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병리학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3초

Erwinia rhapontici의 Pectate Lyase 유전자 Cloniong (Cloning of Pectate Lyase Gene in Erwinia rhapontici)

  • 최재을;강권규;한광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7-162
    • /
    • 1994
  • Erwinia rhapontici causes soft-rot disease in a number of plants such as onion, garlic and hyacinth. There has been no report that E. rhapontici produces pectate lyase. Pel gene was cloned from genomic DNA of the parasitic soft-rot E. rhapontici polymerase chain reaction by using synthetic oligonulceotide primers designed from the pel 1 to E. carotovora. The recombinant plasmid pJE101 containing pectate lyase gene, when introduced into E. coli DH5$\alpha$, produced pectate lyase an macerated hyacinth tissue.

  • PDF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에 의한 셀러리 세균성 무름병 (Bacterial Soft Rot of Celery by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 박덕환;함영일;임춘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61-363
    • /
    • 1998
  • Occurrence of soft rots was observed on celery that was massively grown in Pyungchang, Kangwon-Do, Korea. Soft rot symptom appeared first on the lower parts of the celery which eventually extended into whole aboveground parts of it. The casual organism isolated from the infected lesions was identified as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based on the phys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on the results of the Biolog program (Biolog Inc., U. S. A.).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 is the first described bacterium which causes the bacterial soft rot disease on celery in Korea.

  • PDF

백합과 채소작물에서의 흑색썩음균핵병 발생 (Occurrence of White Rot on Alliaceous Vegetable Crops)

  • 조원대;김완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1-254
    • /
    • 1996
  • 1995년 4월, 국내 백합과 채소작물 4개 재배지역에서 흑백썩음균핵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이 병은 마늘에서 최고 85%까지 가장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파에서는 매우 적게 발생하였다. 쪽파와 양파에서는 흑색썩음균핵병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발생율은 각각 최고 10%와 30%에 이르렀다. 이 병의 원인균은 배양적 및 형태적 특성에 E라 Sclerotium cepivorum Berk로 동정되었다. 병원성검정 결과, 이 균은 상기한 4종의 백합과 채소작물에 병원성을 나타냈다.

  • PDF

우리나라 포도나무 줄기혹병 병원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Bacteria of Grapevine Crown Gall in Korea)

  • 정광진;심재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7-201
    • /
    • 1996
  • 우리나라 포도재배 지역인 포천, 남양주 및 수원의 포도나무 줄기혹병에 이병된 포장으로부터 채집한 줄기혹(gall), 수액(sap) 및 근권토양으로부터 56균주의 유사 Agrobacterium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중 7균주가 포도나무 유묘의 줄기에 혹ㅇ르 형성시키는 병원성 Agrobacterium biovar의 선택배지에서의 생장, oxidase의 생성, Na L-tartrate로부터 알칼리의 성장, 2% NaCl 첨가 배지에서 생장, 3-ketolactose의 비생산, mesoerythritol과 ethanol로부터 산을 생성하지 못하는 등 Agrobacterium biovar 3인 A. vitis로 동정되었다.

  • PDF

콩에서 분리한 근류균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Isolates of Rhizobia from Soybean)

  • 박기선;최재을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1-357
    • /
    • 1996
  • 콩으로부터 분리한 140균주의 근류균은 25균주(17.9%)가 Rhizobium fredii로 115 균주(82.1%)가 Brady-rhizobium japonicum으로 동정되었다. R. fredii에 속하는 분리 균주의 생존 pH 범위는 4..5∼9.0이었고 B. japonicum의 생육 pH 범위는 5.5∼8.0로 비교적 좁게 나타났다. B. japonicum에 속하는 98균주 중에서는 53균주(54%)가 IAA를 생산하지 않는 GT I group으로, 45균주(46%)는 IAA를 생산하는 GT II group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었으며,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 유무에 의해 10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다.

  • PDF

옥수수 깜부기병균에 대한 살균제 활성검정시 실내와 생체검정 결과와의 상관 (Correlations Between In Vitro and In Vivo Methods for Screening Fungicides Against Corn Disease)

  • 김충회;박경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7-301
    • /
    • 1996
  • 옥수수 깜부기병균에 대한 살균제 활성검정시 실내 검정과 온실 유묘검정과의 상관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5가지 살균제를 공시하여 실내와 온실에서 깜부기병균에 대한 억제효과를 비교하였다. 실내검정방법으로 사용한 최소생육억제농도법, 저지원법, 소생자발아검정법의 결과는 모두 온실유묘검정에서 얻어진 결과와 상관이 높았으며 특히 저지원법은 유묘검정결과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저지원법과 같은 실내검정방법은 대량의 활성검정시 간이검정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6. 간이 검정방법 개발 (Studies on the Pear Abnormal Leaf Spot Disease 6. Development of a Simple Detection Method)

  • 남기웅;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63-367
    • /
    • 1996
  •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의 이병여부를 조기에 판별할 수 있는 가장 간편한 검정방법을 개발코자 시험하였다. 접목시기는 늦어질수록 병징발현율이 감소하였다. 접목방법은 2중절접, 2중삭아절접 순으로 양호하였으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이중절접방법보다 간편한 2중삭아절접 방법이 대량검정에 적합하였다. 이상반점증상의 전염에 필요한 최소 접촉시간은 1일 이상이었고 칼루스가 형성되어 접목부위가 활착된 21일 이후에서 발병이 가장 높았다.

  • PDF

Colletotrichuym coccodes에 의한 토마토 검은점뿌리썩음병(흑점근부병) (Black Dot Root Rot of Tomato Caused by Colletotrichum coccodes)

  • 김완규;지형진;조원대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9-211
    • /
    • 1998
  • Black dot root rot occurred severely in greenhouse tomatoes in jangseong area of Korea in April, 1996. The causal fungus of the disease was identified as Colletotrichum coccodes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isolates of the fungus were responsible for the disease, and two cultivars of cherry tomato were less susceptible to the disease than other cultivars of tomato and cherry tomato tested.

  • PDF

한국에서 분리한 도열병균의 교배형 (Mating Type Alleles of Magnaporthe grisea in Korea)

  • 최우봉;이용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9-253
    • /
    • 1994
  • Twenty six isolates of Magnaporthe grisea originated from rice and other gramineous hosts Korea were tested for mating type with MAT1-1 and MAT1-2 standard isolates. Ninety three and 64% of rice and grass isolated mated and produced perithecia with standard isolates, respectively. Both mating types were found from rice and non-rice isolates, but MAT1-1 allele of M. grisea was predominant in Korea.

  • PDF

Elsinoe araliae에 의한 두릅나무 더뎅이병 (Scab Disease of Aralia elata Caused by Elsinoe araliae)

  • 최준근;김종진;정태성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45-547
    • /
    • 1998
  • Scab disease of Aralia elata (Miq.) Seemann occurred severely in Kangwon province, Korea. First, brown spots were formed on leaves and enlarged along vein. The infected leaves including petiole and midrib were twisted forming scab and died eventually. Also the disease infected twigs and trunks of the tree forming scab. Conidia, ascospores and asci developed in locule were observed in the infected tissue. The causal organism of the scab disease of Araliae elata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Elsinoe araliae Yamamoto (imperfect stage: Sphaceloma araliae Jenkins)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 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