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 변화

Search Result 1,99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Foreigner's Spatial Change and Relationality to Industrial Work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2000~2015 Year (부산광역시 외국인의 공간변화 그리고 산업종사자와 관계, 2000~2015년)

  • Park, Kyutae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4
    • /
    • pp.350-369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oreigner's spatial change and relations to industrial workers in the sixteen districts of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2000 year to 2015 year. To achieve the goal, the data published in Pusan Statistical Yearbook was analyzed by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s. Firstly, the spatial changes of foreigners as a whole during 2000~2015 year are different based on their nationality. Secondly, foreigner's spatial change based on nationality and gender is much complex. The meaning of foreigner's spatial change in each district tested by nonparametric statistics is different according to a time scale. Thirdly, the relationality between foreigners as a whole and industrial workers in the sixteen districts is different by nationality and gender. The study method can be utilized at other cities or regions, and the results of those studies can be helpful to solve various problems due to increasing foreigners.

An Investigation of the Spatial Transition in Naju City via Space Syntax Framework (나주시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공간구문론적 고찰)

  • Byeong-Sam OH;Nae-Young CHOE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6 no.1
    • /
    • pp.114-131
    • /
    • 2023
  • The study empirically delves into the longitudinal transition of the urban core of Naju City in Korea. For the purpose, the ASA (Angular Segment Analysis) technique of Space Syntax has been adopted to investigate the cadastral maps on the GIS platform for the five chosen years since 1920. In particular, the global integration map as well as box plot statistics have been used to capture the time-series consequenc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old downtown is no more a monocentric city core and the center of the City has far moved eastward near the new Gwangju-Jeonam Innovation City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between 2000 and 2020.

Analyzing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eoul (서울시 기온 및 강수량의 시공간변이성 분석)

  • Choi, Hyun-Ah;Song, Chul-Chul;Lee, Woo-Kyun;Kwak, Han-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55-46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1997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의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31개 자동기상관측망(AWS: Automatic Weather Stations)에 의한 지표 근처 기온($^{\circ}C$) 및 강수(mm)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 지역 기상인자의 시 공간 구조 분석 및 변화경향과 변이성을 도출하였다. 미관측지점의 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주변 관측지점들을 고려하여, 그 영향은 거리에 반비례함을 반영하는 공간통계학적 방법 중 IDSW(Inverse Distance Squared Weighing:거리자승역산가중)를 적용하여 보관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의 기온과 강수량 모두 1997년에 비해 2006년의 기온이 약 $1.03^{\circ}C$, 강수량이 약 483mm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이성의 특성은 과거 10년 동안 기온의 경우 산림지역에서는 변화의 폭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거 지역의 경우 변화이 폭이 낮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강수량의 경우 산림지역과 주거지역의 변이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An Analysis of the street structure and the Morphological Change using Space Syntax in Kangnam, Seoul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가로체계와 공간변화 분석 - 서울 강남구를 사례로)

  • Kim, Hye-Young;Joo, Yong-Jin;Jun,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69-70
    • /
    • 2010
  • 우리나라의 경우 시계열적인 토지 이용의 변화특성에 대한 경향 및 유형의 분석과 예측에 관련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의 구축한 시계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로체계와 토지이용 자료를 사용하여 강남구 공간구조의 시계열 공간구조변화의 패턴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토지이용 변화과정을 함께 비교분석한다. 강남구는 70년대 초부터 개발로 인해 많이 변화해온 지역이다. 이를 고려하여 60,70,80,90년의 시계열별 공간구문론을 도입하여 축선도(Axial map)를 통해 정량적 분석을 한다. 향후 도로의 접근성 측면에서의 토지이용변화 예측모델 방법론과 연계가 이루어진다면 공간변화를 효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Modeling the Spatial Dynamics of Urban Green Spaces in Daegu with a CA-Markov Model (CA-Markov 모형을 이용한 대구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 모델링)

  • Seo, Hyun-Jin;Jun, Byong-W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2 no.1
    • /
    • pp.123-141
    • /
    • 2017
  • This study predicted urban green spaces for 2020 based on two scenarios keeping or freeing the green-belt in the Daegu metropolitan city using a hybrid Cellular Automata(CA)-Markov model and analyzed the spatial dynamics of urban green spaces between 2009 and 2020 using a land cover change detection technique and spatial metrics. Markov chain analysis was employed to derive the transition probability for projecting land cover change into the future for 2020 based on two land cover maps in 1998 and 2009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ulti-criteria evaluation(MCE) was adopted to develop seven suitability maps which were empirically derived in relation to the six restriction factors underlying the land cover change between the years 1998 and 2009. A hybrid CA-Markov model was then implemented to predict the land cover change over an 11 year period to 2020 based on two scenarios keeping or freeing the green-belt. The projected land cover for 2009 was cross-validated with the actual land cover in 2009 using Kappa statistics. Results show that urban green spaces will be remarkably fragmented in the suburban areas such as Dalseong-gun, Seongseo, Ansim and Chilgok in the year 2020 if the Daegu metropolitan city keeps its urbanization at current pace and in case of keeping the green-belt. In case of freeing the green-belt, urban green spaces will be fragmented on the fringes of the green-belt. It is thus required to monitor urban green spaces systematically considering the spatial change patterns identified by this study for sustainably managing them in the Daegu metropolitan city in the near future.

  • PDF

A SEQUENTIAL LAND USE / TRANSPORTATION MODEL WITH EXTERNALITIES : LINKING THE DYNAMIC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URBAN SPATIAL STRUCTURE (도시토지이용과 교통에 관한 연속적 모형 : 지역경제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 접근)

  • 서종국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3 no.2
    • /
    • pp.19-42
    • /
    • 1995
  • 1980년대 후기부터 교통정책의 우선 목표는 지역경제성장 자체가 교통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관리 중시의 정책은 다시 토지이용 정책으로 변화를 초래하엿다. 오늘날 대도시는 개개 졍제활동 주체들의 동적인 경제 행태에근거하여 분산구조를 띠고 있다. 이러한 동적인 경제행태에 미치는 요소들은 교통체계와 토지이용과 상호연관성의 연구에 필수적인 지가, 인구분포, 통행행태등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단핵도시 모형은 대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동적인 과정을 설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의 변천과정을-도심 및 부심의 출현·소멸현상-설명함으로써 도시교통정책 필수적인 입지와 통행패턴에 대한 새로운 동태적 이론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경제 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관계를 통합하는 토지이용과 교통의 연속 모형을 개발·응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에서는 교통량에 따른 교통비용, 도시공간구조로 인한 외부효과들, 경제활동주체들의 비동질성, 이주비용, 그리고 집적 이익등이 매기마다 내생적으로 결정되어 대도시의 공간구조 변화를 설명한다. 경제 호라동주체들간의 ? 호물리적 교류는 소득 증대에 의하여 경제구조가 변함에 따라 새로이 결정된다. 가상적 도시와 자료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비동질적인 경제주체들의 불균형적 성장이 장기적으로 도시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기본적인 경제행위에 따라 장기동태적인 과정을 통하여나타나는 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통비용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실용성을 검정하였다.

  • PDF

The Formation Factors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High-Class Residential Areas in Seoul (서울시 고급 주택지역의 형성요인과 분포 분석)

  • Kim Min-Hoi;Kim Tae-Hyun;Hong Sun-Gwan;Kim Hong-Kyu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6 no.6
    • /
    • pp.1-7
    • /
    • 2005
  • 도시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이며 도시가 성장하면서 과거의 기능이 변화하고 도시내부의 공간구조가 점차 기능적으로 분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는 주거지역의 입지변화와 공간적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주거지 분화현상이다. 도시생태학자 Hoyt은 주거지 이동패턴에 대하여 도시 내의 주거지분포 패턴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최고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부유층의 주거입지 선택에 따라 전체 도시의 계층별 주거분포가 영향을 받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서울은 소규모로 계획된 역사도시에서 인구 1000만의 대도시로 성장하여 오면서 많은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여 현재의 공간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전체 서울의 주택지는 동일한 것이 아니고 각종 주위환경에 따른 성격과 특성을 달리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특성을 달리하는 주택지들이 모여서 각기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고 서로 기능적 관계를 맺으면서 주택지를 형성하고 있다. 선형이론(Hoyt's Sector theory)에 따르면 고급주택지역의 도시 공간구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고급주택지역의 분포와 그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급주택지역의 분포를 형성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고급주택지의 지역적 분포를 파악하여 그 입지 성향과 특성을 알게 되면 도시의 토지이용계획, 특히 주거지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

Variation of Optimal Spatial Frequency Range for the Face Recognition as a Function of Eccentricity (이심률에 따른 얼굴인식 최적 공간 주파수 대역의 변화)

  • 김정훈;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343-346
    • /
    • 1998
  • 공간 주파수 대역 변화로 대표되는 이심률(eccentricity)에 따른 시각 정보처리의 특성 변화는 많은 시각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연구된 시자극들의 단순성에 의하여 이 특성의 인공시각 기술개발에의 활용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얼굴영상을 이용하여 이심률에 따른 공간 주파수 대역 변화를 정량화 하였다. 이 결과는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생물 시각체계의 인공시각 기술개발의 다양한 방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n Chang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Related with Urban Planning : Using Spatial Statistical Method (도시계획과 연계한 공간구조의 변화 특성 분석 -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 Seo, Kyung-Min;Kim, Ho-Yong;Lee, Sung-Ho;Kwon, Tae-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2
    • /
    • pp.1-14
    • /
    • 2014
  • In this study, the chang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Daegu were analyzed connecting with urban planning for efficient urban management. Urban development process from 1970 to 2010 in Daegu was analyzed utilizing Getis-Ord $G_i^*$ methodology, a spatial statistical method, and it was identified that Daegu was in the stage of disurbanization. However, as Daegu orients multi-nuclei city,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stage of urban development after disurbanization in 2000. Accordingly, to analyze detailed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in multi-centric areas after 2000, population, land price and employment factor changes were analyzed using Bachi Measurement. According to analytical results, multi-centralization process has been continued in Daegu. Urban core area and Chilgok area showed spatial structure change into distribution process, Ansim area into concentration process, and Seongseo and Talseo area into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Therefore, urban planning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needed for efficient urban management.

The Change of Economic Space and the Classification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Gyeonggi-do (경기도 도농복합시의 경제공간 변화와 유형 분류)

  • Son, Seu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1
    • /
    • pp.45-59
    • /
    • 2015
  •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has emerged in order to promot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urban region and rural region. Targeted 11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Gyeonggi Provinc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hanges of economic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of industrial activities. The number of establishments has increased in all cities. From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economic space divided into urban regions and rural regions, concentration phenomenon of economic activities in urban regions was strengthened in 9 cities with the exception of Icheon-si and Anseong-si. Concentration of economic activities in urban region was noticeable in Namyangju-si, Pocheon-si, and Yongin-si. 5 types were derived from the classification on the basis of locational changes of economic activities in urban region and rural region. They are 1) urban-rural gap deepen type, 2) urban region growth slowdown type, 3) rural region growth type, 4) urban-rural balanced growth type, and 5) urban region-led growth type. While urban-rural gap of the cities close to highly urbanized city or metropolis has intensified, the growth of urban region was weakened in the cities located away from the metropolis.

  • PDF