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도천공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4초

식도 천공의 외과적 치료

  • 이재익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03년도 제3차 추계학술대회
    • /
    • pp.108-108
    • /
    • 2003
  • 식도 천공의 치료는 최근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난해한 문제이다. 이 환자들은 천공의 원인이나 위치, 심한 정도가 다양한 이질적인 군이며, 반수 이상이 이미 식도에 기존의 질환을 가지고 있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한다. 따라서 절대적이고 획일적인 치료방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많은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2002년 11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총 8명의 환자가 식도 천공으로 동아대학교병원 흥부외과에서 치료를 받았으며, 원인별로는 의인성(iatrogenic) 손상이 6례, 자발성(spontaneous) 손상이 2례였고 부위별로는 경부가 3례, 흥부가 5례였다. 의인성 손상에는 내시경 검사중 정상 경부 식도에 발생한 1례, 부식성 식도협착 환자의 풍선 확장술과 스텐트 삽입시 흉부 식도에 발생한 경우가 각각 1례씩, 외상성 경추손상의 수술시 정상 경부 식도에 발생한 경우가 2례, 선천성 식도폐쇄증(esophageal atresia)의 술후 문합부 누출이 생긴 경우가 1례 있었으며, 자발성 손상에는 하부식도에 발생한 기압성(barogenic) 손상 1례와 상흉부 식도암 천공 1례가 있었다. 경부 식도 천공 3례는 모두 경부 배액(drainage)과 식이용 장루술(feeding jejunostomy)을 시행하였고, 부식성 식도협착이 있던 환자 2례는 식도절제술과 흉부내 식도-위 문합을 시행하였으며, Boerhaave씨 증후군 환자는 1차 봉합술, 술후 문합부 유출이 있었던 환자와 식도암 천공이 있었던 환자는 식도절제 및 경부 식도루(esophagostomy), 배액용 위루(gastrostomy), 식이용 장루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패혈증 등의 심각한 합병증으로의 진행 없이 회복되었다. 현재 위장관의 연속성이 유지 혹은 복원된 환자는 경구식이 중이며 그 외의 환자들은 장루를 통해 영양을 공급하며 식도재건술을 기다리고 있다. 식도 천공은 최근 항생제의 사용, 과영양요법(hyperalimentation), 술후 환자관리의 개선 등으로 치료에 많은 발전이 있었으나, 치료 방침에 있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으며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난제로 남아있다. 비록 일반적인 지침이 도움이 되겠지만, 치료 방침은 환자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하며, 임상경과에 따라 언제라도 방침을 변경할 수 있는 유연함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 PDF

Iatrogenic Esophageal Perforation: An Occurrence from Feeding Tube Placement in a Premature Infant with a Pneumothorax

  • Jang, Yeong-Uk;Jang, Woo-Jung;Cho, Hye-Jung;Choi, Duk-Young;Shim, So-Yeon;Son, Dong-Woo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87-390
    • /
    • 2011
  • 식도천공은 신생아에서 드문 질환이다. 그러나 영양관 삽관으로 인한 의인성 식도천공은 미숙아에서는 특히 드물지 않게 나타난다. 의인성 식도천공은 기흉같은 심한 합병증을 유발하며 사망을 일으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도천공의 결과로 기흉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반면에, 저자들은 기흉이 먼저 병발하고 이 후 의인성으로 발생한 식도천공을 경험하였다. 증례의 식도천공은 환아에게 기흉이 발생한 채로 영양관을 삽관하여 야기되었다. 기흉이 있는 상태에서 영양관 삽관을 고려할 때는 더 심사숙고 하여야 할 것이다.

식도 천공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Evaluation of the Esophageal Perforation)

  • 김재학;오덕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59-762
    • /
    • 1996
  • 충남대학교 병원 흉부외과에서 1985년 6월부터 1995년 10월까지 식도 천공 15례를 경험하였다. 남녀 비는 9 대 6 이 었으며, 연령 분포는 19세 에서 71세 (평균 49세)까지 였다. 식도 천공 원인은 다양하여, 특 발성 및 식도이물 섭취로, 천공된 례가 각각 4례, 기구 조작에 의한 경우 3례, 흉부 둔상 1례, 약물(클로 르칸키) 섭 취 1례, 기관 절개술시 식도 손상 1례, 원인 불명의 천공 1례가 있었다. 천공 부위는 흉부 식도 9례, 경부 식도 6례 였다. 증상은 동통 11례, 발열 9례, 연하 곤란 Bfl, 호흡 곤란 5례 등이었다. 수술은 경 부 식도 천공의 경우 절개 및 배액술, 단순 봉합, 위루술등, 흉부 식도 천공의 경우 단순 봉합, 단순 봉합 및 흥막 보강술, 위루술 등을 시행하였다 1례가 사망하였으며, 사인은 패혈증이 었다.

  • PDF

탄산 가스의 팽창 압력에 의한 식도의 천공 -2례 보고- (Esophageal Perforation Due to Pneumatic Pressure of Carbonated Beverage - Report of two cases -)

  • 장인석;김종우;이정은;최준영;김성호;이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98-200
    • /
    • 1999
  • 탄산 음료수병에 녹아있던 탄산 가스의 팽창 압력에 의한 식도의 천공은 드물게 보고된다. 이러한 환자를 구강 및 인후의 손상만으로 진단하고 식도 손상을 간과한다면 환자에게는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수술적인 중재를 해야만 환자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조기 진단이 가능하려면 환자의 병력과 이학적 검사로 식도의 천공을 예측해야 한다. 저자들은 탄산 음료가 들어있는 병 입구를 입에 물고 있다가 폭발적 막\ulcorner기화하여 팽창하는 압력에 의해 식도의 천공이 유발된 2례의 증례를 보고한다.

  • PDF

식도천공 후 만기 일차 봉합술의 성적 (Delayed Primary Repair of Esophageal Rupture)

  • 김길동;정경영;김창수;박한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46-51
    • /
    • 1998
  • 식도 천공후 수술시까지 24시간이상이 경과된 환자의 치료법은 아직도 논란이 많다. 1990년이후 연세 대학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식도 천공후 24시간이상 경과된 환자 10예중 전예를 일차 봉합술로 치료 하였다. 그중 4명은 인위적인 천공 이었고, 3명은 자연성 천공, 2명은 이물의 연하, 나머지 한명은 외상이 원인 이었다. 식도 천공후 수술시까지 소요된 시간은 평균 116시간 이었고 중앙값은 48시간 이었다. 봉합방법은 천공된 점막부위의 위 아래로 정상 점막이 나올때까지 식도근 절개술을 시행한 후 염증이 있는 점막부위를 변연 절제한다. 식도의 원위부 폐쇄가 있을 경우 수술대에서 식도 확장술을 시행하고 점막과 근육층을 단층 혹은 층층 봉합한다. 봉합부위 위에 늑막이나 심낭 지방을 이용하여 봉합을 강화하였다. 수술 사망은 1예에서 수술후 33일째 발생 하였는데 사망원인은 위괘양의 합병증으로 위출혈이었다. 술후 5명의 환자에서 봉합부위의 유출이 있었지만 사망한 1예를 제외하고 모두 고식적 치료로 완치할 수 있었다. 식도 천공 환자에서 치료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으나 비록 수술시까지 시간이 많이 지났다하더라도 천공의 원인이 양성이고 원위부 폐쇄가 교정될 수 있다면 일차 봉합과 적절한 배농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식도경술에 의한 식도천공의 2례 (Two Cases of Esophageal Perforation due to Esophagoscopy)

  • 손학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3.1-3
    • /
    • 1978
  • 진단이나 치료 목적으로 내시경술이 빈번하게 사용됨으로써 오늘날 식도천공의 위험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식도벽에 경미한 상처를 주더라도 치명적인 경우까지 야기시킬 수 있으며 조기진단과 신속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늪은 사망률 병3변(病變)을 일으킨다. 본 연자들은 식도 이물 제거시 식도경술로 인한 식도천공 및 식도주위농양을 동반한 2례에 대한 치료를 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 하는 바이다.

  • PDF

식도이물에 의한 식도천공 1예 (A Case of Esophageal Perforation due to Foreign Body)

  • 홍기환;조규모;송기준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7.1-7
    • /
    • 1983
  • 식도천공은 임상에서 특히 이비인후과영역에서 드물게 보는 질환으로서 여러 가지 중요한 합병증을 야기하는데 그것은 식도 주위에 대한 해부학적 관계가 원인이 되는 것으로서 긴급을 요하며 사망율도 높다. 식도천공의 원인은 대부분 외부손상, 기계적 손상, 부식성 식도염 및 협착 등이 있는데 이물섭취에 의한 경우도 많다. 이물섭취로는 주로 동전, 생선뼈, 닭뼈 및 의치 등이 식도 벽에 걸려서 천공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 천공은 이물 자체가 일으킬 수도 있지만 때로는 이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내시경조작을 할 때에 발생할 수도 있다. 최근 저자는 이물을 오연한 뒤 연하곤란이나 호흡곤란 없이 식도의 경한 동통, 이물감 및 미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X선 검사결과 식도이물 및 식도주위에 조영제 유출이 인지 되어 응급으로 전신마취하에 식도이물제거술과 경부종격동절개술을 시행하였으며 술후 7일째 식도조영술 결과 좋은 효과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식도천공의 치료 및 임상고찰 (Clinical Analysis and Treat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

  • 박훈;박남희;박창권;이광숙;금동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11-116
    • /
    • 2006
  • 배경: 식도천공은 즉시 진단되어 치료하지 않으면 높은 이병률과 사망률을 보인다. 수술 방법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식도천공의 치료의 시기와 방법은 아직 논쟁의 여지가 많은 상태이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에서 2004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식도 천공을 진단받은 38명의 환자에서 차트를 이용하여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과: 환자는 남자가 28명, 여자가 10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3.84$\pm$18.89세($1{\~}73$세)였다. 천공은 경부에서 8예, 흉부가 28예 그리고 복부가 1예 발생하였고 자연성 식도 천공이 $34\%$, 의인성이 $32\%$ 그리고 외상성이 $34\%$로 조사되었다. 치료는 경부식도 천공에서는 일차봉합 6예, 배농만 시행한 경우가 2예였으며, 흥부식도 천공에서는 일차봉합 14예, 식도 절제술 3예 그리고 보존적 치료가 12예였다. 사망률은 경부 식도 파열이 $25\%$, 흉부식도 파열이 $34\%$였다. 환자의 생존에 유의한 위험인자는 술 전의 패혈증 여부로 나타났다. 결론: 식도파열에서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가 술 전의 패혈증 상태로 나타났다 술 전에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치료가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물에 의한 식도천공 (Esophageal Perferation with Foreign Body)

  • 장선문;전광수;박찬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3.2-3
    • /
    • 1978
  • 이물에 의한 식도천공은 매우 희유하며 대부분은 날카로운 금속성이물과 골편에 의하며 드물게는 이물의 장기잔류에 의하여 초래할 수 있다. 저자등은 1976년 1월부터 1977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의료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한 식도이물 48례중 식도천공을 일으킨 5례 즉 구부러진 철사 2례, 안전핀 l례, 낚시바늘 1례, 골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흉강경을 이용한 식도천공과 이완불능증에 대한 수술 -2예 보고 - (Thoracoscopic Surgery for Esophageal Perforation and Achalasia - Two cases report -)

  • 오세진;김형렬;임청;박계현;성숙환;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9호
    • /
    • pp.655-658
    • /
    • 2007
  • 식도천공은 비교적 드물지 않게 볼 수 있고 종종 치명적인 결과를 야기하므로 응급 수술을 필요로 한다. 식도 천공에 대한 수술은 개흉술을 통한 일차 봉합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들어 흉강경 수술 접근을 통해 동등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뵈르하베 증후군 및 식도이완불능증에 대한 공기 확장술 중 발생한 식도천공 환자에 대해 흉강경을 이용한 일차 봉합술 및 근 절개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인 두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