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성 유지류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3초

한 농촌 지역에서 식품섭취빈도조사로 측정된 영양소 섭취 분포에 유지류와 양념류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asoning on the Distribution of Nutrient Intakes by a Food-Frequency Questionnaire in a Rural Area)

  • 윤성하;최보율;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3호
    • /
    • pp.246-255
    • /
    • 2009
  • 식품섭취빈도조사지는 식품 목록 종류의 구성방식에 띠라 식품을 기초로 한 조사지와 음식을 기초로 한 두가지 형태로 나누는데, 식품을 기초로 한 조사지는 유지류와 양념류의 영양소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 연구는 유지류와 양념류가 대상자 영양소 섭취량과 섭취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농촌지역에서 식생활 요인 평가를 위해 개발하여 사용되고 있는 음식을 기초로 한 식품 빈도조사지를 이용하여, 1) 전체 영양소 섭취량, 2) 유지류를 제외한 영양소 섭취량, 3) 유지류와 양념류를 제외한 영양소 섭취량, 위의 3가지 형태의 영양소 섭취량을 산출하여 영양소 섭취량의 비교와 상관성, 영양소 섭취 분포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영양소 섭취량과 유지류를 제외한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하였을 때, 유지류를 제외한 경우, 열량, 식물성지방, 비타민 E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아졌고, 단순 카파지수는 각각 0.95 (${\kappa}{\omega}$ = 0.98), 0.64 (${\kappa}{\omega}$ = 0.81), 0.59 (${\kappa}{\omega}$ = 0.79) 였다. 유지류와 양념류를 모두 제외한 영양소 섭취량과 총 영양소 섭취량과 비교하면, 유지류와 양념류를 모두 제외하였을 때, 유지류와 양념류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영양소인 동물성 단백질, 동물성 지방, 레티놀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양소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았고, 그 중 식물성 지방 (K = 0.64, ${\kappa}{\omega}$ = 0.81), 비타민 E (K = 0.59, ${\kappa}{\omega}$ = 0.79), 나트륨 (K = 0.61, ${\kappa}{\omega}$ = 0.80)의 단순 카파지수는 0.8 이하로 다른 영양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영양소 섭취 분포 일치도는 열량 보정 후에 조정 전보다 더 낮아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 유지류와 양념류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식물성 지방, 비타민 E, 나트륨의 섭취량을 저 평가하였고,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 수준의 분포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유지류나 양념류의 조사가 없는 식품기반 식품섭취빈도 조사를 이용하여 질병과의 연관성을 분석할 경우 결과에 대한 해석에 주의해야 한다.

생식의 기능성

  • 황재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0-102
    • /
    • 2004
  • 생식은 곡류, 두류, 과채류, 해조류, 버섯류 등의 식물성 원료를 가열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분말화 하여 혼합한 형태의 제품이다. 현재 국내의 생식제품은 대개 30-50 종류의 원료를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각 제조사별로 제품의 차별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유산균 발효원료 첨가, 한방원료, 첨가, 발아곡류 첨가, 씨눈 첨가 등 독자적인 개념의 원료를 배합하는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중략)

식물성 유지류에 침지된 FA 치환 시멘트 모르타르의 품질변화 (Property Change of Cement Mortar Incorporating FA by Immerging Vegetable Oil)

  • 백철;이제현;황찬우;한인덕;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7-148
    • /
    • 2016
  • Generally, the vegetable oil contains glycerin esther and free fatty acid. When the vegetable oil reacts with concrete, the glycerin esther from oil induces saponification by reacting with and hydrolyzing calcium hydroxide from cement hydration. As a result of this saponification, it has been reported the expansion of concrete. although the free fatty acid from vegetable oil, as an acid, can decompose the concrete by producing soluble salt from calcium hydroxide or CSH, the hydration products of cement, there was no report on the harmful oil type for concrete.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property change of cement mortar incorporating fly ash was analyzed experimentally by immerging various types of vegetable oils.

  • PDF

식물성 유지류에 의한 고강도 모르터의 자기수축 저감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Reduction of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Strength Mortar by Plant Edible Oil)

  • 송일범;백대현;최영화;백병훈;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학계
    • /
    • pp.69-72
    • /
    • 2009
  • This study reviewed the reduction effect of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strength mortar by plant edible oils based on existing studies, in an effort to find the method of reducing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strength concrete. To summarize the results, first as characteristics of fresh mortar, substitution of plant edible oil showed slight reduction in liquidity. Compressive strength was reduce at age of 28 days compared to plain mix regardless of type and substitution ratio. Ratio of change in the length of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strength mortar by plant oils was found to reduce compared to the plain, and the reduction effect was most satisfactorγ in bean oil.

  • PDF

한국인의 식품 중 트란스 지방산의 함량과 섭취량 추정 (Contents and Estimated Intakes of Trans Fatty Acids in Korean Diet)

  • 김종희;장경원;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02-1008
    • /
    • 2000
  • 한국인 트란스 지방산 섭취량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데이타 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트란스 지방산의 주요 급원 식품인 마가린 25종, 쇼트닝 21종, 식물성 식용유지 19종, 제과류 53종, 제빵류 18종, 낙농제품 19종, 동물성 유지 및 육류 9종 등 총 164종에 대하여 트란스 지방산의 함량을 GLC에 의하여 정량하였다. 또한 이들 식품의 1회 분량당 트란스 지방산의 평균 함량을 산출하였고, 한국인 1인당 1일 트란스 지방산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지방 100g당 트란스 지방산의 함량은 마가린 $2.11{\sim}33.83%$(평균 14.66%), 쇼트닝 $1.47{\sim}44.48%$(평균 14.21%), 식물성 식용유지 $0.18{\sim}3.82%$(평균 1.54%), 제과류 $0{\sim}45.81%$(평균 10.92%), 제빵류 $0{\sim}18.32%$(평균 7.87%), 낙농제품 $0.90{\sim}4.54%$(평균 2.27%), 동물성 유지 및 육류 $0.61{\sim}6.07%$(평균 2.24%)였다. 이들 시료 중 트란스 지방산 이성질체는 대부분이 $C_{18:1}$$C_{18:2}$였다. 1회분량당 트란스 지방산의 평균 함량은 마가린 0.74g, 쇼트닝 0.71g, 식물성 식용유지 0.08g, 제과류 0.57g, 제빵류 0.66g, 낙농제품 0.15g, 동물성 유지 및 육류 0.13 g이었다. 한국인의 1인당 1일 총 트란스 지방산 평균 섭취량은 약 2.3g였으며, 마가린에서 0.35g, 쇼트닝에서 0.57g, 식물성 식용유지에서 0.11g, 제과류에서 0.65g, 제빵류에서, 0.07g, 낙농제품에서 0.14g, 동물성 유지 및 육류에서 0.21g을 각각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왔다.시판 프로타민은 $470\;{\mu}g/mL$였다.는 않았다.정성을 나타내었으며, pH 9.0 및 $25^{\circ}C$의 분산매내에서 7일간 저장후에도 99% 이상의 미세캡슐이 안정한 상태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값을 나타내었으며, 24시간 경과 후 겔을 형성하여 겔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항산화 효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CaSO_4$, GDL, $MgCl_2$, $Ca-gluconate+MgCl_2$, $GDL+CaSO_4$ 첨가구는 0.3%에서, 그리고 $Ca-gluconate+CaSO_4$ 첨가구는 0.4%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0.3% $GDL+CaSO_4$ 첨가구가 적당한 경도를 가지면서도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강하여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cids은 $190^{\circ}C$까지는 $2.51{\sim}4.41$ ppm으로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210^{\circ}C$에서 18.92 ppm으로 급증하였고, 이후 $220^{\circ}C$에서 7.20ppm, $230^{\circ}C$에서 5.56 ppm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nonano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등이 고온가열에 의해 생성되었다가 이들이 열분해로 소실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평균치는 34점이었으며 여윔에서는 너무 살찜으로 갈수록 사회적 체형불안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후쿠오카 지역의 체형 불안 도가 대구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한 일 여대생의 자기 체형인식 및 체형 불안도에 관한 비교연구에서 한국여대생이 일본여대생보다 평균 신장은 크고 평균체중은 적으며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신장은 한국이

  • PDF

식물성 유지를 첨가한 가공치즈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연구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Processed Chesse Substituted with Vegetable Oils)

  • 이건봉;김철현;차광종;백승천;정운현;유제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6-335
    • /
    • 2000
  • 본 연구는 식물성 유지를 첨가하여 유지방이 함유된 가공치즈와 가장 유사한 기호도를 가지며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을 증가시켜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가공치즈를 제조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제조된 시료의 단백질 함량, 지방함ㄹ야, T,S 함량, SNF함량, FDM함량, MaCl 함량은 각 시료간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pH는 버터를 첨가한 시료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측정된 TBA가는모든 시료에서 제조 초기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은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시료의 지방산 조성은 버터를 첨가하여 제조한 시료가 C4:0부터 C16:0까지 포화지방산을 가장 많이 함유하였다. Oleic acid는 올리브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시료가 가장 많았으며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는 홍화유를 첨가한 시료가 가장 함량이 많았고 버터를 첨가한 시료가 가장 적은 함량을 나타냈다. Off- flavor 점수는 버터를 첨가하여 제조한 시료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올리브류를 첨가한 시료가 가장 낮은점수를 나타냈다. UFA/SFA 비율과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을 고려할 경우 홍화유를 첨가한 시료가 우수한 지방산 조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선호도 검사결과를 토대로 판단할 때 옥수수 유를 첨가한 시료가 버터를 첨가한 시료와 유사한 풍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한국인의 식품 및 영양섭취상태 추이(1969-1989)-제 2보, 국민영양보고서에 의한 식품섭취상태을 중심으로- (The Trend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Korean(1969-1989) -The Second Report, Food Intake from the Annual Report of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 박미아;김을상;이규한;문현경;송인정;채범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09-512
    • /
    • 1992
  • 국민의 식품섭취상황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1969년부터 1989년까지 21년간의 국민영양조사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식품 섭취량은 1,000g정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식물성 식품의 섭취량은 감소하는 반면 동물성 식품의 섭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다. 식물성 식품 중 곡류의 섭취량 감소는 매우 현저하여 전체 식물성 식품의 섭취량 감소를 주도하였고, 감자류의 섭취량 역시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채소류의 섭취량은 소폭의 증감을 계속하고 있으나 가공류의 섭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다. 콩류는 매년 섭취량이 상당한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과실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해조류의 섭취량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80년대 후반에 커다란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동물성 식품에서 육류, 난류, 어패류는 해마다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어 단백질 섭취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유류와 동물성 유지도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다.

  • PDF

제주 자원식물의 잠재적 가치

  • 정용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4-4
    • /
    • 2010
  • 식물자원은 예로부터 인류의 생활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인류에게 삶의 터전을 제공하였으며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 주는 기반이 되었음은 물론 인류의 생존을 위한 많은 재화를 공급하여 왔다. 이러한 식물자원의 가치는 인간생활의 기초적 의 식 주 뿐 만 아니라 질병치료를 위한 재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아열대권 생물자원의 확보 및 관리가 용이한 위치에 있어 아열대 자원 및 동북아섬 자원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전진기지로서 최적지이며, 난대, 온대, 한대 및 아고산대에 걸쳐 2,100여종의 식물자원이 분포하는 생태계 보고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진시황이 불로초를 찾아 신하를 보낸 곳이 제주도라고 전해지고 있는 만큼 이는 제주가 많은 자원식물이 분포하고 있음이 그 옛날에도 알려져 있었다는 증거라 할 수 있다. 제주에 분포하거나 재배되는 식물 중 약용 및 식용 식물자원으로 잠재적 가치를 갖고 있는 식물은 550여 분류군으로서, 양치식물 43종류, 나자식물 6종류, 단자엽식물 31종류, 쌍자엽식물 370종류 등이다. 이러한 자원식물 중 상록성 목본 31종류, 낙엽수 105종류, 만경류가 51종류, 초본류(1년초 또는 다년초)가 358종류이며, 뱀톱, 천남성, 박새 등 독성을 가지는 식물도 43종류가 포함되어 있다. 비록 기존 알려진 약용 및 식용 식물자원이 산업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나 그 약효나 효능의 검정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나머지 자생식물까지 포함하면 상당수의 제주 자생식물이 자원식물로 사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집중하고 있으며, 자원식물 유래 천연물을 소재로 한 향장품 및 건강기능성 식 의약품을 포함한 기능성 상품은 안전성이 보장되며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자원식물을 소재로 한 기능성 상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지역도 청정지역 제주에 자생하고 있는 자원식물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하여 미래 제주 창출을 위한 신산업육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제주 자원식물들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건강 뷰티 생물산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추진하면서 제주 자원식물들의 새로운 잠재적 가치를 조명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역내 추진노력 및 관련 산업현황 등을 정리하여 몇가지 견해를 제기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