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원

Search Result 2,23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toemo(Incheon-si, Ganghwa-gun) (퇴모산 일원(인천시 강화군)의 관속식물상)

  • Song, Jin-Heon;Bak, Gippeum;An, Jong-Bin;Kim, Sang-Jun;Hwang, Hee-Suk;Park, Jinsun;Lee, Ahyoung;Yun, Ho-Geun;Jung, Su-Young;Jung, Ji-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70-70
    • /
    • 2019
  • 본 연구는 인천시 강화군 퇴모산(338m) 일원을 중심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76과 210속 268종 3아종 27변종 3품종으로 총 30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 양치식물이 4과 5분류군, 나자식물 2과 4분류군, 쌍자엽식물이 61과 226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6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로 특산식물은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늦둥굴레(Polygonatum infundiflorum)로 3분류군, 희귀식물은 관심대상종(Least Concern)인 두루미천남성(Arisaema heterophyllum), 정보부족종(Data Deficient)인 늦둥굴레(Polygonatum infundiflorum)로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 외래식물은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좀명아주(Chenopodium ficifolium),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털별꽃아재비(Galinsoga ciliata (Raf.) S.F.Blake) 등 10과 20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유용식물로는 용도를 모르는 49분류군(16.3%)을 제외하면 252분류군(83.7%)이 자원식물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용도에 따라 구분해보면 식용 130분류군(29.4%), 섬유용 3분류군(0.7%), 약용 106분류군(24.0%), 관상용 34분류군(7.7%), 사료용 141분류군(31.9%), 산업용 3분류군(0.7%), 염료용 10분류군(2.3%), 목재용 15분류군(3.4%)으로 조사되었다.

  • PDF

The Vascular plants of Mt. Myeongu, Mt. Ouem(Jukwang-myeon, Gosung-gun, Gangwon-do) in the vicinity of the DMZ (DMZ일원 명우산, 오음산(강원도 고성군 죽왕면)의 관속식물상)

  • Hwang, Hee-Suk;An, Jong-Bin;Bak, Gippeum;Park, Jinsun;Kim, Sang-Jun;Lee, Ahyoung;Song, Jin-Heon;Yun, Ho-Geun;Jung, Ji-Young;Jung, Su-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76-7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구성리에 위치한 명우산(335.5m)과 오봉리에 위치한 오음산(281.7m) 일대를 중심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명우산의 관속식물은 72과 203속 236종 4아종 23변종 3품종으로 총 239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오음산의 관속식물은 71과 185속 236종 2아종 31변종 3품종으로 총 25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주요 식물로 명우산의 경우 특산식물은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등 4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이는 명우산에서 조사된 식물의 1.67%로 특산식물 360분류군(정규영 등, 2017)의 1.1%에 해당된다. 오음산의 경우 특산식물은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새며느리밥풀(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2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이는 오음산에서 조사된 식물의 0.78%, 특산식물 360분류군(정규영 등, 2017)의 0.56%에 해당된다. 희귀식물로는 명우산은 확인되지 않았고, 오음산은 위기종(EN)인 참작약(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로는 명우산의 경우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등 총 10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오음산의 경우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등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 PDF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Useful Plant Resources in Myanmar (미얀마 유용식물자원 수집 및 전시 활용)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7-47
    • /
    • 2019
  • 미얀마 Indo-Burma 지역은 13,500종의 식물종이 분포하고 있는 생물다양성 핫스팟이다. 북부 산악지역에서 남부의 망그로브 지역에 이르는 다양한 특성의 생태계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풍부한 생물 다양성은 인간에 의해 인위적인 간섭, 개발, 모노크림 재배와 같은 지속적인 삼림 벌채로 위협 받고 있다. Dprovidedc와 Krupnick (2018년)은 123과 472종의 미얀마 약용식물을 학명, 영명, 미얀마 식물명 그리고 미얀마 현지에서 쓰이고 있는 약용식물의 활용 및 보존 상태를 종합적으로 정리했다. 이 중 약 13%가 보존 상태에 대한 평가를 받았으며 IUCN의 멸종 위기 종 목록(IUCN2017)에 등재되었다. 비록, 전국에 다양한 식물 및 생물 다양성이 분포되어 있지만, 미얀마는 여전히 지속 가능한 관리와 사용을 위한 인적자원과 시설이 부족하다. 국립수목원(KNA)은 2013년부터 미얀마 천연자원환경보전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MONREC)와 미얀마 산림과학원(Forest Research Institute, FRI)과 함께 미얀마 보호지역 및 Saggaing 지역 내 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공동 현장조사, 연구 및 출판 등의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국립수목원(KNA)는 약용으로 가치가 있는 미얀마 식물 생체를 수집, 현지외 보전 중이며 이중 65과 326종의 식물 생체를 국립수목원(KNA)에 있는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에 보존과 교육 목적으로 전시 중이다. 이 기증은 미얀마에서 식물생체를 국외로 반출한 첫 번째 사례이며 국립수목원(KNA)은 2008년 독일에서 열대식물을 기증받은 사례 다음으로 두 번째로 외국 정부의 공식적인 대량 식물 도입 사례이다. 도입한 식물 중 Santalum album L. 과 Amorphop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 은 IUCN Red List of Threated Spiences (IUCN2017)에 취약(Vulnerable, VU), 관심필요(Least Concern, LC)로 분류되어 있다. 국립수목원 (KNA)는 2019년 6월 17일 개최된 "2019 아태지역 산림주간 및 28차 아태지역 산림위원회"에 참가하여 미얀마 도입식물 전시회를 개최 하였고, 국내 최초로 Amorphop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의 Leaf Cycle을 타임랩스 촬영하여 국립수목원 웹진(10월 호) 과 YouTube에 연구성과를 홍보하고 있다. 또한 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는 2,700여종의 미얀마, 라오스 등 무한한 가치를 지닌 열대식물의 수집 보전으로 기초 응용 연구기반을 구축하여 국민들에게 열대식물의 중요성과 잠재적인 자원가치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 PDF

The Study on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and species selection determining to establish priority species monitoring system in DMZ (DMZ일원 중점관리종 모니터링체계 구축을 위한 평가지표개발 및 종선정 연구)

  • Park, Jinsun;Bak, Gippeum;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Song, Jin-Heon;Yun, Ho-Geun;Jung, Su-Young;Jung, Ji-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77-77
    • /
    • 2019
  • 본 연구는 DMZ일원에서 생육하고 있는 자생식물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DMZ일원 종다양성의 지속적인 건강성 유지 및 보전을 위한 중장기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중점관리종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DMZ지역과 북방계지역에 대한 생물자원을 연구할 수 있는 기본틀을 마련하고 생물권보전지역을 지정함으로써 국제교류 및 이해에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DMZ일원의 관속식물상은 157과 754속 2,047종 12아종 340변종 105품종 총 2,504분류군이 생육하고 있다. 이 중 희귀식물은 총 285분류군, 특산식물은 총 124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130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 전체 2,504분류군 중 희귀식물, 특산식물, 침입외래식물을 대상으로 전국분포정보 및 DMZ일원 분포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희귀 특산식물에 해당하는 보호종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는 IUCN 적색목록기준 의 국내수준 및 DMZ일원의 희귀 특산식물의 등급을 CR종 3점, EN종 2점 VU종 1점으로 점수를 평가한 뒤 국내 분포 지역수(IUCN red list criteria B)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호우선순위를(I$10,576.9km^2$) 대비 종 분포면적의 0~20% 1점, 21~40% 1.5점, 41~60% 2점, 61~80% 2.5점, 81~100% 3점으로 분포등급을 평가한 뒤 생태교란종(14분류군) 및 산림침입종(181분류군)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관리우선순위를(I

  • PDF

The Vascular Plants of Apsan Park in Daegu, Korea (대구 앞산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 Jang, Geong Gul;Yoo, Sung Tae;Kim, Byung Do;Yi, Myung Hoon;Lim, Yu Hyun;Kim, Hye Yeong;Heo, Dong Hyeok;Park, Hyeon Ho;Baek, Jin Yeong;Kwon, Hye Y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26-26
    • /
    • 2019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앞산공원 일대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8년 4월 13일부터 2019년 9월 17일까지 총 38회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고, 확인한 관속식물은 109과 338속 523종 65변종 10품종 5아종 5교잡종 3재배품종을 포함하여 총 61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 중 산림청 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은 28분류군(멸종위기종(CR) 왕벚나무(식재), 위기종(EN) 깽깽이풀 등 4분류군, 취약종(VU) 멱쇠채 등 8분류군, 약관심종(LC) 측백나무 등 11분류군 및 자료부족종(DD) 김의털아재비 등 4분류군), 국립수목원 지정 특산식물은 좀비비추, 노랑갈퀴, 산앵도나무 등 12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67분류군(V등급 깽깽이풀과 왕벚나무 2분류군, IV등근 비술나무 등 4분류군, III등급 음양고비 등 16분류군, II등급 큰참나물 등 3분류군, I등급 거미고사리 등 42분류군), 귀화식물은 오리새 등 42분류군을 확인하였다. 도시화지수 및 귀화율은 각각 13.08%, 6.89%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 평균 귀화율보다 다소 낮은 수치이다. 선행연구와의 목록 비교 결과 210분류군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약 30년간 연구대상지의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과 그간 식물의 오동정, 다양한 식물의 유입 및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짐에 따른 귀화식물의 유입 등 다양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1,000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앞산공원 일대 주요 희귀식물의 서식처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Vascular Plants in Mt. Masan at Goseong-gun, Gangwon-do, Korea (DMZ와 인접한 마산(강원도 고성군)의 관속식물 분포 연구)

  • Yun, Ho-Geun;Lee, Jong-Won;Jung, Su-Young;Hwang, Hee-Suk;Bak, Gi-Ppeum;Park, Jin-Sun;Kim, Sang-Ju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5 no.1
    • /
    • pp.71-99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scular flora of Masan, located in Goseong-gun, Gangwon-do, and to comprehend the distribution of remarkable plants such as rare and Korea endemic plants and invasive alien plants.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11 times per season from 2010 to 2018. A total of 619 taxa in 93 families, 328 genera, 529 species, 6 subspecies, 78 varieties and 6 forms were identified on mt. Masan. Among them, Korean endemic plants are 21 taxa including Saussurea diamantica Nakai and 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are 20 taxa counting Saxifraga octopetala Nakai. Invasive alien plants were classified a total of 35 taxa inclusive of Trifolium pratense L. (WS), Aster pilosus Willd. (SS), Coreopsis lanceolata L. (SR), Rumex obtusifolius L. (SC) and Lindernia dubia (L.) Pennell (CS). The naturalization rate was 5% and the urbanization index was 10.0%, respectively. Although this study identified the diverse distribution of major plants such as rare and endemic plants around Masan, it was confirmed that invasive alien plants, which pose a great threat to forest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promotion, spread and distributed in a specific section Therefore, it is urgent to establish a conservation strategy and countermeasures.

A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Disturbed area in DMZ(Demiltarized zone)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

  • Jung, JI-Young;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Bak, Gippeum;Park, Jinsun;Song, Jin-Heon;Yun, Ho-Geun;Jung, Su-Young;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6-26
    • /
    • 2019
  • DMZ 일원은 정전협정으로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가 설정된 이래 민간인의 출입이 엄격히 금지된 채로 외부의 간섭에서 벗어난 독보적 공간으로 보전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은 자연재해 및 군사적 목적으로 훼손되어 생태적으로 교란된 지역이 발생하여 생태적 건강성이 저하되고 있다. 무엇보다 군사분계선 남쪽 2km에 설치된 남방한계선은 군사적 목적에 따라 시계확보를 위해 불모지작전을 수행하여 생태적 교란 및 토양침식에 의해 생태계가 열악한 실정이다.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는 DMZ내 생태교란지를 하나의 특수한 생태계로 간주하여, 향후 DMZ내 생태교란지에 특화된 식생복원 체계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MZ 155마일(248km)에 대해서 위성영상분석을 수행하여 생태교란지 유형화분류 연구를 수행하여 7개 유형(저지대초지, 서부저지대산지, 저습지 및 수공간 지역 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DMZ 생태교란지에 적합한 식물종 선정을 위하여 DMZ 전역을 대상으로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여, 분포가 확인된 종을 대상으로 도입 가능종의 검토, 종자 수집 및 채종원 조성을 실시하였다. 추후 DMZ 생태교란지 식물복원에 적합한 공법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시계확보를 위해 수행되는 불모지 작전에 적합한 종의 선정, 선정된 종을 대상으로 유사환경 조성에 따른 공법 적용, 적용된 공법에 따른 관리 방안 연구를 함께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DMZ 일원에 특화된 공법개발이 이루어진다면 불모지 작전 및 관리 최소화가 이루어지고, 무엇보다 우리나라 종자 및 야생화 산업의 활성화와 현재 파편화 되어 있는 생태축이 하나의 축으로 연결 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 PDF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Valuation of Public Functions in Private Botanical Gardens (사립식물원 공익적 기능의 중요도 및 가치평가 연구)

  • Kim, Yong-Gook;Che, Ji-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6 no.1
    • /
    • pp.49-60
    • /
    • 2018
  • The role of the botanical garden in securing biodiversity,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modern citi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Private botanical gardens that lead the domestic botanical culture are declining due to complex reasons such as an increase of tourist destinations, lack of policy support, lack of introduction of advanced management strategies, and similar leisure activities to national and public botanical gardens. The Private Botanical Garden not only has a large number of plant species with high conservation value, but also provides various public utilities as a cultural and educational space and government efforts are needed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this ame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ue of public functions provided by private botanical gardens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In this way, the government aims to provide a basis for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private botanical garden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utility functions provided by private botanical gardens were recognized as 'preservation' (23.4%), 'recreation and tourism' (17.5%) and 'research' (16.6%) in order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Second, 'heritage value' (33.0%) and 'existence value' (32.5%) were recognized as significant among the values provided by private botanical gardens. Third, the willingness to pay (WTP) to preserve the public functions of the private botanical garden was 12,234 won. Based on this, the economic value of all private botanical gardens in the whole country was estimated, resulting in about 233.8 billion won. There is a need to revis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financial support for the revitaliz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private botanical garden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ve operating system between national, public and private botanical gardens.

Images of Arboreta·Botanical Gardens Influence on the Policy Support Related to Carrying Capacity (수목원·식물원의 이미지가 수용력 정책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 Yun, Hee Jeong;Shin, Hyun Ta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8 no.2
    • /
    • pp.1-9
    • /
    • 2020
  •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images of arboreta or botanical gardens and the policy supports related to carrying capacity.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distributed to 723 public sites nationwide. The results consisting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ethod showed that the images of the arboretum or botanical gardens contained 3 factors: cognitive, affective and shape factors. The cognitive factors greatly affected the policy support related to carrying capacity. The policymakers of the arboretum or botanical gardens can consider cognitive elements of images as important aspects in the planning and management factors to improve the support of visitors related to the policies of carrying capacity for sustainable use.

A Checklist of North Korea Plant and Current Status of Genetic Resources Held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boreta (북한식물 목록과 국내·외 수목원의 북한식물 유전자원 보유 현황)

  • Young-Min Choi;Seungju Jo;Hyeonji Lee;Jung-Won Yoo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7 no.2
    • /
    • pp.171-202
    • /
    • 2024
  • If the plant genetic resources and information-sharing systems held by arboretums worldwide are effectively utilized, it is believed that a conservation system for plant diversity in the currently inaccessible North Korean region could be establish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scientific names of plants native to North Korea but not to South Korea and to assess the status of genetic resources hel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boretums. To compile a list and status of North Korean plant's genetic resources, updated checklists of vascular plants in Korean Peninsula and online plant information databases were consulted to compile synonym, distribution range,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A total of 486 taxa (449 species, 13 subspecies, 21 varieties, 1 forma and 2 hybrids) from 236 genera and 64 families, representing 12.34% of the total native flora of the Korean Peninsular were presented in the North Korea plant list, and the presence of rare, endemic and northern lineage species was confirmed. It was found that 384 taxa from 190 genera, 53 families of North Korean plants are held as genetic resources in 333 arboretums and plant research institutions across 46 countries and 5 continents worldwid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a species list for plants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