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유형

Search Result 55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ytogenetic Studies of Scilla sciloides complex from Korea II. Distribution of Genomes in Chejudo Populations (한국산 무릇(Scilla scilloides complex)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II. 제주도 집단에서 게놈의 분포)

  • 방재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v.34 no.2
    • /
    • pp.145-150
    • /
    • 1991
  • 제주도에서 서식하고 있는 무릇의 게놈 분포와 B염색체의 출현 빈도를 조사하였다. 게놈의 유형은 BB, ABB, ABBB, AABB, AABBB 및 AAABBB의 6가지로 나타났으며, 그 중 BB, ABB 및 AAABBB게놈 식물은 제주도 집단에서 처음으로 발견하여 보고되는 것이다. 게놈의 분포는 AABB가 66.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BB게놈이 20.4%로 그 다음이었다. ABB와 AAABB게놈 식물은 한 개체씩만 발견되었다. 게놈의 조성은 조사된 13개 집단 중 세가지 유형이 혼생하는 집단이 2개, 두 가지 유형이 나타나는 집단이 BB, AABB 또는 AABBB 중 한 가지 유형의 게놈 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다. 게놈의 조성으로 보아 제주도의 무릇 집단은 한반도 내륙보다는 일본 집단과의 유연 관계가 더 가까운 것으로 생각된다. B염색체의 수는 1-4개로 나타났으며, 모두 등완염색체(F)였다. B염색체의 출현 빈도는 BB와 AABBB게놈 식물에서 각각 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ABB게놈 식물에서는 48%로 나타나 한반도 내륙(44%)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A게놈에 비해 B게놈의 수를 많이 지닌 식물에서 B염색체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 PDF

Classification of Seed Exogenous Dormancy in Korean Native Plants (자생식물 종자의 외생휴면 분류)

  • Ju Sung Cho;Kyungtae Park;Sang Yeob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10-10
    • /
    • 2020
  • 전 지구적으로 생물다양성의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따른 생물자원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식물 유전자원의 종 다양성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방안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2017년에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 공유에 대한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식물유래 BT산업 소재의 국내 자급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며, 더불어 국토의 생태복원에 적합한 식물 소재 개발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자생식물의 종자 수급기반 대책은 국가적 차원에서 중대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면적 대비 높은 식물 종 다양성을 보이며, 이는 종자의 휴면유형 또한 다양하고 복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식물유전자원으로써의 보존 및 국가 경제적 이익을 위한 종자 활용, 산업화를 위해서는 종자의 생리적 특성에 기반 한 데이터베이스의 축적과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종자 휴면유형 분류 및 적정 휴면타파 조건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식물종에서 종자 휴면의 하위 카테고리가 계속적으로 세부 분류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세부 휴면유형에 의해 많은 유용 식물자원의 활용이 제한적이다. 종자의 휴면유형은 크게 외생휴면(Exogenous dormancy)과 내생휴면(Endogenous dormancy)으로 분류되며, 국내에서는 내생휴면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한편 외생휴면은 물리적 휴면(Physical dormancy), 기계적 휴면(Mechanical dormancy) 및 화학적 휴면(Chemical dormancy)으로 세부 분류되며, 기계적 휴면과 화학적 휴면은 내생휴면인 생리적 휴면(Physiological dormancy)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물리적 휴면 종자에서는 water-gap 복합체의 존재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으나, 발아억제 호르몬에 기인하는 화학적 휴면 및 종(과)피 또는 배유에 의한 기계적 휴면은 배의 성장잠재력과 발달에 의해 타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로 많은 식물 종에서 다양하게 존재하는 외생휴면 유형에 대해 내생휴면과는 명확히 다른 방식으로 접근되어야 하므로, 다년간의 체계적 연구를 통해 미흡한 종자생리 연구 분야를 보완하고 자생식물의 종자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Biotope Types in the Jeonju Area (전주지역 비오톱 유형별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 Oh, Choong-Hyeon;Choi, Il-Ki;Lee, Eun-Heui;Lim, Dong-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1
    • /
    • pp.37-45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database for biotop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Jeonju region in North Cheolla Province. To accomplish this task, investigations were mad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patter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region. From May to June 2008, the flora and lists of naturalized plants we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ese data the ratio of naturalization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reas follows: a total of 113 families and 54 species were found in the flora. The naturalized plants among them amounted to 19 families and 54 species. The ratio of naturalization was most high in the biotope type of rural dried stream(36.4%). The biotype that showed the lowest ratio of naturalization was coniferous natural forest type, which had no naturalized plants in it. The average naturalization ration of the Jeonju region turned out to be 18.9%, which is similar to that of other mid-size cities in Korea.

자연학습장으로 활용을 위한 제주시 지역 습지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 O, Sun-Ja;Jin, Guk-Rim;Go, Seok-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70-172
    • /
    • 2008
  • 28개소의 습지를 대상으로 총 131종이 관찰되었으며, 그 중 수생식물은 총 71종으로 전체식물의 54.2%에 해당한다. 식물 종다양성의 측면에서 보면 반못, 정물, 모사니물, 돌개기못, 웃못, 용수저수지 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물과 용수저수지를 비롯하여 모사니물, 돌개기못, 웃못, 연화못 등에는 식물의 생활형이 5$\sim$6군으로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수생식물의 유형은 정물, 모사니물, 용수저수지, 반못, 돌개 기못, 몰순이못, 웃못 등 23개소에서 4군 또는 5군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물, 용수저수지, 돌개기못, 모사니물, 웃못 등은 식물의 종다양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형의 식물이 분포하고, 수생식물의 유형이 다양하고 수생식물의 종수 또한 많아 습지에 대한 환경 교육의 기본적인 지식의 습득과 자연 관찰을 위한 자연학습장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들 수생식물들 중에는 보호대상 식물인 물부추, 좀어리연꽃, 통발, 흑삼릉 등이 출현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존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Plant Observation Activities as a Strategy for Classroom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학급 운영의 일환으로서 식물 관찰 활동의 효과)

  • Kim, Dong Seok;Oh, Phil Seok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3
    • /
    • pp.457-467
    • /
    • 2022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year-long plant observation activities as a strategy for classroom management on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plant observations were described according to the time of sequence and the observation types and students' epistemic emotions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eady plant observation activities caused meaningful changes in the students' observation types. Second, it induced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with positive emotions. That is, the plant observation activities allowed the students to observe using various senses, raised their interest and curiosity, and thus resulted in satisfactory learning experiences while having fun during participation.

Occurrence Patterns of Naturalized Plants by Agricultural Types in the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South Korea (농경지 유형에 따른 경기, 충청지역 귀화식물의 출현 양상)

  • Yang, Dongwoo;Lee, Eunjeong;Jeong, Seonah;Woo, Ayoung;Nam, Kijeong;Han, Donguk;Kim, Myung-Hyun;Park, Sangkyu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0 no.2
    • /
    • pp.254-265
    • /
    • 2017
  • To elucidate occurrence patterns of naturalized plants in agroecosystems, we surveyed flora in uplands, orchards and rice paddy fields in middle regions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of Korea in summer and fall from 2013 to 2015. Our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77 species of naturalize plants in 54 genera and 20 families of vascular plants among total 420 species occurred in the agricultural areas composing 18.3% of naturalized index. Community compositions of both native and naturalized plants were different among agricultural types. We suggested that Cerastium glomeratum Thuill., Bidens frondosa L. and Erigeron philadelphicus L. are capable of dispersal to other regions based on our results with getting to broaden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The mean naturalized index was the highest in the upland (25.1%) followed by in the orchard (23.0%) and the paddy field (16.1%), while the mean number of naturalized species was the highest in the orchard (21.8 species) followed by in the upland (16.6 species) and paddy field (10.3 species). The numbers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orchard were in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size of the agricultural land and decreasing ecological area rate. In addition, the number of native speci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naturalized species in the upland. Our results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manage dispersion of naturalized plants in agricultural ecosystems.

Chromosome Variation in Callus Cells Derived from Different Cytogenetic Type Plants of Scilla scilloides Complex (세포유전적 유형이 다른 무릇(Scilla scilloidise Complex)에서 유도된 캘러스 세포의 염색체 변이)

  • Jae-Wook BANG;Jae-hyun PARK;Eun-Young Choi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1 no.1
    • /
    • pp.59-63
    • /
    • 1994
  • Chromosome variation in callus cells initiated from different cytogenetic type plane of Scilla scilloides Complex was analysed Considerable variation in both chromosome number and struchure was found in type AA, while no autosomal variation was detected in type BB callus cells. In allotetraploid AABB, two hypoploid cells were fount while a hypoploid cell and three hyperploid cells were found in eutetraploid cells of BBBB. Autosomes in callus cells derived from the plant with B-chromosomes were more stable than those from the plant without B-chromosome. We doubt that B-chromosomes have a selective function for the autosomes in culture of S. scilloides Complex.

  • PDF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with The Types of Abandoned Channels in The Mangyeong River (만경강 폐천 유형별 식생구조 분석)

  • Kim, Eun-Jin;Hong, Il;Yeo, Hong-Koo;Cho, K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23-2027
    • /
    • 2009
  • 본 연구는 현재와 과거의 하도 지형자료 분석을 통하여 만경강에서 나타나는 폐천(Abandoned channel)을 파악하고, 유형을 폐쇄형, 개방형, 육화형 폐천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본류구간과 함께 식물상 및 식생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만경강의 경우 1918년 하도 형태가 경지정리 및 치수사업에 따른 제방축조 등 인위적인 절단(Engineered cutoff)으로 8개소 이상의 구간에서 하도 선형이 크게 변경됨으로써 폐천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폐천부지는 육화형태의 농지 이용 및 개방형 또는 폐쇄형의 습지로 유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폐천 유형에 따라 나타난 식물상은 폐쇄형 56종류, 개방형 31종류로 조사되었다. 육화형의 본류의 경우 보에 의한 영향으로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과 저수로 검정말(Hydrilla verticillata) 등의 수생식물이 우점하는 정체수역이 나타났다. 개방형 폐천은 갈수기에도 수심이 깊은 수역이 확보되어 본류에 비하여 출현종수가 높았다. 폐쇄형 폐천은 연꽃(Nelumbo nucifera), 애기부들(Typha angustifolia) 등의 다양한 수생식물이 출현하여 본류에 비해 안정된 습지 생태계를 유지하였다. 만경강의 개방형과 폐쇄형 폐천은 수생식물의 증가와 전형적인 습지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본류의 정체수역이 관찰되었다. 본래 하천의 연속성을 향상하기 위한 유수생태계의 복원은 하천의 건강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이 될 것이다.

  • PDF

Vegetation Type Classification and Endemic-Rare Plants Investigation in Forest Vegetation Area Distributed by Vulnerable Species to Climate Change, Mt. Jiri (지리산 기후변화 취약수종 분포지의 산림식생 유형 및 희귀-특산식물 분포 특성)

  • Kim, Ji Dong;Park, Go Eun;Lim, Jong-Hwan;Yun, Chung W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7 no.2
    • /
    • pp.113-125
    • /
    • 2018
  • Subalpine zone is geographically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Forest vegetation in this zone is one of the important basic indicator to observe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was conducting phytosociological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endemic-rare plants investigation based on vulnerable species to climate change at the subalpine zone, Mt. Jiri.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by 37 quadrate plots from March to October, 2015.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es composition of plant sociological vegetation types and the ecological impacts of species, we analyzed the layer structure of vegetation type using important values. Vegetation type was classified into eight species groups and five vegetation units. The vegetation types can be suggested as an indicator on the change of species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uture climate change. There were 9 taxa endemic plants and 17 taxa rare plants designated by KFS(Korea Forest Service) where 41.2% of them were the northern plant. Endemic-rare plants increased as the altitude of vegetation unit increase. Importance value analysis showed that the mean importance value of Abies koreana was highest of all vegetation units. Based on analysis of each layer, all units except vegetation unit 1 were considered to be in competition with the species such as Quercus mongolic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new patterns caused by climate change. In addition, it can be a basic indicator of long-term monitoring through vegetation science approach.

Water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y analysis of wetland plant communities in 4 types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in Korea (서부민간인 통제구역에서 4가지 둠벙 유형에 따른 수환경 특성과 습생식물 군집의 유사성 분석)

  • Kim, Seung-Ho;Kim, Jae-Hyun;Kim, Jae-Ge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3
    • /
    • pp.581-591
    • /
    • 2011
  •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pond type and chemical water characteristics and wetland flora, we investigated 8 small irrigation ponds in CCZ, which represent 4 types of irrigation ponds. Cation and anion concentrations in water were low at spring type ponds and cation or anion concentrations were high at others. Especially, Kyeongeuisun pond, which is water exchanging type, had high cation and anion concentrations. This indicates that water source of this ponds is surface water. CCA showed that chemical water characteristics and wetland flora were reflected in pond types. However, water exchanging type ponds were not clustered in a group, which comes from the difference in water source and we suggest that water source should be an additional criteria to devide pond type of water exchan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