명공학과 생명과학의 발전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인간 존엄성 훼손에 대한 하나의 유의미한 이론으로 슈타인의 존재론적 인간학의 가능성을 개진할 수 있었으며, 또한 에디트 슈타인이라는 현대 철학자의 인간학을 무엇보다도 '존재론적'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본 글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