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다양성

Search Result 1,70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lassification of Seed Exogenous Dormancy in Korean Native Plants (자생식물 종자의 외생휴면 분류)

  • Ju Sung Cho;Kyungtae Park;Sang Yeob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10-10
    • /
    • 2020
  • 전 지구적으로 생물다양성의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따른 생물자원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식물 유전자원의 종 다양성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방안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2017년에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 공유에 대한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식물유래 BT산업 소재의 국내 자급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며, 더불어 국토의 생태복원에 적합한 식물 소재 개발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자생식물의 종자 수급기반 대책은 국가적 차원에서 중대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면적 대비 높은 식물 종 다양성을 보이며, 이는 종자의 휴면유형 또한 다양하고 복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식물유전자원으로써의 보존 및 국가 경제적 이익을 위한 종자 활용, 산업화를 위해서는 종자의 생리적 특성에 기반 한 데이터베이스의 축적과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종자 휴면유형 분류 및 적정 휴면타파 조건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식물종에서 종자 휴면의 하위 카테고리가 계속적으로 세부 분류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세부 휴면유형에 의해 많은 유용 식물자원의 활용이 제한적이다. 종자의 휴면유형은 크게 외생휴면(Exogenous dormancy)과 내생휴면(Endogenous dormancy)으로 분류되며, 국내에서는 내생휴면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한편 외생휴면은 물리적 휴면(Physical dormancy), 기계적 휴면(Mechanical dormancy) 및 화학적 휴면(Chemical dormancy)으로 세부 분류되며, 기계적 휴면과 화학적 휴면은 내생휴면인 생리적 휴면(Physiological dormancy)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물리적 휴면 종자에서는 water-gap 복합체의 존재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으나, 발아억제 호르몬에 기인하는 화학적 휴면 및 종(과)피 또는 배유에 의한 기계적 휴면은 배의 성장잠재력과 발달에 의해 타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로 많은 식물 종에서 다양하게 존재하는 외생휴면 유형에 대해 내생휴면과는 명확히 다른 방식으로 접근되어야 하므로, 다년간의 체계적 연구를 통해 미흡한 종자생리 연구 분야를 보완하고 자생식물의 종자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The Potential of the Korean Endemic Plant, Abeliophyllum distichum, as a Plant Resource (한국 특산 식물 미선나무, 식물자원으로의 잠재력)

  • Tae Won J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9-9
    • /
    • 2023
  • 한국 특산 식물인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는 IUCN Red List의 EN (위기종) 등급에 지정되 어 보호받아 왔다. 미선나무는 국내 자생지 6곳을 포함하는 13개의 서식지에서 생육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2017년 이후, 국내에서는 지속적인 보전과 관리하에 법정보호종에서 해제되어 멸종위기종 복원 성 공 사례의 귀감이 되었으나 국내를 제외하면 미선나무의 활용은 아직 어려운 현실이다. 미선나무는 1속 1종이지만 종 내에서 다양성이 존재한다. 꽃의 형태적 특징에 따른 다양한 분류가 이루어지며, 옥황1호을 포함한 분홍, 상아, 연녹색, 흰색 등으로 구분된다. 유전체 연구 및 성분 분석을 통해, 각 표현형마다 유전 정보와 유효 성분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활용 가치를 높이려면, 유전적으로 안정되고 표준화가 가능한 원료가 필요하며, 이는 신품종을 이용하거나 새로운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내포한다. 일반 식품으로의 활용은 어려우나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활용들은 미선나무의 높은 활용 가치를 투영한다. 활용 가치 평가를 위해 수행된 DNA 손상, 멜라닌 생합성, 항염증, 항산화, 항암 억제 등의 연구를 통해 다양한 약리학적 효능을 가진다는 결과들이 도출되었고, 많은 문헌들이 그 근거를 뒷받침한다. 또한, 유효 성분의 합성경로를 재정립하고 RNA 분석을 통해 그 양상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미선나무에서 유래한 식물조직 배양체인 callus의 유도 및 배양이 진행되고 있으며, 옥황1호 유래 callus를 활용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미선나무 연구 및 개발에 대한 한계를 파악하고, 천연 식물 자원으로의 미선나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통해 나고야의정서에 대응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 PDF

Survey on Plant-Parasitic Nematodes in Peach Orchards in Gyeongbuk Province (경북지역 복숭아과원에 분포하는 식물기생성 선충의 조사)

  • 권태영;김동근;최충돈;윤재탁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3 no.1
    • /
    • pp.81-84
    • /
    • 2004
  • Plant-parasitic nematodes were surveyed at peach orchards in Gyeongbuk province for three years from 2000 to 2002. Species, density, frequency, Simpson's index, Shannon and Wiener index, and prominence value were analyzed. Plant-parasitic nematodes were isolated from 97 orchards out of 124 orchards. More important plant-parasitic nematode genera on peach were Tylenchorhynchus nudus, Criconemoides informis, Paratylenchus elachistus, Pratylenchus vulnus, and Helicotylenchus digonichus. Aphelenchus sp., Tylenchus sp., Heterodera sp., Scutellonema sp. were found, but were not important. Root-knot nematodes were not found even though they were serious in foreign countried.

A phytogeographical study of Sasa borealis populations based on AFLP analysis (AFLP 마커를 이용한 조릿대 개체군의 식물지리학적 연구)

  • Kim, Il Ryong;Yu, Dasom;Choi, Hong-Keu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5 no.1
    • /
    • pp.29-35
    • /
    • 2015
  • Sasa borealis (Hack.) Makino & Shibata is widely distributed in South Korea. With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markers, we analyzed the genetic diversity of S. borealis to predict and measure the phytogeographical factors of these populations. Relatively high levels of genetic diversity (PPL = 37.2%, h = 0.143, I = 0.205) and genetic differentiation ($G_{ST}$ = 0.324, ${\theta}^B$ = 0.395) were confirmed in populations of S. borealis. Moreover, an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AMOVA) showed that the rate of differentiation among the populations was 47.7%. The results showed that genetic diversity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latitude of the S. borealis populations, indicating that the distribution of S. borealis may have extended from lower to higher latitudes. This method of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genetic diversity and latitude presents critical information for estimating changes in distributions and plant conservation due to climate change.

Unrecorded iNvasive Alien Plant: Melilotus dentatus (Waldst. & Kit.) Pers. (Fabaceae) (미기록 침입외래식물: 서양전동싸리 (콩과))

  • Se Ryeong Lee;Eun Su Kang;Hyeon Jin Jeong;Dong Chan S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49-49
    • /
    • 2022
  • 경기도 화성시 일대에서 미기록 침입외래식물인 서양전동싸리(Melilotus dentatus)를 발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종은 아시아, 유럽 원산이며, 주로 경작지와 공원, 정원 등의 인공적인 환경에서 발견된다. 국내에서 발견된 서양전동싸리는 경작지 내 작물의 종자와 함께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농수로를 따라 인근 주변에서 약 15개체의 생육이 확인되었다. 국내 전동싸리속은 모두 외래식물로 현재 4종(M. suaveolens, M. albus, M. indicus, M. officianalis)이 보고되었으며 탁엽 기부가 엽병에 합착되고, 3출 우상복엽이며, 긴 총상화서, 난형 또는 난상타원형 열매를 가지는 공통된 형태적 특징으로 서양전동싸리와 혼동되기 쉽다. 그러나 본 종은 탁엽이 피침형이고, 소엽이 장타원형이며, 거치가 뚜렷하고, 배주가 2개이며, 종자의 색이 녹갈색인 특징으로 국내 근연 종들과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양전동싸리의 실체와 생육환경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형태학적 기재 및 화상자료를 비롯하여 주변식생 목록과종 식별을 위한 검색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Boraebong (보래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 Ji Eun Kim;Young-Soo Kim;Jung Sim Lee;Ju Eun Jang;Hyeon Jin Jeong;Aleksey L. Kim;Sang-Kuk Han;Hee-Young Gil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7 no.1
    • /
    • pp.35-61
    • /
    • 2024
  • Floristic study can help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pecies diversity, evaluate and predict distribution changes of plants based on the specimens, and record the climate environment and biodiversity of the Korean Peninsula. Boraebong is an area that has plant resources of conservation value, but there is concern about artificial interference through trail and forest roa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port the vascular plants of Boraebong based on voucher specimens and photos and to use them as baseline data to conserve biodiversity of Boraebong. Also, it will be useful to prevent additional influx of invasive species through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11 times from April to September in 2022 and confirmed a total of 455 taxa including 87 families, 269 genera, 401 species, 13 subspecies, 35 varieties, 6 forms. In addition, we confirmed the 4 taxa of red list plants (EN 2 taxa, NT 2 taxa), 18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102 taxa of floristic target species (V degree 1 taxon, IV degree 16 taxa, III degree 31 taxa, II degree 31 taxa, I degree 23 taxa). Furthermore, alien plants 17 taxa, invasive species 2 taxa, useful plants 439 taxa were confirmed in Boraebong. As the results of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98 total taxa including 38 families, 76 genera, 86 species, 1 subspecies, 8 varieties, 3 forms were newly identified in this study.

Modeling of Plant Growth based on Juvenile Energy in Virtual Environment (젊음 에너지를 이용한 가상세계에서의 다양한 식물의 성장 모델링)

  • Kwon Jeong-Woo;Park Jong-Hee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2B no.1 s.97
    • /
    • pp.101-108
    • /
    • 2005
  • Most of the plant models based on L-system or particle systems have focused on visual shape of plant.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lant and its environment in virtual environment will make the plant more natural in diverse situations so that users will be immersed in system. To this end we structure the plant object organized in an ontology, introduce calculating method of plant growth rate based on juvenile energy.

동행+함께하는 마음 - 우리 꽃, 아는 만큼 건강해진다 - 세계적 희귀식물 모감주나무

  • Kim, Won-Hak
    • 건강소식
    • /
    • v.34 no.9
    • /
    • pp.28-29
    • /
    • 2010
  • 희귀식물은 야생화 애호가의 선망의 대상이다. 희귀식물을 찾기 위한 애로호가들의 활동은 참으로 열성적이다. 그런데 희귀동식물은 단순히 희귀성을 쫓는 사람들에게만 중요한 존재가 아니다. 희귀식물은 미래의 자원으로서 활용가치가 뛰어나기 때문에 국가 차원의 보호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자원이라면 그 상대적 활용가치는 무궁무진하다. 세계 여러 나라가 생물다양성협약에 주목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 PDF

Plant Diversity of Qurecus mongolica Forest in Mt. Biryong (비룡산 신갈나무림의 식물 다양성)

  • Kim, Jun-Soo;Hong, Jin-Ki;Kim, Kyung-Soo;Cho, Yong-Chan;Bae, Kwan-Ho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5 no.3
    • /
    • pp.9-18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species diversity of understory in Mt. Biryong. The quadrat size was installe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of Species-Area Curve. The vascular plants were enlisted 107 taxa: 47 families, 80 genera, 91 species, 11 varieties, 2 subspecies, and 3 forms. The three taxa such as Carex okamotoi, Philadelphus schrenkii var. schrenkii, and Weigela subsessilis were enlisted from the surveyed sites as the Korean endemic plants. Due to the list from the Korea Forestry Administration, Rhododendron micranthum was enlisted as the rare plant. The growth from was categorized followed by forbs, shrubs and tree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