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군집구조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4초

하계 마리안 소만 빙하후퇴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변동성 분석 (Phytoplankton Variability in Response to Glacier Retreat in Marian Cove,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in 2021-2022 Summer)

  • 심초롬;민준오;이보연;홍서연;하선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17-426
    • /
    • 2023
  • 세종기지가 위치한 마리안 소만은 기후 변화로 인한 빙하후퇴로 다량의 융빙수가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빙하후퇴에 따른 생태계 반응을 예측하기 위해, 해양 환경 변화의 지시자인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크기 구조와 물리, 화학적 매개변수에 대한 현장 조사를 2021년 12월, 2022년 1월 두 차례 수행하였다. 2022년 1월의 수온과 염분은 평균 1.41 ± 0.13 ℃, 33.9 ± 0.10 psu로 2021년 1월의 수온과 염분인 0.87 ± 0.17 ℃, 34.1 ± 0.12 psu보다 상대적으로 고온, 저염의 양상을 보였다. 조사시기 동안 영양염류는 대체로 높은 농도를 보여 식물 플랑크톤의 제한요소로 작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의 지표인 엽록소는 2021년 12월, 2022년 1월에 각각 1.03 ± 0.64 ㎍ L-1, 0.66 ± 0.15 ㎍ L-1로 나타났으며 부유물질은 전체 조사기간 평균 24.9 ± 3.54 mg L-1로 나타났다. 부유물질의 농도가 높은 소만내측에서 엽록소는 낮은 농도를 보였는데 이는 융빙수로부터 유입되는 고농도의 부유물질로 인해 수층 내 빛이 강하게 제한되어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이 저해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빙벽 주변 정점에서 크기가 작은 미소 식물플랑크톤이 전체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에서 70% 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융빙수 유입으로 유발된 저조도 환경에서 미소 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가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빙하후퇴 지역에서 유입되는 담수와 부유물질이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및 군집구조 조절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결과 자료는 추후 마리안 소만의 탄소순환 변동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습지 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ed Atmospheric $CO_2$ on Wetland Plants: A Review)

  • 김선영;강호정
    • 생태와환경
    • /
    • 제36권4호통권105호
    • /
    • pp.391-402
    • /
    • 2003
  • 지난 20여년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가 육상 생태계에 미칠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전지구적 물질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습지 생태계에서 일어나는 반응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종설에서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했을 때 습지의 식생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일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이와 연관하여 발표된 논문들의 결과를 모아 정리하였다. 특히, 습지 식생의 일차생산성, 군집 구조, 증발산량, 식물체의 영양소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이산화탄소 증가가 개개 식물의 광합성량을 증가 시키는 것은 많이 관찰 되었으나,이러한 현상이 바로 습지식생의 탄소보유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없었다. 그 이유는 고정된 탄소의 지하부로의 전달, 개개 종의 상이한 반응, 종간의 상호작용, 영양소의 부족 등 다른 요인들의 작용 때문이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는 전반적으로 습지 식물의 증발산량을 감소 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육상 식물의 반응과 유사하게 많은 습지에서 이산화탄소의 증가가식생의 C/N비를 증가 시키는 것이 일부 종에서 관찰 되었으며,이러한 종에서는 장기적인 유기물분해의 속도가 감소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지하부로 유입되는 새로운 광합성 산물들의 동태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모아져야 정확한 예측이 가능할 것이다.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4. 경안천 하류의 영양염 및 입자태 유기물 거동과 식물플랑크톤의 천이 (Ecological Studies on Pal'tang River-Reservoir System in Korea. 4. Dynamics on Inorganic nutrients, POM and Phytoplankton Succession in the Lower Stream Kyungan)

  • 홍성수;어윤열;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35권1호통권97호
    • /
    • pp.1-9
    • /
    • 2002
  • 팔당호 지류인 경안천의 입자태 및 무기 영양염의 동태와 이들이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의 천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1993년 8월 18일부터 11월 13일까지 주 1회의 조사를 14주 동안에 걸쳐서 수행하였다. 질산성 질산염은 조사기간 중 항상 풍부하였고 인산염과 규산염은 갈수기에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hlorophyll a의 값은 1993년 8월 21일 $90.6\;{\mu}g/l$로 최대 값이 관찰되었으며 10월 중순 이후부터는 $15{\sim}16\;{\mu}g/l$을 유지하였다. 입자태 유기탄소와 입자태 유기질소는 매우 풍부한데 비해, 입자태 유기인의 농도는 최저$0.3\;{\mu}g\; atm/l$의 낮은 능도 분포를 보였으며, 입자태 유기탄소 및 유기질소의 변화양상은 chlorophyll a의 변차양상과 잘 일치하였으며, 이것은 입자태 유기탄소 및 질소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의한 내생적 공급에 의함을 의미한다. 이와는 반대로 경안천의 인의 공급은 외부로부터 공급되고 있으며, 항상 인산염이 식물플랑크톤의 제한인자로 작용하지만, 때때로 낮은 Si/P ratio을 나타내어 규산염의 고갈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때로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인산염 보다는 규산염이 제한 인자로 작용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인산염이 제한 인자로 작용하는 시기에는 규조류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규산염이 제한인자로 작용하는 시기 (9월 $11{\sim}18$일, 10월 $2{\sim}16$일)에는 남조류와 녹조류가 우점 하였다. 특히, 남조류 중에서 Anabaena, Microcystis및 Oscillatoria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우리나라 서어나무 임분의 군집구조와 식생천이 (Community Structure and Vegetation Succession of Carpinus laxiflora Forest Stands in South Korea)

  • 변성엽;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5-202
    • /
    • 2018
  • 산림천이는 몇 단계의 산림생태계 변화과정을 거쳐 최종단계인 극상림에 도달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온대림의 극상림을 이루는 대표 수종이 서어나무라고 하는 많은 연구결과가 제시되어 왔다. 특정지역 또는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서어나무의 상관 군락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천이과정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온대림의 극상림으로서 서어나무림을 제시한다는 것은 논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17개산 75개소의 서어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유형과 층위구조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생태적 천이경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유형분류는 식물 사회학적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층위구조는 중요치를 분석하여 파악하였다. 종조성에 따른 유형분류결과, 총 6개의 식생단위와 9개의 종군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서어나무군락군은 난티나무군락, 개암나무군락(갈참나무군, 개암나무전형군), 철쭉군락(물들메나무군, 개서어나무군, 철쭉전형군)으로 분류되었다. 각 층위별로 중요치를 분석하여 서어나무림의 천이경향을 예측해 본 결과, 서어나무림은 (1) 당분간 서어나무림으로 유지되는 유형(식생단위 2, 3, 6), (2) 까치박달림으로 천이가 진행되는 유형(식생단위 1, 4), (3) 붉가시나무림으로 천이가 진행되는 유형(식생단위 5)의 총 3가지 천이유형으로 나타났다.

백두대간 한의령에서 댓재구간 마루금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Haneoryoung~Daetjae Ridge, the Baekdudaegan Mountains)

  • 조현서;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33-744
    • /
    • 2013
  • 본 연구는 백두대간 중 한의령에서 댓재구간 마루금에 분포하는 식생에 대하여 출현종, 천이경향 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10m{\times}10m(100m^2)$ 조사구 46개소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소나무-신갈나무-물푸레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느릅나무군락,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락, 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물박달나무군락, 신갈나무-쇠물푸레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등 8개로 유형화되었다. 천이경향을 살펴보면, 소나무우점군락은 외부의 인위적인 교란이 없다면 신갈나무우점군락으로 발전하겠으나 느릅나무군락은 경쟁종이 없어 현상태를 유지하겠다. 신갈나무우점군락은 신갈나무와의 경쟁종이 없는 경우에는 노령임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으나 지형적인 조건으로 물푸레나무, 물박달나무 등 교목성상의 경쟁종이 출현할 경우에는 낙엽활엽수군락으로의 천이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단위면적당($400m^2$) 종다양도지수는 소나무 등 천이진행 군락이 1.0477~1.1283, 신갈나무우점군락 등 천이 진행이 안정상태인 군락이 0.6446~0.9424로 낮았다.

화기형태에 의한 국내 자생쑥의 유연관계 분석 (Phylogenetic Analysis of Artemisia spp.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Organs in Korea)

  • 성정숙;이정훈;이제완;방경환;여준환;박춘근;박호기;성낙술;문성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8-224
    • /
    • 2008
  • 국내자생 쑥속의 식물을 약용작물 및 산업화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집된 쑥속 식물들은 사철쑥 (A. capillaris)을 포함한 20종 1아종 2변종 24분류군으로 분류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25개의 화기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과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성분 분석결과 제1주성분은 전체 분산의 44.73%, 제2주성분은 16.86%, 제 3주성분은 8.88%, 제4주성분은 7.07%의 기여율을 보였으며, 상위 제4주성분까지의 누적 기여율이 77.56%였다. 군집분석 결과, 자방의 퇴화, 아관목, 두화의 크기 등의 주요형질에 의해 크게 3개의 군으로 구분되어졌으며, 화기구조의 식별형질로는 기발표된 Dracunculus, Abrotanum, Absinthium 3절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으나 국내 자생쑥의 분류형질로 활용이 가능하였다.

금오산에서 산회지와 비산화지의 식물군집구조 비교 (A Comparison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s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Mt Kumo-san)

  • Kim, Woen;Sung, Kyung-H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55-64
    • /
    • 1996
  • This is a report on the recovery of vegetation and secondary succession in the burned area studied from April, 1990 to April. 1991. The forest fire occurred in a part of Mt. $K\v{u}mo-san$ on April, 1986 and the pine forest and its understory vegetation were burned out completely. The floristic compositions of burned (B) and unburned (U) areas were composed of sixty eight and thirty one species (vascular plants), respectively. These species were divided into invaders (47 species), increasers (15 species), deceasers (3 species), neutrals (3 species), and retreaters (10 species) on the basis of summed dominance ratio ($SDR_3$). Biological spectra showed the $H-D_1-R_5-e$ type in both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The species of Lespedeza ($SDR_3$=94.7), Miscanthus (91.95), Festuca (68.33), and Spodiopogon (52.06) were dominant in the burned areas, while the species of Pinus (76.67), Robinia (56.25), Quercus (52.08), and Carex (40.25)were dominant in the unburned area. Dominance index (C) in burned and unburned areas was 0.15 and 0.25, respectively. the index of similarity (CCs) was 0.42. The degree of succession (DS) and species diversity (H) in burned and unburned areas were 675.8, 884.2 and 4.07, 2.05, respectively. The degree of succession in the burned area graduall increased and the burned area was recovered to be simmilar to the unburned area. Evenness index in burned and unburned areas was 0.965 and 0.595, respectively.

  • PDF

초례산의 산화지와 비산화지의 식물군집구조 및 토양성분의 동태 (Dynamic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the Mt. Ch’olye-san)

  • Sim, Hak-Bo;Woen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5호
    • /
    • pp.417-430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lant community during the secondary succession and the dynamics of soil properties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Mt. Ch’oly-san. Owing to the forest fire occurred on April, 1989, the red pine(Pinus densiflora) forest and its floor vegetation were burned down.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burned and unburned areas were composed of 53 and 49 species of vascular plants,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SDR4 of the burned sites were lespedeza cyrtobotrya (89.62),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62.50), and Carex humilis (58.73), Quercus serrata (43.33). In contrast, Pinus densiflora (83.56), Lespedeza cyrtobotrya (55.57),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51.88) and Carex humilis (50.41) were dominant in the unburned area. The biological spectra showed the $H-D_1-R_5-e$ type in both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The indices of similarity ($CC_S$) between the two areas were 0.74. Degree of succession (DS) was 604 in the burned area and 802 in the unburned area. From these facts, it is assumed that the succession is rapidly progressing because of the recovery of vegetation. The species diversity ($\={H}$) and evenness index(C)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were 0.15 and 0.18, respectively. Red pine tree did not resprout after scorch by the forest fire, but Lespedeza, Quercus, Rhododendron, Albizzia, and Zanthoxylum resprouted from the roots and trunks after the forest fire. It seems that these species are the fire-resistant species. Soil properties such as soil pH, content of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us, total nitrogen, tatal carbon, exchangeable potssium, sodium, calcium, and magnesium increased due to forest fire. These results suggest the intensity of forest fire in the study area was relatively weak. Monthly changes of soil properties were of little significance except for some cases.

  • PDF

오대산국립공원 소금강 계곡부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Soguemgang Valley in Odaesan National Park)

  • 강성칠;한봉호;박석철;최진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44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and ecological succession sere of forest ecosystem in Soguemgang Valley, Odaesan National Park. Fifteenth plots(size is $20m{\times}20m$) were set up and the results analyzed by DCA which is one of the ordination technique showed that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which area community I(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community), II(Pinus densiflora community), III(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V(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V(Quercus serrata community), VI(Pinus densiflora-Deciduous broad-leaved plant community), VII(Cornus controversa-Carpinus laxiflora community). Shannon diversity index per $400m^2$ was to 0.7777 to 1.1440 and the age of Pinus densiflora 86 years old, Quercus variabilis was ranged from 66 to 87 years old, Quercus serrata was ranged from 51 to 62 years old, Carpinus laxiflora was 94 years old. In 2013, the succession trend was predicted Pinus densiflora${\rightarrow}$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rightarrow}$Cornus controversa, Carpinus laxiflora. The ecological sucession progress has declined power of the Pinus densiflora and the increased power of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Quercus spp. in Soguemgang Valley, Odaesan National Park. Quercus serrata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ies that judged Pinus densiflora were progressing by direction of landform. The southern slopes vegetation were progressing for Quercus variabilis, the northern slopes vegetation were progressing for Quercus serrata. In flat Valley, mainly native species of Cornus controversa, Carpinus laxiflora are predicted ecological succession for deciduous broad-leaved tree community.

관악산 삼림의 22년간(1972~1993)의 식물군집구조 변화 (Change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during the Twenty-two Years(1972~1993) in Forest of Mt. Kwanak)

  • 이경재;송준근;조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9-90
    • /
    • 1994
  • This survey was ocnducted to investgate change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from 1972 to 1993 in forest of Mt. Kwanak and thirty-five plots that the size of each plot was 10m${\times}$10m(100㎡) were set up and the vegetation analysis was caried out. By the TWINSPAN analysis, the plant community of survey area were divied into Quercus mongolica, Q. mongolica-Pinus densiflora(1), Q. mongolica-P. densiflora(2), Q. acutissima community. The successional trends of the woody species were seemed to be from P. densiflora, Sorbus alnifolia to Q. mongolica in the canopy layer. But the successional trends in the understory and shrub layer were difficult to suppose. The forest vegetation of Mt. Kwanak from 1972 to 1993 was severely decreased in species number and individuals. The sensitive species for the environmental pollution were selected, and the tolerant plants for the acid soil were increased. In comparision with the DBH class distribution from 1972 to 1993, it shows that the ecological succession has stopped. In the analysis of soil characteristics, soil acidification has taken place over last twenty-two years(from pH=5.40 to pH=4.53). The concentration of K+, Ca++ was severly decreased(from K+=0.60m.e./100g to K+=0.06m.e./100g, from Ca++=3.20m.e./100g to Ca++=0.63m.e./100g), which also could seemed to be cause of plant community decl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