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for Flora of Vascular Plants of Deokjeokdo (Incheon)

덕적도(인천)의 관속식물상 조사 연구

  • Beck, Eun-Ho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Moon, Ae-Ra (Department of Life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Jeong-Mi (Division of Vascular Plants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 Jang, Chang-Gee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백은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 문애라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 박정미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 ;
  • 장창기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Received : 2010.06.01
  • Accepted : 2010.08.15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The flora of Deokjeok Island was investigated 35 times from September 2007 to September 2008. Based on voucher specimens, the study indicated that this area consisted of 535 taxa in total; 108 families, 320 genera, 480 species, 2 subspecies, 45 varieties and 8 forms were present. Compositae and Graminae were the first and second most common families surveyed in the region, respectively. Among the more remarkable examples found were four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ix taxa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National Arboretum, and 55 taxa of specific plants that have been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urthermore, 50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and they occupied 17.9% of the total in the surveyed area. Although some parts of the investigated region were disturbed by human impact, the ecological status was comparatively well preserved. However, the area where the remarkable plants were discovered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protected. Since the propor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human habitation area was considerably high and the spreading of these plants seems consistent, it is expected that the ecosystem of this area may become critically unstable in near future.

비교적 크기가 크고 남방계인자들이 간헐적으로 보고 된 덕적도 일대에 대하여 자연자원의 분포를 규명하고, 환경 및 기후변화 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관속식물에 대한 분포조사를 2007년 9월부터 2008년 9월까지 35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사지역 내의 소산 관속식물은 108과 320속 480종 2아종 45변종 8품종의 53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관속식물 중에서 국화과 식물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벼과, 콩과, 장미과의 순이었다. 특정식물로는 한국 특산 관속식물 4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6분류군,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 55분류군이 각각 조사되었고, 반면에 귀화식물은 50분류군이 조사되어 전체식물상의 약 17.9%를 차지하였다. 조사지역의 식생은 일부 지역에서 인간 활동에 의해 교란되어 있었으나 대체로 양호한 상태이고 일부 지역은 특이할 만한 식물들도 발견되어 체계적인 보호가 요구되어졌다. 인간 간섭이 심할 것으로 판단되는 저지대의 대부분 지역에서 귀화식물의 점유율이 아주 높았고, 차후로 귀화식물의 분포가 빠르게 확산될 것이 예상되어 생태계의 교란이 우려되어 지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 로 보아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우창, 이유미, 김도경, 정승선, 박수현. 2004. 한국식물도해도감 1 벼과. 국립수목원. 포천. 520pp.
  2. 구자옥, 이도진, 국용인, 천상욱. 2008.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자원식물보호연구회. 서울. 862pp.
  3. 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 포천. 534pp.
  4. 국립환경연구원. 2002. 전국무인도서자연환경조사-인천광역시 강화군 II.
  5. 김인택, 이일구. 1980. 무의도 식물상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3:21-30.
  6. 도상학. 1970. 백아도 약용식물 분포조사. 생약학회지. 1: 133-142.
  7. 류원상. 2000. 인천 거마산 일대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pp.
  8. 민병미, 신은주. 1999. 영흥도 해안의 염생식물. 제2차 전국 자연환경조사. 환경부. pp. 1-19.
  9. 박수현. 2009.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서울. 575pp.
  10. 박수현, 이유미, 양종철, 조동광, 이강협, 장창석, 이혜정, 최혁재, 정승선, 이정희. 2008. 한국식물도해도감 2 양치식물. 국립수목원. 포천. 547pp.
  11. 서교원. 1990. 인천시의 식물상.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pp.
  12. 성경남. 2004. 인천 계양산의 식물상 조사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pp.
  13. 송기현. 2003. 철마산의 식물상 조사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pp.
  14. 송미장, 김 현. 2007.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한국산 엉겅퀴속 (Cirsium Miller)의 분류학적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37:17-40.
  15. 송홍선. 2004. 한반도자생 상록활엽수도감. 풀꽃나무. 서울. 280pp.
  16. 양영진, 김상현, 노홍길. 1998. 한국남∙서해 및 동중국해 북부해역에 출현하는 수온전선. 한국수산학회지. 31:695-706.
  17. 양치식물연구회. 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지오북. 서울. 399pp.
  18. 오병운, 조동광, 김규식, 장창기. 2005. 한반도 관속 특산식물. 국립수목원. 포천. 205pp.
  19. 옹진군. 2007. 옹진군 통계년보 e-book. [http://www.ongjin. go.kr/main/administration/data_room/statistics_annual.asp].
  20.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전2권. 교학사. 서울. 885pp, 974pp.
  21. 이우철. 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624pp.
  22. 이우철, 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 출판부. 춘천. 412pp.
  23. 이유미, 이원열. 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도감. 중부임업시험장. 서울. 255pp.
  24. 이일구. 1979. 서해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의 분포와 보존 생태에 관하여. 자연보전연구보고서. 1:79-91.
  25. 이일구. 1980. 서해 도서지방에 있어서의 상록활엽수의 보존상태. 자연보전연구보고서. 2:31-35.
  26. 이일구, 윤효진, 이영희. 1982. 풍도 식물상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 5:154-163.
  27. 이정현, 최병희. 2008. 서해 중부 인천 도서지역의 상록활엽 식물 분포. 식물분류학회지. 38:315-332.
  28.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상, 하권). 향문사. 서울. 910pp, 914pp.
  29. 이창복, 김은식, 장진성. 1982. 덕적군도의 식물상. 자연실태 종합조사보고서 제1집 (덕적군도). 자연보전중앙협의회. 79-91pp.
  30. 이호준, 최선철, 이영희. 1982. 승봉도 식물상에 관한 분류 및 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5:105-116.
  31. 인천기상대. 2001-2007. 대전지방기상청 인천기상대 [http:// www.kma.go.kr/weather/observation/past_cal.jsp].
  32. 조숙경, 이진실, 최병희. 1993. 영종도 백운산의 식물상. 인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14:153-163.
  33. 조숙경, 이진실, 최병희. 1994. 강화도 마니산의 식물상. 인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15:121-131.
  34. 환경부. 1999.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인천광역시 강화군, 옹진군. pp. 94-97.
  35. 환경부. 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지침-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을 포함한 식물상. p.146.
  36.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 환경부. 식물상. pp. 114-155.
  37. Hur HB, GA Jacobs and WJ Teague. 1999. Monthly variations of water masses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J. Oceanography. 55:171-184. https://doi.org/10.1023/A:1007885828278
  38. Na JY, JW Seo and HJ Lie. 1999. Annual and seasonal variation of the sea surface heat fluxex in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J. Oceanography. 55:257-270. https://doi.org/10.1023/A:1007891608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