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문양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및 베트남 전통문양을 응용한 넥타이 디자인 개발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and Vietnamese Traditional Patterns on Necktie Design)

  • 팜 호 메이안;이연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76
    • /
    • 2010
  • 세계적으로 넥타이는 착용자의 이미지를 표상하게 됩니다. 따라서 특히 넥타이 디자인에 각국의 문화적 요소를 활용하는 것이 문화적 이미지의 패션 상품 디자인과 함께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및 베트남의 전통문양을 학습에 적용 및 전통적인 문양에 관심을 더 이해할 수 있게 도와 연구팀은 이러한 문양을 활용하여 특별하고 양국의 문화를 내표한 고유하고 세련된 넥타이를 개발하고자 함이다. 우리는 또한 한국 및 베트남 전통문양 사이의 상징성 의미가 특히 유사한 문양을 설계도면 방법차이를 발견했다. 따라서 한국 및 베트남 문양 사이의 조합의 경우, 본 연구뿐만 아니라 국가의 특정 문화에 기여하는 다른 나라에 한국 및 베트남문양에 대한 미학의 측면을 소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및 베트남 전통문양이 미학적, 실용성 및 문화유산의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 및 베트남 전통문양의 소재로는 식물, 동물(조류, 곤충, 상상의 동물, 길상형상 및 문자, 기하형태 등이 있다. 셋째, 한국전통 기하문양의 태극문양과 베트남의 전통기하문양의 특별한 기원과 행운, 창조의 조화 등 의미가 있으며, 이들 각각의 문양은 국기에 사용되어 현대에 이르기 까지 양국가를 상징하는 공통점이 있다. 넷째, 한국 및 베트남의 우호증진을 기원하고 국제경쟁력이 있는 양국의 고유한 문화가 깃든 국제경쟁력이 있는 독특한 넥타이 상품개발을 위해, 양국의 대표적 전통 기하문양인 태극문양과 별문양을 응용하여 넥타이디자인을 행하였다.

  • PDF

애니메이션에 사용된 전통문양 연구 - 톰 무어의 <바다의 노래>,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사랑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A Study of Traditional Pattern in Animation: focusing on Toom Moore's and )

  • 조현지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3호
    • /
    • pp.185-209
    • /
    • 2016
  • 문양이란 비어있는 표면을 단독적으로, 혹은 반복되어 장식하는 형상을 말한다. 문양은 회화, 건축, 공예 등 시각예술이 쓰이는 영역이라면 어디든 사용 될 수 있다. 현대에도 문양은 전통 문양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현대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한다. 또한 문양은 단순히 여백을 채우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는데, 특정 지역권의 문화나 사상 등이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문양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특정한 정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애니메이션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애니메이션에서 문양은 배경이나 캐릭터의 의상, 소품 등의 표면을 꾸미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캐릭터와 배경, 이야기의 시대적, 공간적 배경 등의 환경을 설명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아일랜드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에 소속된 애니메이션 감독 톰 무어(Tomm Moore)는 주로 전통설화나 신화를 토대로 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는데, 그 소재와 연관된 문화, 예술적 요소를 작품 연출에 활용한다. 그 중 한 예로 문양을 들 수 있다. 애니메이션의 서사와 배경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문양은 배경과 소품에 삽입되어 이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화면이 탄생한다. 톰 무어는 <켈스의 비밀>(Secret of Kells, 2009)과 <바다의 노래>(Song of Sea, 2014)에서는 아일랜드 켈트 문양을,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Kahlil Gibran's The Prophet, 2014)에 삽입된 단편 애니메이션 <사랑에 대하여>(On Love)에는 이슬람의 기하문양과 식물 문양을 사용했다. 본 논문에서는 톰 무어가 감독 및 연출로 참여한 두 편의 애니메이션 <바다의 노래>(Song of Sea, 2014), 그리고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사랑에 대하여>(Kahlil Gibran's The Prophet- On Love, 2014) 의 서사와 그 바탕에 깔린 역사, 문화적 배경을 파악하고 그것과 맞물리는 전통문양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이런 전통문양들이 애니메이션에서는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분석하고 있다.

에코 프린팅(Eco Printing)을 활용한 스카프디자인 연구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Scarf Design Using Eco Printing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s-)

  • 정인숙;강기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21-228
    • /
    • 2017
  • 본 연구는 식물의 잎을 이용하여 색과 문양을 천에 직접 프린트 염색할 수 있는 친환경적 방법을 찾고자 출발 하였다. 그러던 중 식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과 문양을 천에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에코 프린팅"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에코 프린팅은 식물의 잎(유칼립투스)을 활용하여 자연에서 식물의 문양과 색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 사전적 정의를 비롯하여 학문적으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입문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자연적인 형태와 색을 얻을 수 있는 식물의 잎이나 꽃을 이용한 천연염색과 에코 프린팅을 정의하고, 유칼립투스의 잎을 사용하여 실험연구 제작에 임하였다. 울 또는 실크로 구성된 각각의 스카프에 유칼립투스 잎을 배열하고 압력을 가하여 묶어 열탕 또는 증열처리를 하여 색소가 천에 스며들게 하여 염색 제작하였다. 이 방법은 천연재료에서 염액을 추출하여 염색하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한 단계 나아가 식물의 형태를 천에 직접 문양으로 찍어내는 방식이다. 또한 매염제를 사용하여 색상의 변화를 도모 하였으며, 이러한 실험연구의 결과 기존 제품과는 차별화 할 수 있는 스카프디자인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에코 프린팅은 각 재료가 갖는 조건과 환경 등에 따라 색상의 변수가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앞으로 여러 종류의 천과 일상생활에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연구 비교 할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의 에코 프린팅에 대한 실험연구와 제작기법이 천연염색에 입문하는데 활용되어 천연염색의 외연(外延)이 보다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조선시대 식물문양의 현대화를 위한 패턴디자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ttern design for the modernization of the plant pattern in the Joseon dynasty)

  • 이명숙;조우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3-180
    • /
    • 2019
  • A pattern is a symbolic mark of the psychological expression and ornamental desire of the human interior. In particular, plant patterns,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express beauty across both the east and the west. The Joseon dynasty had a strong national will, and it was a time when the symbolism of Korea was established. Plant patterns were decorative and symbolic, filled with meaning in both the textile and craft sectors. This study looked at the frequency and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plant patterns in textiles, ceramics, woodworking, and metal craftsmanship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pattern designs were developed by extracting unit patterns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and by adding, magnifying, reducing, and superimposing flat steps and employing the four-fold sequence. The data collected was 826 examples in textiles and crafts, and 34 species of plants were analyzed as follows. In general, the flower patterns preferred soft flowers, flowers, apricot, and peony patterns, and fruit patterns emerged as decorative designs for pottery and woodwork from the 17th century, featuring pomegranates, grapes, fluorines, peaches, and walnut floss. Textiles and woodwork were arranged with many circular designs, while pottery and metal crafts were filled in many ways. Expressive types appeared to be the same as stylistic types for textiles and ceramics, and the construction types were the same in pottery and metal crafts. As such, it was found that even in the different areas of the sculpture, the same aesthetic values were reflected in the common figurative features today.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unique and competitive pattern design that accommodates the modern times and the Joseon dynasty. This development is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tourism products in the future, but also to the tourism industry induced by the Korean wave.

빅토리안 문양(文樣)이 현대(現代) 텍스타일 제품(製品) 디자인에 미친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the Victorian Pattern on the Modern Textile Product Designs)

  • 엄경희;신상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4호
    • /
    • pp.68-79
    • /
    • 2004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Victorian age that attached importance to various designs and aesthetic aspects by art and craft movement, and to present that the Victorian pattern is a factor with unlimited possibility in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odern textile product designs. Therefore, through documents research home and abroad, I considered the periodical background of the Victorian style, a change course of textile, and the theoretical backing of the Victorian pattern, and I studied and analyzed the cases of being applied in the modern textile product designs by classifying apparel, home interior, and fashion accessories. First of all, in apparel, the Victorian pattern transformed into geometrical form had much relative importance, and secondly, in the home interior, the Victorian pattern was expressed realistically or it was represented more boldly and complexly with new materials or techniques introduced. Thirdly, in fashion accessories, decorative nature was shown in intense design with the real description of the Victorian flower pattern and brilliant colors. With these results, it was found out that when the Victorian pattern was applied in the modern textile product designs, it was the factor that could be expected to make a high value added suitable with the modern sense, and it was the pattern with developmental potential with its unlimited use range.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of textile product designs utilizing the Victorian pattern and academic research, reorganizing the Victorian pattern in accordance with the modern design should be continued.

텍스타일 캐드를 이용한 직물 디자인 -당초문양을 중심으로- (Fabric Pattern Designs utilizing CAD Textile -focus on vine pattern-)

  • 한상혜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213-223
    • /
    • 2000
  • 현대산업의 주 구성요소인 컴퓨터 자동화는 섬유디자인 분야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패턴을 디자인할 때 수작업에만 의존해 왔던 디자이너들은 디자인과 색채의 다양성과 제작시간의 단축하기 위해 CAD를 디자인 도구로 하여 패턴을 창조하고 그것을 구매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하는 등 컴퓨터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당초무늬는 어느 특정식물을 소재로 패턴화 시킨 것이 아니라 이집트에서 발견된 인동문을 모체로 하여 발전된 공상적인 식물덩굴무늬로서 세계적인 무늬이다. 당초무늬는 줄기를 기준으로 꽃이나 잎이 서로 얽히어 연결됨으로서 아름답고 유연한 선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같은 선은 단순하면서도 장식적인 요소가 잘 표현되어 있다. 한국에서 당초문양은 장수와 다남을 상징하는 상서로운 문양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이 즐겨 사용했으며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는 당초문양을 패턴의 모티브로 하여 CAD를 이용하여 패턴 디자인함으로써 디자인 개발의 다양성을 제시하였다.

  • PDF

동서양 복식에 나타난 식물문양의 종교적 상징성 연구 -한국과 비잔틴의 비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botanical patterns식 religious symbol in clothing - focusing on comparison of Korea and Byzantine -)

  • 이윤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7-48
    • /
    • 2003
  • 'Pattern' is of very unique nature in each and every country around the world, and its aesthetic feeling of 'pattern' has been handed down according to its nationality and cultural development process. That is, 'pattern' is ornament to symbolize each country's aesthetic standard or choice through some shape, reflecting social consciousness or religion philosophy. Mostly based upon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y, this survey paper analytically compares oriental botanical pattern with occidental botanical figure,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Buddhism-Confucianism and Christian religion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some patterns are commonly used in both area, while meaning differently in some cases: lotus (life), pomegranate (wealth and prosperity in orient, resurrection in occident), grape (fecundity in orient, wealth in occident), dangcho (fecundity in orient, victory in occident). And the other patterns look uniquely used either just in orient or only in occident. For instance, oriental area had its own patterns such as peony (meaning wealth and honour), peach (longevity), ume flower (happiness), orchid (fecundity); while occidental area used lily (purity), olive (peace), palm (victory), and so on. Interestingly, the botanical patterns were used as main patterns in orient whereas as minor in occident.

  • PDF

한국 전통문양 식물문(食物紋)과 젠탱글 아트의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Korean Traditional Plant Patterns and 'Zentangle Art')

  • 윤희선;김기범;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285-290
    • /
    • 2019
  • 본 연구는 아날로그 연필, 펜 등과 같은 필기구를 사용하여 패턴을 그리는 젠탱글 아트(zentangle art) 제작 과정 중, 디지털 아트의 효과적인 융복합을 통해서 보다 창의적인 젠텡글 아트 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론과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디지털 아트의 저작도구를 활용한 제작 방식과 한국 전통문양의 형태별 분류인 식물문(食物紋)의 상징성(symbol)을 응용하여 전통문양과 젠탱글 아트가 융합된 디자인을 연구하고 기호학의 관점에서 연구 및 분석했으며 그에 따른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향후에는 제작자를 중심으로 젠탱글 아트 작품 제작 시 발생하는 특유의 몰입감과 심리적 현상을 연구할 예정이다.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젠텡글 아티스트 및 연구자들에게 콘텐츠 제작의 새로운 확장성과 산업적 가치를 제시할 계획이다.

통일신라시대 와당의 식물 문양을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A Study on Nail Art Design by Application of the Plant Patterns of the Wadang in the Unified Silla Period)

  • 조한솔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9-168
    • /
    • 2022
  • With the recent proliferation of Hallyu content, national interest in Korea and the demand for designs with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s a motif is on the rise. In addition, as customers' design requirements tend to value more and more detailed and differentiated handcrafted designs, research on the motifs used in nail experts' original nail design development and nail design is continuously nee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cope of nail design motifs with high practical value by producing nail design works applying plant patterns of Wadang, us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o diversify nail art expression techniques. The research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Wada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alyzed the collec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categorized the motif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patterns and Wada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tangible motifs are intended to be presented as a fusion of nail art design works that utilizes both flat and stereoscopic art techniqu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nt pattern of Wadang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is an attractive motif that can be expressed in various nail designs expressing Korean emotions and traditional beauty, and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dea of various beauty design areas.

고려시대 경상(鏡像)의 보존처리와 표면기법 조사 (Conservation and Investigation of Buddhist Image Engraved on the Bronze Mirror(Gyeongsang) in Goryo Period)

  • 조남철;허윤현;권혁남;유혜선;허일권;안주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5권
    • /
    • pp.23-30
    • /
    • 2004
  • 고려경상들은 1986년과 1996년에 1차 보존처리하였으나 소장품 점검과정에서 분말화된 동제부식물을 발견하였고 이에 대한 재처리가 필요한 상태였다. 따라서 안정화와 강화처리 등의 보존처리를 실시하여 더 이상의 부식이 진행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경상표면의 문양을 채우고 있는 분말과 조금(彫金)기법을 실체현미경과 휴대용X-선형광분석기로 조사한 결과 경상의 문양을 채우고 있던 분말은 금분, 은분, 호분(또는 석고) 등이며 또한 경상표면의 문양을 시문한 주된 조금(彫金)기법은 점선조각, 모조각(삼각선파기와 둥근선파기), 축조각 등을 사용하여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