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lant Observation Activities as a Strategy for Classroom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학급 운영의 일환으로서 식물 관찰 활동의 효과

  • Received : 2022.04.05
  • Accepted : 2022.06.17
  • Published : 2022.08.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year-long plant observation activities as a strategy for classroom management on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plant observations were described according to the time of sequence and the observation types and students' epistemic emotions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eady plant observation activities caused meaningful changes in the students' observation types. Second, it induced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with positive emotions. That is, the plant observation activities allowed the students to observe using various senses, raised their interest and curiosity, and thus resulted in satisfactory learning experiences while having fun during participa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급에서 학급 운영의 일환으로 식물 관찰 활동을 1년 동안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미친 효과가 무엇인지 탐색한 연구이다. 식물 관찰 활동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식물 관찰 활동을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기술하며 관찰 유형을 분석하였고, 학생들이 느낀 인식적 정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꾸준한 식물 관찰 활동은 학생들의 관찰 유형에 의미 있는 변화를 일으켰다. 둘째, 식물 관찰 활동은 학생들이 긍정적인 정서를 가지고 참여하도록 유도하였다. 즉, 꾸준한 식물 관찰 활동은 학생들이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관찰하도록 하였고, 흥미를 높이고 호기심을 키우며 재밌게 참여한 후에는 만족을 주는 배움을 이끌어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초등학교. 교육부.
  2. 교육부(2018). 초등학교 과학 3-1 교사용 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3. 고재천(2014).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우수 교사 특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1(3), 103-128. https://doi.org/10.24211/TJKTE.2014.31.3.103
  4. 곽영순(2018). TIMSS 2015에서 과학 성취도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교육맥락변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8(2), 113-122.
  5. 김정인, 윤혜경(2013). 초등 교사의 과학 교수, 과학 학습,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 과학교육연구지, 37(2), 389-404. https://doi.org/10.21796/JSE.2013.37.2.389
  6. 김은주(2010).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서의 함의와 문제. 교사교육연구, 27(4), 27-46.
  7. 김흥태(2015). 식물관찰 활동 및 관찰일지 쓰기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들의 반응 분석. 초등과학교육, 34(4), 458-475.
  8. 박남기(2008). 초등학급경영의 개념과 범위 그리고 영역 분석: 단행복, 승진규정, 학급교육과정 운영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1(1), 1-32.
  9. 박명희, 박윤복, 권용주(2005). 초등학생들의 어항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관찰의 유형과 그 변화. 초등과학교육, 24(4), 345-350.
  10. 박병량(2003). 학급경영. 서울:학지사.
  11. 박윤자, 한광래, 고한중(2001). 초등학교 학생들의 동백잎에 관한 관찰 능력. 과학교육연구 논문집, 23, 23-38.
  12. 서경혜, 유신영(2004).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관점. 교육학연구, 42(4), 285-315.
  13. 서근원(2005). 교사의 딜레마와 수업의 의미. 아시아교육 연구, 6(2), 1-40.
  14. 손형국, 한수경, 한희진, 양정호(2018). 초등교사의 교직 사회 적응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초임교사는 어떻게 기성교사가 되어 가는가? 교육논총, 38(2), 41-68.
  15. 신동훈, 신정주, 권용주(2006). 생명 현상에 관한 초등학교 관찰 수업 과정과 관찰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25(4), 339-351.
  16. 양일호, 김오범, 박현정(2013). 초등 교사들의 관찰에 대한 인식 및 지도 조사.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9(1), 85-118.
  17. 엄채윤(2012). 교사의 변화능력에 대한 의미와 함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191-215.
  18. 오필석(2020). 과학 교육에서 기능 중심의 과학 탐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141-150.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2.141
  19. 이호철(2004). 재미있는 숙제, 신나는 아이들. 경기: 보리.
  20. 정지선(2004).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 연구. 초등교육학연구, 11(2), 141-162.
  21. 조광희, 김희경, 최재혁, 정용재(2016). 과학교육 연구에서 셀프스터디의 특징과 가능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협회, 36(3), 457-470.
  22. 조동섭(2001). 복식학급의 학급경영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초등교육학회, 14(3), 347-367.
  23. 주영주, 정영란, 이유경(2011).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과학 과목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 평균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6), 876-886.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6.876
  24. 진영은, 함영기(2009).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 및 과제. 열린교육연구, 17(2), 47-71.
  25. 허민아, 오필석, 한문현(2019). 과학적 지식 탐색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정서와 이를 이끄는 인지적 평가 요인 탐색. 초등과학교육, 38(4), 496-509.
  26. 황혜영(2013). 한국 교사교육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셀프연구(Self-study)의 도입. 한국교원교육연구, 30(1), 59-80. https://doi.org/10.24211/TJKTE.2013.30.1.59
  27. Cornelly, F. M., Cladinin, J. D., & He, M. F. (1997). Teachers' personal konwledge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inadscape. Teacher and Teacher Education, 13(7), 665-674. https://doi.org/10.1016/S0742-051X(97)00014-0
  28. Fullan, M. (1998). The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A quater of a century of learning. In A. Hargreaves et a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educational change (pp. 214-228). Kluwer Academic Publishers.
  29. Lortie, D. C. (2017). 교직 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School teacher: A sociological study]. (진동섭 외 옮김). 서울: 양서원.
  30. Muis, K. R., Chevrier, M., & Singh C. A. (2018). The role of epostemic emotions in personal epistemology and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hychologist, 53(3), 165-184. https://doi.org/10.1080/00461520.2017.1421465
  31. Wandersee, J. H., & Schussler, E. E. (1998). Plants or animals: Which do elementary and middle students prefer to study? A working paper. Baton Rouge, LA: 15degree Laboratory, Louisiana St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